1. <성호사설>을 역사서라는 관점에서 재조명하여 <성호사설>의 가치와 특성을 새로운 차원에서 접근하여 이해하려는 시각을 갖고 이번 연구를 진행하였다. 2. <성호사설>에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13951
2016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 <성호사설>을 역사서라는 관점에서 재조명하여 <성호사설>의 가치와 특성을 새로운 차원에서 접근하여 이해하려는 시각을 갖고 이번 연구를 진행하였다. 2. <성호사설>에서...
1. <성호사설>을 역사서라는 관점에서 재조명하여 <성호사설>의 가치와 특성을 새로운 차원에서 접근하여 이해하려는 시각을 갖고 이번 연구를 진행하였다.
2. <성호사설>에서고려왕조 역사와 관련된 항목은 모두 156항목이다. 성호 이익은 고려왕조 역사에서 특히 대외관계, 영역과 지리 고증, 과거제도 등에 많은 관심을 보였다. 그외 중앙과 지방의 정치제도와 인물 평가에도 많은 관심을 보였다. 그런가 하면 문화와 문물, 사회와 풍속, 유교 불교 및 전통사상에 대해서도 <성호사설>에 수준높은 글을 남겼다.
3. 성호가 특히 많은 관심을 보인 대외관계에서 그는 인종 원종 충렬왕 등의 사대외교를 고려 외교정책의 강점으로 보았다. 그는 사대외교를 자주성이 훼손된 수치스러운 역사로 보지 않고, 사대외교가 주변 강국들의 침략을 사전에 막아 고려왕조가 오래 유지된 원인이 되었다고 하였다.
4. 성호 이익의 정치사 시각도 지금의 연구에서 재음미하고 새롭게 주목할 측면이없지 않았다. 그는 최영의 요동정벌은 명나라 압력에 반발, 저항하는 자주외교 정책이 아니라, 요동 정벌을 계기로 반 명나라 정책을 주도한 혐의로 이성계를 제거하려는 정치적 음모론으로 해석한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5. 한편 사상사에서도 성호 이익은 유연한 입장을 갖고 고려왕조사를 이해하고 해석하였다. 예를 들면 이조년 같은 고려의 유학자들이 불교를 신봉하는 것을 비난하지 않고, 당시의 시속이 그러했음을 인정하면서 크게 문제시 하지 않았다.
6. 순암 안정복은 <동사강목>을 편찬하는 과정에 초고 상태의 <성호사설>을 정리하는 작업에도 깊이 관여하였다. 따라서 <동사강목> 저술에 성호 이익의 역사관이 반영된 <성호사설>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런 점에서 <동사강목>은 안정복이 단독으로 저술한 형태였지만, 그 서술에서 성호 역사관의 영향이 크게 작용하였다. 따라서 <동사강목>을 이해하기 위해서 역사서로서 <성호사설>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