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평가기반 아파트가격지수에서의 비대칭 평활화 현상에 관한 연구 = Asymmetrical Smoothing in the Appraisal Based Apartment Price Index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930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평가기반 아파트가격지수인 국민은행 아파트가격지수의 평활화 현상(smoothing)을 국토해양부가 공표하고 있는 실거래가격으로 만든 반복매매지수(repeat sales index)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실증분석결과를 요약하면 평가기반 아파트가격지수는 상승시장보다는 하락시장에서 평활화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상승시장에서는 평가기반 아파트가격지수는 실거래 아파트가격지수를 상대적으로 빨리 추적하고 하락시장에서는 상대적으로 천천히 추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평가기반 아파트가격지수의 변동성도 실거래 아파트가격지수의 변동성에 비해 상승시장보다는 하락시장에서 더욱 작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새로운 거래가격이 평가에 반영되는 정도는 하락시장에서는 20%, 상승시장에서는 45%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기반 아파트가격지수의 측정오차(measurement errors)모형의 분석결과 하락기에 확대되는 평가기반 아파트가격지수의 평활화 현상은 지속되는 경향이 강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평가기반 아파트가격지수의 평활화현상이 아파트가격 상승기보다 하락기에 더 큰 것은 적은 거래량의 영향도 있지만 하락기 고유의 영향도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전체적으로 요약한다면 평가기반 아파트가격지수는 상승시장보다는 하락시장에서 평활화 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평가기반 아파트가격지수인 국민은행 아파트가격지수의 평활화 현상(smoothing)을 국토해양부가 공표하고 있는 실거래가격으로 만든 반복매매지수(repeat sales index)를 ...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평가기반 아파트가격지수인 국민은행 아파트가격지수의 평활화 현상(smoothing)을 국토해양부가 공표하고 있는 실거래가격으로 만든 반복매매지수(repeat sales index)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실증분석결과를 요약하면 평가기반 아파트가격지수는 상승시장보다는 하락시장에서 평활화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상승시장에서는 평가기반 아파트가격지수는 실거래 아파트가격지수를 상대적으로 빨리 추적하고 하락시장에서는 상대적으로 천천히 추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평가기반 아파트가격지수의 변동성도 실거래 아파트가격지수의 변동성에 비해 상승시장보다는 하락시장에서 더욱 작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새로운 거래가격이 평가에 반영되는 정도는 하락시장에서는 20%, 상승시장에서는 45%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기반 아파트가격지수의 측정오차(measurement errors)모형의 분석결과 하락기에 확대되는 평가기반 아파트가격지수의 평활화 현상은 지속되는 경향이 강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평가기반 아파트가격지수의 평활화현상이 아파트가격 상승기보다 하락기에 더 큰 것은 적은 거래량의 영향도 있지만 하락기 고유의 영향도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전체적으로 요약한다면 평가기반 아파트가격지수는 상승시장보다는 하락시장에서 평활화 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We investigate the smoothing phenomenon in the Kookmin Bank apartment price index, the most widely used appraisal based apartment price index in Korea using a repeat sales index based on the transaction data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In summary, we find that there is a greater degree of smoothing in the appraisal based apartment price index during the up market than the down market, that is, the appraisal based apartment price index tracks the sales price based index relatively slowly during the down market while it tracks the sales price based index relatively fast during the up market. The volatility in the sales price based index is far greater than the volatility in the appraisal based price index during the down market, but not during the up market. Only about one quarter of the new sale prices are priced in the appraisal during the down market while the new sale prices account for almost half of the appraisal based apartment price index during the up market.
      We also show that during the down market the appraisal based apartment price index reduces the gap from the sales price based index in subsequent periods only limitedly so that the smoothing during the down market tends to be persistent. We find that the transaction volume, which is a measure of information in sale prices, has a negative influence on the gap between the appraisal based apartment price index and the sales price based index. However, even when we control for the volume effect, the down market effect is still present suggesting that the asymmetrical smoothing between the down market and the up market is caused not only by the information effect of volume but also by other factors present in the down market.
      Our findings are generally consistent with the asymmetrical smoothing hypothesis where the smoothing in the appraisal based apartment price index is greater during the down market than during the up market.
      번역하기

      We investigate the smoothing phenomenon in the Kookmin Bank apartment price index, the most widely used appraisal based apartment price index in Korea using a repeat sales index based on the transaction data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

      We investigate the smoothing phenomenon in the Kookmin Bank apartment price index, the most widely used appraisal based apartment price index in Korea using a repeat sales index based on the transaction data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In summary, we find that there is a greater degree of smoothing in the appraisal based apartment price index during the up market than the down market, that is, the appraisal based apartment price index tracks the sales price based index relatively slowly during the down market while it tracks the sales price based index relatively fast during the up market. The volatility in the sales price based index is far greater than the volatility in the appraisal based price index during the down market, but not during the up market. Only about one quarter of the new sale prices are priced in the appraisal during the down market while the new sale prices account for almost half of the appraisal based apartment price index during the up market.
      We also show that during the down market the appraisal based apartment price index reduces the gap from the sales price based index in subsequent periods only limitedly so that the smoothing during the down market tends to be persistent. We find that the transaction volume, which is a measure of information in sale prices, has a negative influence on the gap between the appraisal based apartment price index and the sales price based index. However, even when we control for the volume effect, the down market effect is still present suggesting that the asymmetrical smoothing between the down market and the up market is caused not only by the information effect of volume but also by other factors present in the down market.
      Our findings are generally consistent with the asymmetrical smoothing hypothesis where the smoothing in the appraisal based apartment price index is greater during the down market than during the up marke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검토
      • Ⅲ. 분석자료
      • Ⅳ. 실증분석
      • 〈Abstract〉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검토
      • Ⅲ. 분석자료
      • Ⅳ. 실증분석
      • Ⅴ. 결론
      • 참고문헌
      • 부록 1. 반복거래 빈도수
      • 국문요약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명준, "주택가격지수 산정: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격을 이용한 실증연구" 한국은행금융경제연구원 (348) : 2008

      2 임재만, "부동산 지수의 측정오차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8 (38): 77-87, 2003

      3 이창무, "반복매매모형을 활용한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한국부동산분석학회 8 (8): 1-19, 2002

      4 이창무, "반복매매모형을 이용한 아파트 실거래지수 운영특성 분석" 한국부동산분석학회 13 (13): 21-40, 2007

      5 이용만, "국민은행 주택가격지수의 평활화 현상에 관한 연구" 한국주택학회 16 (16): 27-47, 2008

      6 Hwang, M., "The dividend pricing model: New evidence from the Korean housing market" SPRINGER 32 (32): 205-228, 2006

      7 Leng, C. K. Y., "Testing Alternative Theories of the Property Price-Trading Volume Correlation" 23 (23): 253-264, 2002

      8 Clayton, J., "Smoothing in Commercial Property Valuations:Evidence from Individual Appraisals" 29 (29): 337-360, 2001

      9 Case, K. E, "Prices of Single Family Homes since 1970" 45-56, 1987

      10 Stein,J.C, "Prices and Trading Volume in the Housing Market:A Model with Down-payment Effects" 110 (110): 379-406, 1995

      1 김명준, "주택가격지수 산정: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격을 이용한 실증연구" 한국은행금융경제연구원 (348) : 2008

      2 임재만, "부동산 지수의 측정오차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8 (38): 77-87, 2003

      3 이창무, "반복매매모형을 활용한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한국부동산분석학회 8 (8): 1-19, 2002

      4 이창무, "반복매매모형을 이용한 아파트 실거래지수 운영특성 분석" 한국부동산분석학회 13 (13): 21-40, 2007

      5 이용만, "국민은행 주택가격지수의 평활화 현상에 관한 연구" 한국주택학회 16 (16): 27-47, 2008

      6 Hwang, M., "The dividend pricing model: New evidence from the Korean housing market" SPRINGER 32 (32): 205-228, 2006

      7 Leng, C. K. Y., "Testing Alternative Theories of the Property Price-Trading Volume Correlation" 23 (23): 253-264, 2002

      8 Clayton, J., "Smoothing in Commercial Property Valuations:Evidence from Individual Appraisals" 29 (29): 337-360, 2001

      9 Case, K. E, "Prices of Single Family Homes since 1970" 45-56, 1987

      10 Stein,J.C, "Prices and Trading Volume in the Housing Market:A Model with Down-payment Effects" 110 (110): 379-406, 1995

      11 Clayton, J., "Price-Volume Correlation in the Housing Market:Causality and Co-movements" 40 (40): 14-40, 2010

      12 Webb,R.B, "On the Reliability of Commercial Appraisals:An Analysis of Properties Sold from the Russell-NCREIF Index(1978-1992)" 11 (11): 62-65, 1994

      13 Chau, K. W., "Index Construction Method for the University of Hong Kong All Residential Price Index" University of Hong Kong 2006

      14 Clapp, J. M, "Estimating Price Indices for Residential Property:A Comparison of Repeat Sales and Assessed Value Methods" 87 : 300-306, 1992

      15 Cho, H., "Are House Prices and Trading Volume Related? Evidence from the Seoul Housing Market" KAIST 2007

      16 Chinloy, P., "Appraisals,Transaction Incentives,and Smoothing" 14 (14): 89-111, 1997

      17 Bailey, M. J., "A Regression Method for Real Estate Price Index Construction" 58 : 933-942, 1963

      18 Cole, R., "A New Look at Commercial Real Estate Returns" University of North Carolina-Chapel Hill 1988

      19 Diaz Ⅲ, J, "A Longitudinal Examination of the Appraisal Smoothing Hypothesis" 26 (26): 349-358,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4-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Association For Housing Policy Studie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5 1.15 1.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15 2.122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