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외국어 고등학생과 인문계 고등학생의 자기주도적 사회과 학습 능력의 차이 분석 = An Analysis of Difference in Self-Directed Learning by High School Type : In the Case of Social Stud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709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know cognitive difference in self-directed learning about Social Studies in a type of schools on the basis of preceding studies that approved that ability of self-directed learning is highly related to study achievement and is useful method to improve study achievement.
      In order to achieve a purpose of this study that is conducted as followings. After analysing preceding studies on ability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developing a questionnaire paper in regard to ability of self-directed learning about Social Studies. A survey was implemented on target of 105 students at General High School and 107 students at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t-test was conducted to find whether or not there is a difference in ability of self-directed learning among students.
      As a result of analysis, there is a difference in cognition toward ability of self-directed learning about Social Studies between these two groups.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students show higher score than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in terms of social tendency, a value of task, self-efficacy, motive preference, self-regulated learning, 3 scopes and 11 lower scopes. However, in a scope of motive preference an answer with passive motive "well doing future social life" highly arises in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know cognitive difference in self-directed learning about Social Studies in a type of schools on the basis of preceding studies that approved that ability of self-directed learning is highly related to study achievement and is useful ...

      This study is to know cognitive difference in self-directed learning about Social Studies in a type of schools on the basis of preceding studies that approved that ability of self-directed learning is highly related to study achievement and is useful method to improve study achievement.
      In order to achieve a purpose of this study that is conducted as followings. After analysing preceding studies on ability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developing a questionnaire paper in regard to ability of self-directed learning about Social Studies. A survey was implemented on target of 105 students at General High School and 107 students at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t-test was conducted to find whether or not there is a difference in ability of self-directed learning among students.
      As a result of analysis, there is a difference in cognition toward ability of self-directed learning about Social Studies between these two groups.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students show higher score than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in terms of social tendency, a value of task, self-efficacy, motive preference, self-regulated learning, 3 scopes and 11 lower scopes. However, in a scope of motive preference an answer with passive motive "well doing future social life" highly arises in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이 무엇인지를 개념적으로 분석한 후, 사회과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사회과 성향, 동기적 측면, 인지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사회과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검사지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인문계 고등학교와 외국어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 간에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의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인천시의 인문계 고등학생 105명과 서울시의 외국어 고등학생 107명을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학교유형별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검사지의 문항별 반응 빈도와 학교 유형별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외국어 고등학교 학생과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 간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회과에서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에 대한 인식은 외국어 고등학교학생이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보다 모든 영역에서 일관적으로 높게 났다. 다만 동기적 선호 중 “미래에 경제적인 안정을 취하기 위해서” 항목과 “장래 사회생활을 잘하기 위해서” 라는 미래 삶을 위한 도구적 동기인자에 대해서는 인문계 고등학교가 외국어 고등학교에 비하여 높았다. 따라서 사회과의 경우도 학업 성취 수준이 높을수록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이 높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이 무엇인지를 개념적으로 분석한 후, 사회과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사회과 성향, 동기적 측면, 인지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사회과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

      본 연구는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이 무엇인지를 개념적으로 분석한 후, 사회과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사회과 성향, 동기적 측면, 인지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사회과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검사지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인문계 고등학교와 외국어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 간에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의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인천시의 인문계 고등학생 105명과 서울시의 외국어 고등학생 107명을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학교유형별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검사지의 문항별 반응 빈도와 학교 유형별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외국어 고등학교 학생과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 간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회과에서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에 대한 인식은 외국어 고등학교학생이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보다 모든 영역에서 일관적으로 높게 났다. 다만 동기적 선호 중 “미래에 경제적인 안정을 취하기 위해서” 항목과 “장래 사회생활을 잘하기 위해서” 라는 미래 삶을 위한 도구적 동기인자에 대해서는 인문계 고등학교가 외국어 고등학교에 비하여 높았다. 따라서 사회과의 경우도 학업 성취 수준이 높을수록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이 높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8 1.48 1.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2 1.53 1.48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