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 중국 · 일본 고등학교 지리 교육과정의 개발 동향 분석 = Analysis of Development Trend o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High School Geography Curriculu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520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tegrated Korean, Chinese, and Japanese high school geography curriculums were developed in 2018. After examining three curriculums in order of background of development, content, method, and assessment, the authors clarified the common and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each curriculums in this paper. Based on the results, the curricular contents and methods aim at strengthening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Key Competencies in Geography. Within the curriculums, the system and organization of contents consist of: 1)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problem solving using GIS, GPS, RS; 2) interdependence and creation of sustainabl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ature and disaster measures; 3) understanding of living with cultural diversity in a place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ctivity and natural environment; 4) regional geography based on living space (river basin); 5) reasonable use and management of water and marine resources; 6) rural and urban areas as living space; 7) relationship between population and living environment; 8) economic activity and movement; and 9) connections and interdependencies among spatial scales.
      With regard to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eachers consider the following: 1) thematic inquiry and problem solving using GIS, GPS, RS; 2) geographic task solving based on survey of learners’ living space; 3) applying comparisons, relations, and changing perspectives between systematic themes; 4) identifying learners’ thinking structure and presenting expressible task; and 5) inquiry and question strategies according to 5 themes in geography education.
      번역하기

      Integrated Korean, Chinese, and Japanese high school geography curriculums were developed in 2018. After examining three curriculums in order of background of development, content, method, and assessment, the authors clarified the common and different...

      Integrated Korean, Chinese, and Japanese high school geography curriculums were developed in 2018. After examining three curriculums in order of background of development, content, method, and assessment, the authors clarified the common and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each curriculums in this paper. Based on the results, the curricular contents and methods aim at strengthening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Key Competencies in Geography. Within the curriculums, the system and organization of contents consist of: 1)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problem solving using GIS, GPS, RS; 2) interdependence and creation of sustainabl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ature and disaster measures; 3) understanding of living with cultural diversity in a place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ctivity and natural environment; 4) regional geography based on living space (river basin); 5) reasonable use and management of water and marine resources; 6) rural and urban areas as living space; 7) relationship between population and living environment; 8) economic activity and movement; and 9) connections and interdependencies among spatial scales.
      With regard to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eachers consider the following: 1) thematic inquiry and problem solving using GIS, GPS, RS; 2) geographic task solving based on survey of learners’ living space; 3) applying comparisons, relations, and changing perspectives between systematic themes; 4) identifying learners’ thinking structure and presenting expressible task; and 5) inquiry and question strategies according to 5 themes in geography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18년 남북한통합, 중국, 일본의 고등학교 지리 교육과정이 개발되었다. 이 글에서는 각각의 교육과정을개발 배경, 내용, 방법, 평가 순으로 살펴보며 국가 간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지속가능발전 교육과 세계시민성 교육 그리고 지리과 핵심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지리 교수학습의 내용 및 방법을 다음과 같이예시하였다.
      학습 내용의 체계 및 조직은 1) GIS, GPS, RS를 활용한 지리 환경적 문제 해결, 2) 인간과 자연 간의 상호의존및 지속가능한 관계 설정, 방재 대책, 3) 장소에서의 생활 문화의 다양성을 인문 활동과 자연 환경 간의 관계를 통해 파악, 4) 생활권(하천 유역권)에 토대한 지역 지리, 5) 수자원과 해양 자원의 합리적 이용과 관리, 6) 생활공간으로서 촌락과 도시, 7) 인구와 생활환경 간의 관계, 8) 산업 활동과 이동, 9) 공간 규모 간 연결 및 상호의존 등으로구성한다.
      교수 학습 방법과 관련하여 수업자는 1) 지리정보 기술을 활용한 주제 탐구 및 문제 해결, 2) 학습자 생활권 조사에 토대한 지리적 과제 해결, 3) 계통적 주제 간 비교, 관련, 변화의 관점 적용, 4) 학습자의 사고 구조 파악 및 표현성 과제 제시, 5) 지리 교육의 5대 중심 개념에 따른 발문 전략 등을 고려한다.
      번역하기

      2018년 남북한통합, 중국, 일본의 고등학교 지리 교육과정이 개발되었다. 이 글에서는 각각의 교육과정을개발 배경, 내용, 방법, 평가 순으로 살펴보며 국가 간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이...

      2018년 남북한통합, 중국, 일본의 고등학교 지리 교육과정이 개발되었다. 이 글에서는 각각의 교육과정을개발 배경, 내용, 방법, 평가 순으로 살펴보며 국가 간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지속가능발전 교육과 세계시민성 교육 그리고 지리과 핵심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지리 교수학습의 내용 및 방법을 다음과 같이예시하였다.
      학습 내용의 체계 및 조직은 1) GIS, GPS, RS를 활용한 지리 환경적 문제 해결, 2) 인간과 자연 간의 상호의존및 지속가능한 관계 설정, 방재 대책, 3) 장소에서의 생활 문화의 다양성을 인문 활동과 자연 환경 간의 관계를 통해 파악, 4) 생활권(하천 유역권)에 토대한 지역 지리, 5) 수자원과 해양 자원의 합리적 이용과 관리, 6) 생활공간으로서 촌락과 도시, 7) 인구와 생활환경 간의 관계, 8) 산업 활동과 이동, 9) 공간 규모 간 연결 및 상호의존 등으로구성한다.
      교수 학습 방법과 관련하여 수업자는 1) 지리정보 기술을 활용한 주제 탐구 및 문제 해결, 2) 학습자 생활권 조사에 토대한 지리적 과제 해결, 3) 계통적 주제 간 비교, 관련, 변화의 관점 적용, 4) 학습자의 사고 구조 파악 및 표현성 과제 제시, 5) 지리 교육의 5대 중심 개념에 따른 발문 전략 등을 고려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영수, "한국이 소멸한다" 비즈니스북스 2018

      2 김진숙, "통일대비 남북한통합 교육과정 연구(III)- 총론, 중등국어과, 중등사회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3 김진숙, "통일대비 남북한통합 교육과정 연구(II)- 총론, 국어, 사회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4 교육위원회, "제1차12년제 의무교육 강령(고급 중학교)"

      5 권오현, "일본학술회의의 지리교육 개혁방안에 대한 고찰"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4 (24): 31-46, 2016

      6 심정보, "일본의 고등학교에 신설된 「지리총합」의 필수화 과정과 내용의 특성"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6 (26): 39-58, 2018

      7 심광택, "생태적 다중시민성에 기반한 초등사회과 교실수업 설계 - 국가시민성, 세계시민성, 지속가능발전 교육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5 (55): 41-56, 2016

      8 교육부,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 7〕"

      9 河合雅司, "미래 연표- 예고된 인구 충격이 던지는 경고" 한국경제신문 2018

      10 文部科学省, "高等学校学習指導要領解説地理歴史編"

      1 전영수, "한국이 소멸한다" 비즈니스북스 2018

      2 김진숙, "통일대비 남북한통합 교육과정 연구(III)- 총론, 중등국어과, 중등사회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3 김진숙, "통일대비 남북한통합 교육과정 연구(II)- 총론, 국어, 사회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4 교육위원회, "제1차12년제 의무교육 강령(고급 중학교)"

      5 권오현, "일본학술회의의 지리교육 개혁방안에 대한 고찰"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4 (24): 31-46, 2016

      6 심정보, "일본의 고등학교에 신설된 「지리총합」의 필수화 과정과 내용의 특성"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6 (26): 39-58, 2018

      7 심광택, "생태적 다중시민성에 기반한 초등사회과 교실수업 설계 - 국가시민성, 세계시민성, 지속가능발전 교육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5 (55): 41-56, 2016

      8 교육부,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 7〕"

      9 河合雅司, "미래 연표- 예고된 인구 충격이 던지는 경고" 한국경제신문 2018

      10 文部科学省, "高等学校学習指導要領解説地理歴史編"

      11 张华, "论核心素养的内涵" 45 (45): 10-24, 2016

      12 近藤大介, "未来の中國年表-超高齢大国でこれから起きること" 講談社 2018

      13 韦志榕, "普通高中地理課程標準(2017年版)解讀" 高等敎育出版社 2018

      14 中華人民共和國敎育部, "普通高中地理課程標準" 人民敎育出版社 2018

      15 井田仁康, "地理総合ではじまる地理教育-持續可能な社会づくりをめざして-" 古今書院 1-9, 2018

      16 田中啓爾, "地理教育に関する論文集" 目黑書店 1929

      17 龙泉, "地理學科育人价值与地理核心素养" 2017 (2017): 4-6, 2017

      18 UNESC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eparing learners for the challenges of the 21st century" UNESCO 2014

      19 O’Brien, C., "Education for SustainableHappiness andWell-Being" Routledge 2016

      20 井田仁康, "21世紀の教育に求められる「社会的な見方·考え方」" 帝国書院 76-83, 2018

      21 전종한, "2015 개정 「세계지리」 교육과정의 개발 과정과 내용"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4 (24): 71-85,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6 0.86 0.9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1.01 1.112 0.6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