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교급식 서비스공간 환경조성의 계획요소에 대한 설계담당자와 영양(교)사의 중요도 인식 비교 = Comparative analysis of Importance perceptions of Dietitian and Architectfor School Foodservice Built Environment Planning fact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842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esigners and user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planning factors that are considered when creating a school foodservice built environment. For purpose, the questionnaire were are broadly classified into 5 big level categories(Spaciality factors, Facility factors,Sensibility factors,Convenience factors, and Eco-Friendly factors) and divided into 27 mid level sub-contents.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to domestic architects and dietitian working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Yeongnam region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d modified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he result shows that dietitian consider the influence of planning factors that constitute the physical environment more important than architects. Both groups recognized the facility factors such as ventilation, in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of the foodservice facilities and spatial factors such as space arrangement for smooth circulation and size of the space and number of seats as the important factors. On the other hand, emotional factors and eco-friendly design factors were recognized as relatively less important. Architect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noise prevention, the size and location of windows, and lighting equipment to be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dietitia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esigners and user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planning factors that are considered when creating a school foodservice built environment. For purpose, the questionnaire were are broadly classified int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esigners and user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planning factors that are considered when creating a school foodservice built environment. For purpose, the questionnaire were are broadly classified into 5 big level categories(Spaciality factors, Facility factors,Sensibility factors,Convenience factors, and Eco-Friendly factors) and divided into 27 mid level sub-contents.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to domestic architects and dietitian working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Yeongnam region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d modified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he result shows that dietitian consider the influence of planning factors that constitute the physical environment more important than architects. Both groups recognized the facility factors such as ventilation, in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of the foodservice facilities and spatial factors such as space arrangement for smooth circulation and size of the space and number of seats as the important factors. On the other hand, emotional factors and eco-friendly design factors were recognized as relatively less important. Architect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noise prevention, the size and location of windows, and lighting equipment to be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dietitia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교 급식시설의 물리적 환경 조성 시 고려되는 계획요소의 중요도에 대한 설계자와 사용자의 인식 차이를 비교하였다. 물리적 환경 계획 요소들을 5가지로 대분류하고 27가지로 세부항목으로 나누어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국내의 건축사와 영남지역 초·중·고등학교에 근무하는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 통계적인 분석방법인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를 수정하여 두 직군간의 중요도 인식을 비교하였다. 영양(교)사가 건축사에 비해서 학교급식 서비스공간의 물리적 환경 계획 요소들에 대해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축사와 영양(교)사들은 급식소의 통풍과 환기, 실내온도, 습도 조절 및 계획 등의 설비적 요인과 원활한 동선을 위한 공간 배치와 급식소 규모 항목 등의 공간적 요인을 급식소의 쾌적한 물리적 환경을 구성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식한 반면 여러 감성적 요인과 친환경적 설계요인들은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한편 소음 방지 시설과 창문의 크기와 위치, 조명시설 항목에 대해서 건축사들은 영양(교)사보다 상대적으로 중요성을 낮게 인식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학교 급식시설의 물리적 환경 조성 시 고려되는 계획요소의 중요도에 대한 설계자와 사용자의 인식 차이를 비교하였다. 물리적 환경 계획 요소들을 5가지로 대분류하고 27가지로 ...

      본 연구는 학교 급식시설의 물리적 환경 조성 시 고려되는 계획요소의 중요도에 대한 설계자와 사용자의 인식 차이를 비교하였다. 물리적 환경 계획 요소들을 5가지로 대분류하고 27가지로 세부항목으로 나누어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국내의 건축사와 영남지역 초·중·고등학교에 근무하는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 통계적인 분석방법인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를 수정하여 두 직군간의 중요도 인식을 비교하였다. 영양(교)사가 건축사에 비해서 학교급식 서비스공간의 물리적 환경 계획 요소들에 대해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축사와 영양(교)사들은 급식소의 통풍과 환기, 실내온도, 습도 조절 및 계획 등의 설비적 요인과 원활한 동선을 위한 공간 배치와 급식소 규모 항목 등의 공간적 요인을 급식소의 쾌적한 물리적 환경을 구성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식한 반면 여러 감성적 요인과 친환경적 설계요인들은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한편 소음 방지 시설과 창문의 크기와 위치, 조명시설 항목에 대해서 건축사들은 영양(교)사보다 상대적으로 중요성을 낮게 인식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호 ; 조민관, "학교급식시설의 환경개선 방향에 대한 연구 - 서울지역 초중등학교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5 (25): 279-286, 2009

      2 서붕교, "학교 급식시설의 공간 분석 연구 - 2009년 이후 개교한 수도권 초·중·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한국교육시설학회 23 (23): 3-10, 2016

      3 국숙자 ; 노정옥, "전북지역 초중고등학교 학교급식소의 내부시설 및 위생관리 실태 조사" 한국생활과학회 18 (18): 1135-1145, 2009

      4 윤태환 ; 형도윤, "서울지역 패밀리레스토랑 외식고객의 가치인지에 미치는 물리적 증거 영향"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4 (24): 367-374, 2008

      5 신경희 ; 이영미 ; 조우균, "서울지역 일부 중학생의 학교급식 개선을 위한 급식만족도와 식생활교육 요구도 조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2 (22): 127-135, 2017

      6 이은용 ; 최순태 ; 이수범, "산업체 급식 서비스 요인에 따른 이용자 만족도 분석" 한국호텔관광학회 9 (9): 113-129, 2007

      7 김진모, "만족도 조사를 통한 중, 고등학교 급식시설 개선 연구 - 서울, 경인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4 (14): 33-42, 2016

      8 손은수 ; 정미화 ; 이종호, "단체급식의 선택속성이 고객만족도와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 이용횟수의 조절효과 -" (사)한국조리학회 21 (21): 55-71, 2015

      9 이용철 ; 안선홍, "단체급식 서비스스케이프에 따른 고객감정 반응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식경영학회 19 (19): 61-78, 2016

      10 Green CG., "Using customer survey data to develop marketing strategies in college/university foodservices" 1 : 39-51, 1993

      1 김경호 ; 조민관, "학교급식시설의 환경개선 방향에 대한 연구 - 서울지역 초중등학교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5 (25): 279-286, 2009

      2 서붕교, "학교 급식시설의 공간 분석 연구 - 2009년 이후 개교한 수도권 초·중·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한국교육시설학회 23 (23): 3-10, 2016

      3 국숙자 ; 노정옥, "전북지역 초중고등학교 학교급식소의 내부시설 및 위생관리 실태 조사" 한국생활과학회 18 (18): 1135-1145, 2009

      4 윤태환 ; 형도윤, "서울지역 패밀리레스토랑 외식고객의 가치인지에 미치는 물리적 증거 영향"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4 (24): 367-374, 2008

      5 신경희 ; 이영미 ; 조우균, "서울지역 일부 중학생의 학교급식 개선을 위한 급식만족도와 식생활교육 요구도 조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2 (22): 127-135, 2017

      6 이은용 ; 최순태 ; 이수범, "산업체 급식 서비스 요인에 따른 이용자 만족도 분석" 한국호텔관광학회 9 (9): 113-129, 2007

      7 김진모, "만족도 조사를 통한 중, 고등학교 급식시설 개선 연구 - 서울, 경인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4 (14): 33-42, 2016

      8 손은수 ; 정미화 ; 이종호, "단체급식의 선택속성이 고객만족도와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 이용횟수의 조절효과 -" (사)한국조리학회 21 (21): 55-71, 2015

      9 이용철 ; 안선홍, "단체급식 서비스스케이프에 따른 고객감정 반응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식경영학회 19 (19): 61-78, 2016

      10 Green CG., "Using customer survey data to develop marketing strategies in college/university foodservices" 1 : 39-51, 1993

      11 Yi, Y. J., "The Influence of Physical Environment on Service Quality Perception ; Acomparative Study" 13 (13): 61-86, 1998

      12 Ma, M.H, "Space Design in Seoul University Student Cafeteria in Seoul Area -From a Space Marketing Perspective" Hanyang University 2017

      13 Symington LE., "Foodservice Standards in Resorts" CIB Book 49-, 1987

      14 Kim, T. H., "Foodservice Marketing" Powerbook 2017

      15 Kwak, D.K, "Foodservice Management" Shinkwang Publishing 2020

      16 Yang, Y. S, "Foodservice Institution" Kyomoonsa 18-, 2021

      17 Kim, Kyung-Ho, "Environmental Improvement Object of Food service Facilities" Seoul School Health Promotion Center 2008

      18 Ministry of Education, "Current Status of school meal"

      19 Daeg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Basic directions for kindergarten and school meals"

      20 Lee, T. H., "A study on Improvement of the Cafeteria Planning in education Facility: Case Study on Elementary School in Daegu City" 24 (24): 123-126, 2004

      21 Park, S. B., "A Study on the Eating Facilities and Environment of Elementary School" 2 (2): 91-98,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