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송다영, "한부모가족과 여성사회권"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7 (27): 171-200, 2006
2 고은주, "한부모 가구의 빈곤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6 (36): 219-236, 2009
3 김경신, "통합적 가족정책을 위한 과제 및 가족지표 개발"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2007
4 김은정, "취약계층 가족에 대한 아동양육지원정책의 현황과 개선과제:빈곤가족, 한부모가족, 장애인가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5 (25): 253-278, 2006
5 국민연금관리공단, "출산크레딧 제도"
6 통계청, "종사상 지위별 여성 취업자 수"
7 엄미선, "저소득 한부모가족의 양육부담과 사회적지지" 11 : 75-108, 2006
8 장지연, "일·가족 양립체계의 선진국 동향과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2005
9 윤홍식, "이혼 및 별거(가족해체)로 인한 모자가정의 빈곤화와 사회안전망의 역할: 미국의 사회안전망의 대응과 한국적 함의" 한국사회복지학회 53 : 51-73, 2003
10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현황"
1 송다영, "한부모가족과 여성사회권"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7 (27): 171-200, 2006
2 고은주, "한부모 가구의 빈곤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6 (36): 219-236, 2009
3 김경신, "통합적 가족정책을 위한 과제 및 가족지표 개발"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2007
4 김은정, "취약계층 가족에 대한 아동양육지원정책의 현황과 개선과제:빈곤가족, 한부모가족, 장애인가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5 (25): 253-278, 2006
5 국민연금관리공단, "출산크레딧 제도"
6 통계청, "종사상 지위별 여성 취업자 수"
7 엄미선, "저소득 한부모가족의 양육부담과 사회적지지" 11 : 75-108, 2006
8 장지연, "일·가족 양립체계의 선진국 동향과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2005
9 윤홍식, "이혼 및 별거(가족해체)로 인한 모자가정의 빈곤화와 사회안전망의 역할: 미국의 사회안전망의 대응과 한국적 함의" 한국사회복지학회 53 : 51-73, 2003
10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현황"
11 나 정, "영유아 교육과 보육 발전 방안" 교육인적자원부·한국교육개발원 2003
12 김현숙, "여성노동공급 활성화를 위한 소득세 개편방안 연구" 한국조세연구원 2006
13 이용우, "여성 한부모 가구의 빈곤지위에 미치는 아동의 영향에 관한 국가간 연구" 한국사회보장학회 22 (22): 105-132, 2006
14 윤홍식, "부모ㆍ부성휴가를 통해본 남성 돌봄 노동참여 지원정책 비교: 경제협력개발기구 15개국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223-250, 2006
15 윤홍식, "노르딕 4개국 가족정책의 보편성과 상이성: 아동보육과 돌봄 관련 휴가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59 (59): 327-344, 2007
16 통계청, "근로시간별 여성 취업자 수"
17 한국고용정보원, "고용보험통계연보"
18 한국고용정보원, "고용보험인터넷서비스, 모의 연령별 산전후휴가 및 육아휴직급여 이용자수"
19 윤홍식, "결혼해체를 경험한 여성의 소득수준 및 빈곤실태와 공·사적소득이전의 역할" 한국사회복지학회 56 (56): 5-27, 2004
20 손병돈, "가족형태별 사적 이전소득 비교 - 사별가족과 이혼가족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5 (35): 267-290, 2007
21 정연택, "가족 정책의 국제비교- 동아시아와 남유럽 복지 체제 비교의 시각에서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4 (34): 79-106, 2007
22 Esping-Andersen, "Why we need a new welfare stat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23 Nores, M., "Updating the economic impacts of the high/scope Perry Preschool program" 27 : 245-261, 2005
24 고경환, "OECD 국가들의 가족정책 유형화와 한국에의 함의" 148 : 110-126, 2009
25 배화옥, "OECD 국가간 아동복지수준 비교와 한국사회에의 시사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7
26 윤홍식, "OECD 21개국의 부모권과 노동권 보장수준을 통해 본 가족정책의 비교연구: 부모휴가와 아동보육시설 관련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341-370, 2006
27 Elizabeth U., "Maternal labor supply and the introduction of kindergartens into American Public Schools" 44 : 140-170, 2007
28 Kathryn Edin, "Making Ends Meet: How single mothers survive welfare and low-wage work" Russell Sage Foundation 1997
29 OECD, "Labour Statistics, 여성 고용율과 모의 고용율"
30 OECD, "Family database, 한부모가구 비율과 유자녀 한부모가구 비율, 아동빈곤율, 한부모가구의 빈곤율, 가구주 근로에 따른 빈곤율"
31 OECD, "Family database, 가족급여, 육아휴직율, 유아교육보육이용률, 아동양육비체계, 아동 양육비 수준"
32 Sheila B. Kamerman, "Family Policy-Government and families inforteen countries" Columbia University Press(New York: 1978) 1978
33 Melhuish, E,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and policy in the U.K"
34 Simon Chapple, "Child well-being and sole-parent family structure in the OECD: An analysis. OECD Social" Employment and Migration working papers 2009
35 보건복지가족부, "2009 한부모가족 지원사업 안내"
36 보건복지가족부, "2008 보육통계"
37 고경환, "2006년도 한국의 사회복지지출추계와 OECD 국가의 가족정책 비교" 보건복지가족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