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제한된 재정여건 속에서 사회복지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일환으로 사회복지시설 운영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자료포락분석을 이용하여 경기도 기초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195282
2009
-
사회복지시설 ; 효율성 ; 경기도 기초자치단체 ; 자료포락분석
350
KCI등재
학술저널
373-392(2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제한된 재정여건 속에서 사회복지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일환으로 사회복지시설 운영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자료포락분석을 이용하여 경기도 기초자 ...
이 연구는 제한된 재정여건 속에서 사회복지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일환으로 사회복지시설 운영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자료포락분석을 이용하여 경기도 기초자 치단체별 사회복지시설의 운영효율성을 측정한 결과 26개 분석 대상 자치단체 중 17개 자치단체가 비효율적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비효율의 가장 큰 요인으로는 투입요소로서는 생활보장수 급자비율과 사회복지시설 수, 산출변수로는 사회복지시설 생활인원 수가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치단체별로 각 변수가 갖는 영향력 크기는 다르다. 자치단체 마다 비효율성의 요인이 다르므로 사회복지시설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려면 지역 상황에 맞는 접근방법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