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경제로의 진입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대학 또는 공공연구소 등 공공부문의 기술을 민간으로 이전하고 사업화를 추진하는 것이 더욱 더 중요해지고 있다. 농식품 분야의 기술이전 및 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48608
-
2016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창조경제로의 진입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대학 또는 공공연구소 등 공공부문의 기술을 민간으로 이전하고 사업화를 추진하는 것이 더욱 더 중요해지고 있다. 농식품 분야의 기술이전 및 사...
창조경제로의 진입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대학 또는 공공연구소 등 공공부문의 기술을 민간으로 이전하고 사업화를 추진하는 것이 더욱 더 중요해지고 있다. 농식품 분야의 기술이전 및 사업화를 촉진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농식품 분야의 기술이전 및 사업화의 현상을 심층적으로 분석한 사례는 거의 시도되지 않았다.
이와 같이 농식품 분야의 기술이전 및 사업화에 관한 선행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Strauss & Corbin(1998)의 근거이론 접근법과 테마분석법을 사용하여 농식품 분야의 기술이전 및 사업화 현상을 탐색하였다. 면접조사를 위한 대상기업은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을 통해 기술이전을 받았거나 동 재단으로부터 기술사업화를 지원받는 농산업체로 선정되었다. 구체적으로는 면접조사를 진행해 가면서 조사내용에 있어서 이론적 포화가 이루어지는 순간까지 순차적으로 선정한 결과 16개의 기술이전 업체와 8개의 기술사업화 업체가 그 대상이 되었다.
근거이론 접근법과 관련하여서는 면접조사 자료를 토대로 개방코딩과 축코딩을 QSR사가 개발한 소트트웨어 NVivo10을 사용하여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로서 패러다임 모형을 구축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선택코딩 수행을 통하여 농식품 분야의 기술이전 영향요인 이론모델과 기술사업화 영향요인 이론모델이 각각 도출되었다.
테마분석법과 관련하여서는 농식품 분야의 기술이전 성공요인에 관한 인식과 기술사업화 성공요인에 관한 인식이 각각 테마의 형태로 도출되었다. 그런 다음에는 기술이전과 기술사업화에 있어서 각각 ‘성공요인이 기업군별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교차분석으로 검정하였다. 이와 별도로 성공요인의 일치도를 기준으로 군집분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교차분석 결과와 종합하여 ‘가장 효율적인 기업군으로 구분하기 위한 기준’을 도출하였는데, 기술이전의 경우에는 ‘세부 업종’이, 기술사업화의 경우에는 ‘창업이전 경력’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도출한 ‘농식품 분야의 기술이전 및 기술사업화 영향요인에 관한 이론모델’은 기술이전 및 사업화 촉진정책을 수립하는 데에 직접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특히 시행단계에서 기술이전 촉진정책은 세부업종별로, 기술사업화 촉진정책은 창업이전 경력 여부별로 차별화하여 접근함으로써 성공률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농식품 분야의 기술이전 및 사업화에 관하여 탐색한 이 질적 연구는 후속연구를 위한 귀중한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blic-to-private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have been more important, in order to facilitate the transition to creative economy. Although various studies have been made to promote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in the food a...
Public-to-private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have been more important, in order to facilitate the transition to creative economy. Although various studies have been made to promote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in the food and agriculture sector, in-depth analysis of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phenomenon in the sector is rarely attempted.
Taking into account that few previous research and theory development has been achieved, the study explored the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phenomenon in the sector employing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by Strauss & Corbin(1998) and the thematic analysis. Companies that have licensed in or commercialized technologies through the Foundation of Agri. Tech. Commercialization & Transfer, were targeted as informants or interviewees. Finally, sixteen informants (licensees) and eight interviewees (commercializers) were selected both respectively and sequentially, utilizing theoretical sampling technique to their saturation points.
With respect to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open coding and axial coding of the interview data were performed using NVivo10 by QSR International, while paradigm models were established. Through selective coding, 'theoretical models on factors affecting technology t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