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상복, "한반도의 적조 조사와 연근해 탐사" 한수당자연환경연구원 2011
2 이태진, "한국 사상사 방법론" 소화 1997
3 이석규, "조선초기의 天人合一論과 재이론" 진단학회 81 : 1996
4 민승환, "조선왕조실록의 적조(HABs) 고찰" 한국지리정보학회 16 (16): 120-140, 2013
5 권용란, "조선시대 “解怪祭” 연구" 한국역사민속학회 (22) : 217-241, 2006
6 장학규, "연산군의 재이론에 대한 인식변화-군권·언권 논쟁을 중심으로" 부산경남사학회 7 : 1995
7 한상복, "삼국시대의 적조현상 기록" 한국어촌어항협회 1997
8 최종성, "국행기우제와 민간기우제의 비교연구" 서울대학교 종교학연구회 16 : 1997
9 김일권, "고려사의 자연학과 오행지 역주"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1
10 국립문화재연구소, "解怪祭謄錄"
1 한상복, "한반도의 적조 조사와 연근해 탐사" 한수당자연환경연구원 2011
2 이태진, "한국 사상사 방법론" 소화 1997
3 이석규, "조선초기의 天人合一論과 재이론" 진단학회 81 : 1996
4 민승환, "조선왕조실록의 적조(HABs) 고찰" 한국지리정보학회 16 (16): 120-140, 2013
5 권용란, "조선시대 “解怪祭” 연구" 한국역사민속학회 (22) : 217-241, 2006
6 장학규, "연산군의 재이론에 대한 인식변화-군권·언권 논쟁을 중심으로" 부산경남사학회 7 : 1995
7 한상복, "삼국시대의 적조현상 기록" 한국어촌어항협회 1997
8 최종성, "국행기우제와 민간기우제의 비교연구" 서울대학교 종교학연구회 16 : 1997
9 김일권, "고려사의 자연학과 오행지 역주"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1
10 국립문화재연구소, "解怪祭謄錄"
11 金鑢, "藫庭遺藁"
12 趙慶男, "續雜錄"
13 李肯翊, "燃藜室記述"
14 "朝鮮王朝實錄"
15 董仲舒, "春秋繁露"
16 "承政院日記"
17 "國朝寶鑑"
18 李圭景, "五洲衍文長箋散稿"
19 이상호,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 나타난 성종기成宗期 재이관災異觀의 특징" 한국국학진흥원 (21) : 357-388, 2012
20 김우형, "『經筵日記』에 나타난 율곡의 災異觀" (사)율곡학회 18 : 59-85, 2009
21 경석현, "『朝鮮王朝實錄』 災異 기록의 재인식 -16세기 災異論의 정치・사상적 기능을 중심으로-" 한국사연구회 (160) : 47-82,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