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SCIE

      하악 절치 근원심폭경과 법랑질 두께의 관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802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하악 절치부에서 보이는 총생은 하악 절치의 큰 MD/FL (mesiodistal/faciolingual) 인덱스와 관련이 있음이 보고되었다. 큰 MD/FL 인덱스를 보이는 절치에서 치간 삭제를 통해 근원심폭경을 줄여 MD/FL 인덱스를 줄이고 공간을 확보하는 방법이 정당화되기 위해서는 MD/FL 인덱스가 클수록 인접면 법랑질 두께가 더 두꺼워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하악 절치의 MD/FL 인덱스, 근원심폭경, 최대풍융부/치경부폭경비와 같은 치아의 형태적 요인과 인접면 법랑질 두께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발거된 하악 절치 40개에서 MD/FL 인덱스, 근원심폭경, 최대풍융부/치경부폭경비를 구하였으며, 근원심폭경을 구한 선상까지 순면을 연마하여 그 단면에서 법랑질 두께를 측정하였다. 치경부근원심폭경은 순면을 연마한 단면에서의 좌우측 백악법랑경계 사이의 폭경을 측정하였다. 이후 법랑질 두께와 MD/FL 인덱스, 근원심폭경, 최대풍융부/치경부폭경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하악 절치의 법랑질 두께는 편측에서 0.75 ± 0.07 ㎜였고, 근원심폭경은 5.56 ± 0.40 ㎜였다. 법랑질 두께와 근원심폭경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지만(R = 0.68), 법랑질 두께와 MD/FL 인덱스, 법랑질 두께와 최대풍융부/치경부폭경비 간에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이는 근원심폭경이 큰 치아에서는 치간 삭제를 더 많이 할 수 있지만, 동일한 근원심폭경을 갖는 절치들의 경우 MD/FL 인덱스가 큰 하악 절치 또는 최대풍융부/치경부폭경비가 커서 삼각형의 형태를 갖는 하악 절치에서 치간 삭제를 더 많이 할 수는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번역하기

      하악 절치부에서 보이는 총생은 하악 절치의 큰 MD/FL (mesiodistal/faciolingual) 인덱스와 관련이 있음이 보고되었다. 큰 MD/FL 인덱스를 보이는 절치에서 치간 삭제를 통해 근원심폭경을 줄여 MD/FL ...

      하악 절치부에서 보이는 총생은 하악 절치의 큰 MD/FL (mesiodistal/faciolingual) 인덱스와 관련이 있음이 보고되었다. 큰 MD/FL 인덱스를 보이는 절치에서 치간 삭제를 통해 근원심폭경을 줄여 MD/FL 인덱스를 줄이고 공간을 확보하는 방법이 정당화되기 위해서는 MD/FL 인덱스가 클수록 인접면 법랑질 두께가 더 두꺼워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하악 절치의 MD/FL 인덱스, 근원심폭경, 최대풍융부/치경부폭경비와 같은 치아의 형태적 요인과 인접면 법랑질 두께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발거된 하악 절치 40개에서 MD/FL 인덱스, 근원심폭경, 최대풍융부/치경부폭경비를 구하였으며, 근원심폭경을 구한 선상까지 순면을 연마하여 그 단면에서 법랑질 두께를 측정하였다. 치경부근원심폭경은 순면을 연마한 단면에서의 좌우측 백악법랑경계 사이의 폭경을 측정하였다. 이후 법랑질 두께와 MD/FL 인덱스, 근원심폭경, 최대풍융부/치경부폭경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하악 절치의 법랑질 두께는 편측에서 0.75 ± 0.07 ㎜였고, 근원심폭경은 5.56 ± 0.40 ㎜였다. 법랑질 두께와 근원심폭경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지만(R = 0.68), 법랑질 두께와 MD/FL 인덱스, 법랑질 두께와 최대풍융부/치경부폭경비 간에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이는 근원심폭경이 큰 치아에서는 치간 삭제를 더 많이 할 수 있지만, 동일한 근원심폭경을 갖는 절치들의 경우 MD/FL 인덱스가 큰 하악 절치 또는 최대풍융부/치경부폭경비가 커서 삼각형의 형태를 갖는 하악 절치에서 치간 삭제를 더 많이 할 수는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amel thickness of proximal surfaces and the morphologic features of mandibular incisors. Methods: Mesiodistal/faciolingual (MD/FL) index, MD width, and height of contour width/cervical width ratio were measured in 40 incisors extracted from Koreans. For determining the height of contour width/cervical width ratio, the cervical width was measured as the distance between proximal cementoenamel junctions. Then, the labial surface was ground to the height of the contour level to measure enamel thicknes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enamel thickness and morphologic features. Results: Enamel thickness was 0.75 ± 0.07 ㎜ per side, and MD width was 5.56 ± 0.40 ㎜. Enamel thickness and MD width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However, a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not observed between enamel thickness and MD/FL index or the height of contour width/cervical width ratio.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enamel thickness is affected only by MD width. Therefore, if the MD width is the same for mandibular incisors with a large MD/FL index or triangular shape and mandibular incisors with normal shape, then the limit of enamel reduction for reproximation will be the same.
      번역하기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amel thickness of proximal surfaces and the morphologic features of mandibular incisors. Methods: Mesiodistal/faciolingual (MD/FL) index, MD width, and height of co...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amel thickness of proximal surfaces and the morphologic features of mandibular incisors. Methods: Mesiodistal/faciolingual (MD/FL) index, MD width, and height of contour width/cervical width ratio were measured in 40 incisors extracted from Koreans. For determining the height of contour width/cervical width ratio, the cervical width was measured as the distance between proximal cementoenamel junctions. Then, the labial surface was ground to the height of the contour level to measure enamel thicknes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enamel thickness and morphologic features. Results: Enamel thickness was 0.75 ± 0.07 ㎜ per side, and MD width was 5.56 ± 0.40 ㎜. Enamel thickness and MD width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However, a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not observed between enamel thickness and MD/FL index or the height of contour width/cervical width ratio.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enamel thickness is affected only by MD width. Therefore, if the MD width is the same for mandibular incisors with a large MD/FL index or triangular shape and mandibular incisors with normal shape, then the limit of enamel reduction for reproximation will be the sam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연구방법
      • 연구성적
      • 고찰
      • 결론
      • 서론
      • 연구방법
      • 연구성적
      • 고찰
      •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신재, "한국인 정상교합자의 치아크기와 치열궁 계측치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교정학회 34 (34): 473-480, 2004

      2 백병주, "영구치의 치아크기에 관한 연구" 대한소아치과학회 30 (30): 9-509, 2003

      3 Fillion D, "Vor- und Nachteile der approximalen Schmelzreduktion" 27 : 64-90, 1995

      4 Rhee SH, "Triangular-shaped incisor crowns and crowding" 118 : 624-628, 2000

      5 Rudolph DJ, "The use of tooth thickness in predicting intermaxillary tooth-size discrepancies" 68 : 133-138, 1998

      6 Sturdevant CM, "The art and science of operative dentistry. 3rd ed" St. Louis: Mosby 306-309, 1995

      7 Houston WJ, "The analysis of errors in orthodontic measurements" 83 : 382-390, 1983

      8 Arman A, "Soyman M.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 of enamel after various stripping methods" 130 (130): e7-14, 2006

      9 Peck H, "Reproximation (enamel stripping) as an essential orthodontic treatment ingredient" London: Crosby Lockwood Staples 513-523, 1975

      10 Hall NE, "Predictors of variation in mandibular incisor enamel thickness" 138 : 809-815, 2007

      1 이신재, "한국인 정상교합자의 치아크기와 치열궁 계측치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교정학회 34 (34): 473-480, 2004

      2 백병주, "영구치의 치아크기에 관한 연구" 대한소아치과학회 30 (30): 9-509, 2003

      3 Fillion D, "Vor- und Nachteile der approximalen Schmelzreduktion" 27 : 64-90, 1995

      4 Rhee SH, "Triangular-shaped incisor crowns and crowding" 118 : 624-628, 2000

      5 Rudolph DJ, "The use of tooth thickness in predicting intermaxillary tooth-size discrepancies" 68 : 133-138, 1998

      6 Sturdevant CM, "The art and science of operative dentistry. 3rd ed" St. Louis: Mosby 306-309, 1995

      7 Houston WJ, "The analysis of errors in orthodontic measurements" 83 : 382-390, 1983

      8 Arman A, "Soyman M.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 of enamel after various stripping methods" 130 (130): e7-14, 2006

      9 Peck H, "Reproximation (enamel stripping) as an essential orthodontic treatment ingredient" London: Crosby Lockwood Staples 513-523, 1975

      10 Hall NE, "Predictors of variation in mandibular incisor enamel thickness" 138 : 809-815, 2007

      11 Joseph VP, "Orthodontic microabrasive reproximation" 102 : 351-359, 1992

      12 Uysal T, "Intermaxillary tooth size discrepancy and mesiodistal crown dimensions for a Turkish population" 128 : 226-230, 2005

      13 Boese LR, "Fiberotomy and reproximation without lower retention, nine years in retrospect: part I" 50 : 88-97, 1980

      14 Danesh G, "Enamel surfaces following interproximal reduction with different methods" 77 : 1004-1010, 2007

      15 Zachrisson BU, "Dental health assessed more than 10 years after interproximal enamel reduction of mandibular anterior teeth" 131 : 162-169, 2007

      16 Jarjoura K, "Caries risk after interproximal enamel reduction" 130 : 26-30, 2006

      17 Peck H, "An index for assessing tooth shape deviations as applied to the mandibular incisors" 61 : 384-401, 1972

      18 Sheridan JJ, "Air-rotor stripping manual" Metairie: Raintree Essix 37-, 2005

      19 Sheridan JJ, "Air-rotor stripping" 19 : 43-59, 1985

      20 Kim KN, "A study on the enamel surface texture and caries susceptibility in interdentally stripped teeth" 31 : 567-578,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3 0.47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7 0.55 0.31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