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뉴미디어인 SNS가 기존 규제 제도로 편입되는 과정을 ‘검열’ 개념의 검토를 통해 살펴보려 한다. 우리 「헌법」 제21조는 대부분의 민주주의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검열의 금지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593006
2016
Korean
(신)검열 ; 통치성 ; 내용 규제 ; 인터넷 ; SNS ; (new) censorship ; governmentality ; SNS ; social media ; online content regulation
KCI등재
학술저널
101-164(64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뉴미디어인 SNS가 기존 규제 제도로 편입되는 과정을 ‘검열’ 개념의 검토를 통해 살펴보려 한다. 우리 「헌법」 제21조는 대부분의 민주주의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검열의 금지와...
이 연구는 뉴미디어인 SNS가 기존 규제 제도로 편입되는 과정을 ‘검열’ 개념의 검토를 통해 살펴보려 한다. 우리 「헌법」 제21조는 대부분의 민주주의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검열의 금지와 표현의 자유를 명시하고 있다. 또 1996년 구(舊)「영화법」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위헌결정에서 ‘행정기관’에 의한 ‘사전’ 제한은 검열로 규정되었다. 그런데 주요 외신과 국제 인권단체들은 2008년 무렵부터 한국 사회에 ‘검열’이 부상하고 있음을 비판하고 있다. 이들은 왜 ‘검열’을 말하는가. 여기서 ‘검열’의 의미는 무엇인가. 이 연구는 뉴미디어의 등장과 함께 미디어의 특성을 규정하는 정책 담론과 미디어 담론의 역할, 매체와 관련한 사회적 사건의 발생과 매체 규제의 정당성을 주장하는 담론의 형성, 규제 관련 입법 혹은 기존 매체 규제 기관으로의 편입 등의 과정이 SNS라는 새로운 미디어를 둘러싸고 어떻게 진행되어 갔는지를 살펴보았다. ‘개인’을 강조하는 뉴미디어인 SNS에 대한 검열의 구성 과정을 살펴보면서 이 글은 온라인상 내용 규제 제도들이 ‘검열이 아니라 규제’라는 입장에 비판적으로 접근하고자 했으며, 검열이 「헌법」에 규정된 고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담론과 제도를 통한 ‘구성적’인 권력의 작동 과정이자 인구와 여론을 다루기 위해 행하는 국가권력의 통치성의 일부임을 보여 주고자 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of SNS regulatory system through a review of the concept of ‘censorship’. Like other democratic countries, we have Constitution that prohibit prior censorship by the state and obviously clari...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of SNS regulatory system through a review of the concept of ‘censorship’. Like other democratic countries, we have Constitution that prohibit prior censorship by the state and obviously clarify freedom of expression. In addition, it defined that censorship means ‘prior restraint’ by Administration in 1996 to unconstitutional declaration to the old Movie Act. However, major international press and human right groups criticized to occur ‘censorship’ in Korean society since 2008. If so, why censorship was problematized in Korean society? Should we reconstruct the meaning of censorship? This study aims that the state governs ‘population’ by individual media such as social media. SNS gives meaning to each individual can express opinion, in the other hand, the state can surveil and control average individuals. In this paper, I want to review critically the way the state govern the individuals by media while the conservative party keep their power since 2008. In this paper, I expand the concept of censorship by applying ‘new’ censorship and ‘governmentality’ by Foucault.
It is emphasized that popularization of social media means expanding the meaning censorship applied to average people. Through this paper, Firstly, the state to govern individuals by media, Secondly, the state mobilizes new technology, institution and discourses. Thirdly, censorship is not on the other side of freedom of expression but construct and produce the subject by power.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Nussbaum, M. C., "혐오와 수치심: 인간다움을 파괴하는 감정들" 민음사 2015
2 Butler, J., "혐오발언" 알렙 2016
3 임승은, "헌법상 표현의 자유와 검열금지원칙"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4 박용상, "헌법상 사전검열금지의 원칙" 21 : 75-250, 2010
5 Amnesty International, "한국: 국가보안법ᐨ안보의 이름으로 표현과결사의 자유를 제약하다"
6 Kobayashi Somei, "한국 통신검열체제의 기원 : ‘제국 검열’과 식민지 조선" 아세아문제연구소 54 (54): 155-193, 2011
7 정하윤,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제도화 과정과 쟁점: 법제화를 둘러싼 주체들의 이해관계를 중심으로" 미래정치연구소 4 (4): 31-53, 2014
8 황용석, "표현매체로서 SNS(Social Network Service)에 대한 내용규제의 문제점 분석: 법률적ㆍ행정적 규제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58 (58): 106-129, 2012
9 Sakai, D., "통치성과 ‘자유’: 신자유주의권력의 계보학" 그린비 2011
10 방송통신심의위원회, "통신심의 관련법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1 Nussbaum, M. C., "혐오와 수치심: 인간다움을 파괴하는 감정들" 민음사 2015
2 Butler, J., "혐오발언" 알렙 2016
3 임승은, "헌법상 표현의 자유와 검열금지원칙"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4 박용상, "헌법상 사전검열금지의 원칙" 21 : 75-250, 2010
5 Amnesty International, "한국: 국가보안법ᐨ안보의 이름으로 표현과결사의 자유를 제약하다"
6 Kobayashi Somei, "한국 통신검열체제의 기원 : ‘제국 검열’과 식민지 조선" 아세아문제연구소 54 (54): 155-193, 2011
7 정하윤,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제도화 과정과 쟁점: 법제화를 둘러싼 주체들의 이해관계를 중심으로" 미래정치연구소 4 (4): 31-53, 2014
8 황용석, "표현매체로서 SNS(Social Network Service)에 대한 내용규제의 문제점 분석: 법률적ㆍ행정적 규제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58 (58): 106-129, 2012
9 Sakai, D., "통치성과 ‘자유’: 신자유주의권력의 계보학" 그린비 2011
10 방송통신심의위원회, "통신심의 관련법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11 안소현, "큐레이터쉽과 검열은 어떻게 갈라지는가. <예술통제와 검열의 현재성>" 33-38, 2016
12 Lessig, L., "코드 2.0" 나남출판사 2009
13 Bauman, Z., "친애하는 빅브라더: 지그문트 바우만, 감시사회를 말하다" 오월의 봄 2014
14 이창호, "청소년의 소셜 미디어 이용 실태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2
15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제2015ᐨ8호. 정보통신에 관한 심의규정 일부개정규칙"
16 Chang, N., "정치적반대세력을 침묵시키기" 모색 2006
17 권규상, "정보사회의 권력관계와 대항권력의 형성: '나는 꼼수다'를 사례로" 한국정보사회학회 (23) : 35-79, 2012
18 한국정보화진흥원, "인터넷중독 예측지수 개발 연구" 2013
19 조석장, "인터넷과 한국의 민주주의" 한국학술정보(주) 2009
20 김현경, "인터넷과 루머: 아고라 경제토론방의 경우"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8
21 Mackinnon, R., "인터넷 자유 투쟁"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22 황승흠, "인터넷 내용규제 관련 법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3 : 191-221, 2001
23 조은주, "인구의 출현과 사회적인 것의 구성" 비판사회학회 (105) : 14-36, 2015
24 연합뉴스, "유엔특별보고관 “한국, 표현자유 제약 우려”"
25 한국정보화진흥원, "온라인 공간에서의 정부 신뢰 구축 방안"
26 박소현, "예술의 행정화 이후, 검열의 문제를 어떻게 볼 것인가. <예술통제와 검열의 현재성>" 49-54, 2016
27 Bourdieu, P., "언어와 상징권력" 나남 2014
28 Foucault, M., "안전, 영토, 인구: 콜레주드프랑스 강의 1977∼78년" 난장 2004
29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소셜 플랫폼의 확산에 따른 한국사회의 변화와 미래정책(Ⅲ)" 2014
30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소셜 플랫폼의 확산에 따른 한국사회의 변화와 미래정책(Ⅱ)-총괄보고서: 소셜 플랫폼이 한국에 가져온 사회문화적 변화" 2013
31 Bourdieu, P., "성찰적 사회학으로의 초대: 부르디외 사유의 지평" 그린비 2015
32 Foucault, M., "성의 역사 1:앎의 의지" 나남출판 2004
33 "생명관리정치의 탄생: 콜레주드프랑스 강의 1978∼79년" 난장 2012
34 김홍중, "사회로 변신한 신과 행위자의 가면을 쓴 메시아의 전투: 아렌트의 ʻ사회적인 것ʼ의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7 (47): 1-33, 2013
35 황성기, "사적 검열에 관한 헌법학적 연구"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7 (17): 163-191, 2011
36 황성기, "사이버스페이스와 불온통신 규제" 6 (6): 153-207, 2000
37 방석호, "사이버 스페이스에서의 검열과 내용 규제" (3) : 232-261, 1998
38 김현경, "사람, 장소, 환대" 문학과 지성사 2015
39 홍남희, "법관의 SNS 이용을 둘러싼 담론의 대립과 역할: 페쇠(M. Pêcheux)의 담론 분석 틀을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소 53 (53): 305-348, 2016
40 심석태, "방송심의 기구의 ‘민간·독립성 신화’에 대한 고찰 ― 한미 비교의 관점 ―" 미국헌법학회 23 (23): 163-203, 2012
41 미디어스, "박재승·조국 등 법률가 205명 “방심위, 명예훼손 개정반대”"
42 한국정보화진흥원, "미디어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정부의 소셜미디어 커뮤니케이션 방향" (13) : 2011
43 McChesney, R., "디지털 디스커넥트:자본주의는 어떻게 인터넷을 민주주의의 적으로 만들고 있는가" 삼천리 2014
44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도박·음란·성매매 등 SNS에 파고든 불법정보 크게 늘어"
45 당대비평 기획위원회, "그대는 왜 촛불을 끄셨나요" 산책자 2009
46 Foucault, M., "광기의 역사" 나남출판 2003
47 Whitaker, R., "개인의 죽음" 생각의 나무 2001
48 Foucault, M., "감시와 처벌: 감옥의 역사" 나남출판 2003
49 Lyon, D., "감시사회로의유혹" 후마니타스 2014
50 머니투데이, "‘한국인 IS 가담’ 초유의 사태, 침몰하는 경찰·국정원공조"
51 국민일보, "‘사찰논란’ 檢 사이버 수사팀, 허위사실 유포 첫 기소"
52 PD저널, "‘나꼼수’ 차단 위한 방심위의 ‘꼼수’"
53 Gillespie, T., "The politics of ‘platforms’" 12 (12): 347-364, 2010
54 Höchli, M., "The invisible scissors: Media freedom and censorship in Switzerland" Peter Lang 2010
55 Pasquino, P., "The foucault effect: Studies in governmentality" 난장 159-178, 2014
56 Hacking, I., "The foucault effect: Studies in governmentality" 난장 269-290, 2014
57 van Dijck, J., "The culture of connectivity"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58 Wallen, J., "The administration of aesthetics: Censorship, political criticism, and the public spher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340-369, 1994
59 Burt, R., "The administration of aesthetics: Censorship, political criticism, and the public spher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1-29, 1994
60 Bauman, Z., "State of crisis" 동녘 2014
61 Freedom House, "South Korean activist indicted for sharing Tweet"
62 Hendershot, H., "Saturday morning censors: Television regulation before the Vᐨchip" Duke University Press Books 1999
63 박경신, "SNS의 매체적 특성과 법적용의 한계" 법학연구소 15 (15): 127-157, 2012
64 김경호, "SNS상에서의 표현의 자유와 관련 판결에 나타난 특성 연구: 트위터와 페이스북 판결을 중심으로" (사)한국언론법학회 13 (13): 165-190, 2014
65 방송통신심의위원회, "SNS 사칭, 마약 거래, 명백한 거짓 정보 등 피해 확산 우려"
66 방송통신심의위원회, "SNS 불법유해정보실태 및 대응방안연구"
67 방송통신심의위원회, "SNS 및 애플리케이션 심의에 대한 입장"
68 "Reporters Without Borders"
69 Rauhofer, J., "Privacy and surveillance: Legal and socioeconomic aspects of state intrusion into electronic communications" Law and the internet 545-574, 2009
70 Balkin, J. M., "Oldᐨschool/newᐨschool speech regulation" 127 (127): 1-45, 2014
71 New York Times, "Korea Policing the Net. Twist? It’s South Korea"
72 New York Times, "How to Get Censored in South Korea"
73 Boyle, J., "Foucault in cyberspace: Surveillance, sovereignty, and hardwired censors" 66 : 177-191, 1997
74 Freshwater, H., "Critical studies, censorship & cultural regulation in the modern age" Rodopi 225-245, 2003
75 Holquist, M., "Corrupt originals: The paradox of censorship" 1994
76 Kuhn, A., "Cinema, censorship and sexuality 1909ᐨ1925" Routledge 1988
77 Schauer, F., "Censorship and silencing:Practices of cultural regulation" The Getty Research Institute for the History of Art and the Humanities 147-168, 1998
78 Butler, J., "Censorship and silencing: practices of cultural regulation" The Getty Research Institute 247-260, 1998
79 Brown, W., "Censorship and silencing: Practices of cultural regulation" The Getty Research Institute 313-327, 1998
80 Post, R. C., "Censorship and silencing: Practices of cultural regulation" The Getty Research Institute for the History of Art and the Humanities 1-12, 1998
81 Müller, B., "Censorship and cultural regulation in the modern age: Mapping the territory" Rodopi 1-32, 2004
82 대법원, "2014.08.28. 선고 2013도10680판결"
83 미래창조과학부, "2013년 인터넷 중독 실태조사"
84 수원지방법원, "2012.11.21. 선고, 사건번호 2012고단324"
85 헌재, "2011. 12.29. 2007헌마1001 [한정위헌]"
86 헌재, "1996. 10. 4. 93헌가13 등, 판례집 8ᐨ2, 212 [위헌]"
87 이봉범, "1960년대 검열체재와 민간검열기구" 대동문화연구원 (75) : 413-478, 2011
커뮤니케이션 관점으로 본 포퓰리즘의 등장과 대의 민주주의 위기
커뮤니케이션 이론 편집위원회 운영 및 논문 심사 규정 외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6 | 1.36 | 1.3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42 | 1.46 | 2.108 | 0.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