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사회의 사회적 불안에 관한 연구 = Social Anxiety in Korean Socie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418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1) the realities of social anxiety and perception of various kinds of social problems that exists in Korean society as well as the perception on the events that causes the social anxiety, 2) to see the difference of perceived level of social anxiety through variables of social demography and difference of perception on Korean society. The sample was distributed according to population size distinguishing the nation to 6 regions. The data of 1,375 adult respondents were analy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respondents mentioned that the most immediate problem to be solved in Korean society was financial anxiety, and the most desirable state of society was when the society is financially stabled. Single question was measured about social anxiety of Korean society and scored 6.84 from full marks of 10, showing difference in variables for instance sex, age, and subjective S.E.S. where women, aged under 20, and perceived low class group showed the highest rate of social anxiety. However, there weren’t any difference found in social anxiety of the variables like presence of religion, educational background, residence, and monthly average household income. Also, there were differences in level of social anxiety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of Korean society. Higher the perceived unpredictability, uncontrollability, and unmovability to the upper class, unfairness, and uncertainty, unreliability of the Korean society, higher the social anxiety. And the lower the perceived chance of success of reformation, higher the social anxiety. It was also found that the perceived social anxiety is influenced by social accidents and phenomenon as unemployment, economic depression, and the gap between rich and poor as well as the increase of crime through effluence of personal information. Finally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1) the realities of social anxiety and perception of various kinds of social problems that exists in Korean society as well as the perception on the events that causes the social anxiety, 2) to see the differenc...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1) the realities of social anxiety and perception of various kinds of social problems that exists in Korean society as well as the perception on the events that causes the social anxiety, 2) to see the difference of perceived level of social anxiety through variables of social demography and difference of perception on Korean society. The sample was distributed according to population size distinguishing the nation to 6 regions. The data of 1,375 adult respondents were analy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respondents mentioned that the most immediate problem to be solved in Korean society was financial anxiety, and the most desirable state of society was when the society is financially stabled. Single question was measured about social anxiety of Korean society and scored 6.84 from full marks of 10, showing difference in variables for instance sex, age, and subjective S.E.S. where women, aged under 20, and perceived low class group showed the highest rate of social anxiety. However, there weren’t any difference found in social anxiety of the variables like presence of religion, educational background, residence, and monthly average household income. Also, there were differences in level of social anxiety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of Korean society. Higher the perceived unpredictability, uncontrollability, and unmovability to the upper class, unfairness, and uncertainty, unreliability of the Korean society, higher the social anxiety. And the lower the perceived chance of success of reformation, higher the social anxiety. It was also found that the perceived social anxiety is influenced by social accidents and phenomenon as unemployment, economic depression, and the gap between rich and poor as well as the increase of crime through effluence of personal information. Finally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첫째, 한국 사회에 존재하는 사회적 불안의 실태 및 사회적 불안과 관련된 여러 가지 사회문제에 대한 지각을 조사하고, 한국 사회의 사회적 불안을 일으키는 사건들에 대한 지각을 알아보려 하였다. 둘째, 여러 가지 인구통계학적 변인 및 한국 사회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 따라 지각된 사회적 불안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보려 하였다. 전국을 6개 지역으로 구분하여, 총 1,375명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먼저 한국사회에서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는 경제적 불안이 가장 많았으며, 원하는 한국사회도 경제적으로 안정된 사회가 가장 많았다. 단일 문항으로 측정된 한국 사회의 사회적 불안은 10점 만점에 6.84점으로 나타났으며, 성별, 연령별, 주관적 계층별로 차이가 나타나 여자, 20대 이하, 및 지각된 하류층의 사회적 불안수준이 높았다. 하지만 종교유무, 학력, 거주지역, 거주유형, 월평균가구소득별로는 사회적 불안 수준의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한국사회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 따라서도 사회적 불안의 수준은 차이가 있었는데, 한국사회를 예측할 수 없고, 통제할 수 없으며, 상위계층으로 이동할 수 없고, 불공정하며, 불확실하고, 믿을 수 없다고 지각할수록 그리고 개혁의 성공가능성을 낮게 지각할수록 사회적 불안의 수준은 높았다. 응답자들은 한국 사회의 불안을 야기하는 여러 가지 사회적 사건 또는 현상 중 취업난(실업), 경제불황, 빈부격차의 확대 등의 경제적인 요인과 개인정보의 유출과 그로 인한 범죄의 증가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다고 응답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장래의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첫째, 한국 사회에 존재하는 사회적 불안의 실태 및 사회적 불안과 관련된 여러 가지 사회문제에 대한 지각을 조사하고, 한국 사회의 사회적 불안을 일으키는 사건들에 대한 지각...

      본 연구는 첫째, 한국 사회에 존재하는 사회적 불안의 실태 및 사회적 불안과 관련된 여러 가지 사회문제에 대한 지각을 조사하고, 한국 사회의 사회적 불안을 일으키는 사건들에 대한 지각을 알아보려 하였다. 둘째, 여러 가지 인구통계학적 변인 및 한국 사회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 따라 지각된 사회적 불안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보려 하였다. 전국을 6개 지역으로 구분하여, 총 1,375명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먼저 한국사회에서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는 경제적 불안이 가장 많았으며, 원하는 한국사회도 경제적으로 안정된 사회가 가장 많았다. 단일 문항으로 측정된 한국 사회의 사회적 불안은 10점 만점에 6.84점으로 나타났으며, 성별, 연령별, 주관적 계층별로 차이가 나타나 여자, 20대 이하, 및 지각된 하류층의 사회적 불안수준이 높았다. 하지만 종교유무, 학력, 거주지역, 거주유형, 월평균가구소득별로는 사회적 불안 수준의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한국사회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 따라서도 사회적 불안의 수준은 차이가 있었는데, 한국사회를 예측할 수 없고, 통제할 수 없으며, 상위계층으로 이동할 수 없고, 불공정하며, 불확실하고, 믿을 수 없다고 지각할수록 그리고 개혁의 성공가능성을 낮게 지각할수록 사회적 불안의 수준은 높았다. 응답자들은 한국 사회의 불안을 야기하는 여러 가지 사회적 사건 또는 현상 중 취업난(실업), 경제불황, 빈부격차의 확대 등의 경제적인 요인과 개인정보의 유출과 그로 인한 범죄의 증가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다고 응답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장래의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인의 위험인지와 정책적 함의" 29 (29): 935-954, 1995

      2 "한국인의 위험인식" 20 (20): 22-61, 1998

      3 "한국인의 신뢰의식에 나타난 토착심리 탐구" 21-55, 2005

      4 "한국의 사회문제" 198-199, 2005

      5 "한국사회의 위험과 안전"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3

      6 "한국사회에서 안전에 관한 심리학 연구의 과제" 9 : 33-55, 2003

      7 "한국 사회와 사람에 대한 사회적 표상과 신뢰: 청소년과 성인의 지각을 통해 본 토착심리 분석" 10 (10): 103-129, 2004

      8 "한국 사회에서 사회문제의 지속과 변화" 6 (6): 15-37, 2000

      9 "한국 사회 문제의 지각 차원" 9 (9): 99-111, 1995

      10 "한국 사회 문제에 대한 국민의 지각" 1 (1): 20-53, 1994

      1 "한국인의 위험인지와 정책적 함의" 29 (29): 935-954, 1995

      2 "한국인의 위험인식" 20 (20): 22-61, 1998

      3 "한국인의 신뢰의식에 나타난 토착심리 탐구" 21-55, 2005

      4 "한국의 사회문제" 198-199, 2005

      5 "한국사회의 위험과 안전"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3

      6 "한국사회에서 안전에 관한 심리학 연구의 과제" 9 : 33-55, 2003

      7 "한국 사회와 사람에 대한 사회적 표상과 신뢰: 청소년과 성인의 지각을 통해 본 토착심리 분석" 10 (10): 103-129, 2004

      8 "한국 사회에서 사회문제의 지속과 변화" 6 (6): 15-37, 2000

      9 "한국 사회 문제의 지각 차원" 9 (9): 99-111, 1995

      10 "한국 사회 문제에 대한 국민의 지각" 1 (1): 20-53, 1994

      11 "특성불안과 사회성과의 관계" 1970

      12 "안전문화 정착을 위한 안전의식 조사연구" 국무총리실 안전관리개선개획단 2002

      13 "안전관리 종합대책" 2000

      14 "사회지표 온라인간행물"

      15 "사회적 불안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16 "사회적 불안이 개인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11 (11): 1-29, 2005

      17 "사회불안의 유발요인" 2003

      18 "범죄에 대한 두려움에 있어서 남성과 여성의 차이" 9 (9): 1-21, 2003

      19 "매스미디어와 사회불안" 170-171, 2005

      20 "기사: 개인정보 누출, 동창회 홈피 등 주범" 2004.12.23

      21 "공공기관 개인정보 술술" 2005.09.19

      22 "개인정보 줄줄 샌다" 2004.12.14

      23 "The assessment and perception of risk" 17-34, 1981

      24 "The age of anxiety? Birth cohort change in anxiety and neuroticism, 1952-1993" 79 : 1007-1021, 2000

      25 "Spielberger의 상태-특성 불안검사 Y형의 개발" 1 (1): 1-14, 1996

      26 "Social Perception of Risk Perception: At Once Indispensable and Insufficient" 49 (49): 1-21, 2001

      27 "Risk Society:Toward a New Modernity" Sage Publication 1992

      28 "Perception of Risk" 280-285, 1987

      29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1970

      30 "Insecure Times: Living with Insecurity n Contemporary Society" Routledge 1999

      31 "Impact of perceived self-efficacy in coping with stressors on components of the immune syste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9" 1082-1094, 1990

      32 "How safe is safe enough? A psycholmetric study of attitudes toward technological risks and benefits" 127-152, 1978

      33 "Design and Analysis of Quasi-Experimental Designs for Research" 1979

      34 "Coping self-efficacy buffers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disturbance in HIV-infected men following a natural disaster" 16 : 248-255, 1997

      35 "Coping Self-Efficacy and Psychological Distress Following the Oklahoma City Bombing" 30 (30): 1331-1334, 2000

      36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238-252, 1982

      37 "Apocalypse, Millennium and Utopia Today" Basil Blackwell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9-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KCI등재
      2012-09-0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3 1.13 1.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9 1.4 2.149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