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가상현실 재활치료에 관한 체계적 고찰 = Systematic Review of Virtual Reality Based Rehabilitation for Dement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860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에서는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가상현실을 적용한 재활치료의 방식과 그 효과를 체계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0년 1월부터 2020년 5월까지 PubMed, CINAHL, Riss와 같은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가상현실을 적용한 재활치료의 방식과 그 효과를 체계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0년 1월부터 2020년 5월까지 PubMed, CINAHL, Riss와 같은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해외 문헌의 경우 “Dementia” AND “Virtual Reality” AND “Rehabilitation” or “Intervention”의 조합으로, 국내 문헌의 경우 ‘치매’ 그리고 ‘가상현실’ 그리고 ‘재활’ 또는 ‘중재’를 조합하여 문헌을 검색하였다. 총 160개의 논문 중 13편의 논문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선정된 논문의 분석 결과 근거수준 III에 해당하는 단일그룹 사전-사후 연구가 5편(38.5%)로 가장 많았다. 가상현실의 유형으로는 몰입형 가상현실 적용이 2편(15.4%)이였고, 비몰입형 가상현실 적용이 11편(84.6%)이였다. 가상현실 컨텐츠 유형으로는 운동프로그램이 5편(38.5%)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일상생활 수행과제가 3편(23.1%)으로 그다음 순이였다. 그 외에도 길 찾기 과제, 게임, 자연풍경 관찰 등의 치료적 컨텐츠가 적용되었다. 다양한 종류의 가상현실 재활 프로그램은 치매환자의 운동기능, 인지기능, 전두엽기능, 정서적 안정 등 다양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는 다양한 치료적 환경이 효율적으로 구현 가능하고 가상현실적용은 환자로 하여금 치료에 대한 흥미와 재미를 높임으로써 재활에 효과적이다. 치매환자를 위한 가상현실 기반치료는 아직까지는 기술 도입 및 시범 단계에 머물고 있으며 앞으로 다양한 임상연구를 통해 가상현실 기반 치료의 과학적 근거를 확립해 나가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review the methods of virtual reality(VR) based rehabilitation and its effectiveness for dementia. Methods: The articles were searched through the database such as PubMed, CINAHL, Riss from 2000, January to...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review the methods of virtual reality(VR) based rehabilitation and its effectiveness for dementia.
      Methods: The articles were searched through the database such as PubMed, CINAHL, Riss from 2000, January to 2020, May with key words of ‘Dementia’,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Intervention. Total 13 were selected among 160 articles which were searched from database and went through scrutinizing.
      Result: As a result of analyzing, 5 (38.5%) articles which were the most frequent were level III one group comparison study. 2 (15.4%) articles were applied immersive VR devices and other 11 (84.6%) were applied non-immersive VR. Relating to VR contents, VR based exercise(38.5%) were most frequently applied, then ADL tasks (23.1%) were followed next. Besides, navigation task, stimulus-response game, watching scenary were used for intervention. The various types of VR were all effective on physical function, cognition, frontal lobe function, affective symptoms and so on.
      Conclusion: VR based rehabilitation is cost effective and ecologically more valid. It is technologically available to produce virtual therapeutic environment at any place and it motivates patients to engage more in rehabilitation. As a results, VR based rehabilitation for dementia is very early stage of introduction and pilot trials. In the future stud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more clinical evidences by applying them to the larger group of patient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