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교는 창립초기부터 인간의 불로장생에 관심을 가졌을 뿐만 아니라, 국가와 사회의 태평성세에도 관심을 가졌다. 출세와 입세 사이를 배회하는 것이 도교의 종교적 특징이다. 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441877
2008
-
150
KCI등재
학술저널
197-224(28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도교는 창립초기부터 인간의 불로장생에 관심을 가졌을 뿐만 아니라, 국가와 사회의 태평성세에도 관심을 가졌다. 출세와 입세 사이를 배회하는 것이 도교의 종교적 특징이다. 도...
도교는 창립초기부터 인간의 불로장생에 관심을 가졌을 뿐만 아니라, 국가와 사회의 태평성세에도 관심을 가졌다. 출세와 입세 사이를 배회하는 것이 도교의 종교적 특징이다. 도교의 정치학은 생명정치학이다. 도교의 정치사상은 생명철학을 정치학으로 확대한 결과이며, 생명철학과 정치철학의 융합이다. 도교에서 인체기관들이 유기적 관계를 맺으며 인간의 생명을 형성한다. 이 가운데 기가 가장 중요하다. 인간은 기의 취산에 따라 그 생사가 결정된다. 그리고 국가의 구조는 몸과 유사하다. 국가기관들이 유기적 관계를 맺으며 국가를 형성한다. 이 가운데 백성이 가장 중요하다. 국가는 백성의 집산에 따라 그 흥망성쇠가 결정된다. 그러므로 도교는 개체생명에서 양기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처럼 국가에서 양민의 정치적 중요성을 강조한다. 그리고 신체와 국가가 유사한 구조이기 때문에 도교에서 경국과 리신의 도리도 동일하다. 그런데 리신이 경국보다 근본적이다. 수신이 부족하면 정치는 근본적으로 불가능하다. 반면 몸을 잘 닦아 안정하게 한다면 국가는 자연히 태평하게 된다. 그리고 리신의 근본은 리심에 있다. 리심하면 몸이 안정해지고 국가도 조화롭게 된다. 리심이 곧 경국과 리신의 출발점이다. 그리고 리심의 최고경계는 중현이다. 중현의 도달한 성인은 현상계에 대해 집착하지도 않고, 본체계에 국한되지도 않는다. 그는 현상계와 본체계를 막힘없이 넘나들며 개인적 깨달음뿐만 아니라 타자 혹은 공동체를 구제해 주고 깨달음의 길로 인도해 준다. 그러므로 도교에서 몸과 국가를 함께 다스리는 것이 성인의 참된 모습이다. 도교의 신선이 된다는 것은 단지 불사의 신체라는 개체적 준비로 가능한 것이 아니라 건강한 사회라는 공동체적 준비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도교의 정치사상은 이상사회건설이라는 이념적 의미가 아니라 개체생명의 불로장생을 희구하는 종교적 종극목표의 달성을 위한 현실적, 필연적 필요에 의해 정립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환, "초기 도교의 철학 사상-『태평경』과 『노자상이주』를 중심으로" 2000
2 김태용, "두광정의 수도론" 23 : 2005
3 김태용, "도 에 대한 두광정의 체용·무유적 해석" 24 : 2005
4 이강수, "노자와 장자" 도서출판 길 2005
5 周勇, "道敎的政治理論淵源" (4) : 2001
6 韓林, "道敎政治觀念的幾個重要特點" 2002
7 謝淸果, "道敎“身國共治”思想的歷史演變" 2005
8 정지욱, "道敎 重玄學과 宋學" 한국양명학회 (11) : 183-205, 2004
9 陳進國, "道家與道敎的“理身理國”思想" (2) : 2000
10 孫亦平, "杜光庭的“經國理身”思想初探" (2) : 2000
1 김성환, "초기 도교의 철학 사상-『태평경』과 『노자상이주』를 중심으로" 2000
2 김태용, "두광정의 수도론" 23 : 2005
3 김태용, "도 에 대한 두광정의 체용·무유적 해석" 24 : 2005
4 이강수, "노자와 장자" 도서출판 길 2005
5 周勇, "道敎的政治理論淵源" (4) : 2001
6 韓林, "道敎政治觀念的幾個重要特點" 2002
7 謝淸果, "道敎“身國共治”思想的歷史演變" 2005
8 정지욱, "道敎 重玄學과 宋學" 한국양명학회 (11) : 183-205, 2004
9 陳進國, "道家與道敎的“理身理國”思想" (2) : 2000
10 孫亦平, "杜光庭的“經國理身”思想初探" (2) : 2000
11 李剛, "杜光庭『道德?經廣聖義(身國同治”的生命政治學)" (1) : 2007
12 "『老子開題』"
13 "『老子想爾注』"
14 "『黃庭內景經』"
15 "『養生延命錄』"
16 "『釋名』"
17 "『道藏目錄』"
18 "『道德經』"
19 "『道德眞經玄德纂疎』"
20 "『道德眞經廣聖義』"
21 "『西昇經』"
22 "『莊子』"
23 "『碧苑壇經』"
24 "『抱朴子』"
25 "『宗玄先生文集』"
26 "『太玄眞一本際經』"
27 "『太平經』"
28 "『太上老君說常淸靜經注』"
29 "『墉城集仙錄"
30 "『內觀經』"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5-0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Asian Philosphy in Korea : SAPK | ![]() |
2007-01-2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2 | 0.42 | 0.4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7 | 0.49 | 1.246 | 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