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건강가정지원 서비스에서 가족-중심 개입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도 조사: 통합 장애아 가족을 대상으로 한 생태학적 접근 = An Ecological Approach to Need-Assessment of Families with Mildly Handicapped Children: Implications for Family-Based Interventions at Healthy Family-Support Cent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170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유아 가족이 필요로 하는 가족적, 사회적 지원에 대한 욕구를 조사하는 것이다. 생태학적 접근으로 이 목적을 수행하고자 생태체계의 지원으로 강화될 수 있는 장애아 가족의 기능과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변인들을 탐색하고 이 변수들에 대한 전반적 실태를 조사하였다. 서울시 소재 장애아동 통합 어린이집 아동의 가족을 대상으로 pilot study와 예비조사를 거쳐 질문지를 개발하였으며 본 조사에서 배포된 263부의 설문지중 143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아 가족의 지원 욕구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생태체계 변인의 실태조사에서 밝혀진 주요 결과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연구대상 가족은 중류층으로 어머니의 대부분이 30대이었으며 대졸이상의 높은 학력을 지녔으나 대부분이 직장 없이 전업주부로 있었다. 어머니들은 자기효능감이 높고, 약간의 우울증을 경험하고 있으나 양육스트레스는 낮았다. 가족기능성과 가족 스트레스는 보통 수준이었으며 적응력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로 결혼생활에 만족하고 남편이 협력적이었으며 원 가족 중 정서적 지지를 해줄 친정어머니와 애착은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아동은 대부분 6세 이하의 남아로 경증 장애아이었다. 미시체계변인인 통합어린이집이나 치료기관에서 부모 교육과 상담을 대부분 경험했으며, 중간체계 변인인 통합어린이집과 치료기간의 부모교육과 상담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체계 변인인 주변 도움은 어느 정도 받고 있었으나 거시체계에서 더 많은 지원서비스를 절실히 필요로 하고 있다고 한 결과는 이들 장애아 가족들이 현재보다 더 다양하고 많은 지원이 필요하다는 욕구를 밝힌 것임을 알 수 있다. 조사 결과 밝혀진 실태가 장애아 가족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능력강화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제언을 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유아 가족이 필요로 하는 가족적, 사회적 지원에 대한 욕구를 조사하는 것이다. 생태학적 접근으로 이 목적을 수행하고자 생태체계의 지원으로 강화될 수 있는 장애아...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유아 가족이 필요로 하는 가족적, 사회적 지원에 대한 욕구를 조사하는 것이다. 생태학적 접근으로 이 목적을 수행하고자 생태체계의 지원으로 강화될 수 있는 장애아 가족의 기능과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변인들을 탐색하고 이 변수들에 대한 전반적 실태를 조사하였다. 서울시 소재 장애아동 통합 어린이집 아동의 가족을 대상으로 pilot study와 예비조사를 거쳐 질문지를 개발하였으며 본 조사에서 배포된 263부의 설문지중 143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아 가족의 지원 욕구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생태체계 변인의 실태조사에서 밝혀진 주요 결과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연구대상 가족은 중류층으로 어머니의 대부분이 30대이었으며 대졸이상의 높은 학력을 지녔으나 대부분이 직장 없이 전업주부로 있었다. 어머니들은 자기효능감이 높고, 약간의 우울증을 경험하고 있으나 양육스트레스는 낮았다. 가족기능성과 가족 스트레스는 보통 수준이었으며 적응력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로 결혼생활에 만족하고 남편이 협력적이었으며 원 가족 중 정서적 지지를 해줄 친정어머니와 애착은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아동은 대부분 6세 이하의 남아로 경증 장애아이었다. 미시체계변인인 통합어린이집이나 치료기관에서 부모 교육과 상담을 대부분 경험했으며, 중간체계 변인인 통합어린이집과 치료기간의 부모교육과 상담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체계 변인인 주변 도움은 어느 정도 받고 있었으나 거시체계에서 더 많은 지원서비스를 절실히 필요로 하고 있다고 한 결과는 이들 장애아 가족들이 현재보다 더 다양하고 많은 지원이 필요하다는 욕구를 밝힌 것임을 알 수 있다. 조사 결과 밝혀진 실태가 장애아 가족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능력강화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제언을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교육인적자원부, "특수교육 발전 종합 계획" 교육인적자원부 2004

      2 정인숙, "정신지체학교의 부모참여 현황 및 개선에 관한 연구" 1998

      3 박현숙, "정신지체학교의 부모교육 개선방안" 1997

      4 이애현, "정신지체아와 자폐아 부모가 지각하는 가족요구, 가족특성 및 통제부위와 변인간 상관관계" 1996

      5 박명원, "정신지체아동 생활시설 재활서비스 프로그램 및 관리에 관한 연구" 1999

      6 장진국, "정신지체아 부모와 일반아 부모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1995

      7 윤경희, "정신지체 특수학교 부모교육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기초조사 연구" 1996

      8 최한범, "정신지체 장애아동을 위한 복지정책에 관한 연구" 1996

      9 양숙미, "정신지체 성인자녀 부모를 위한 역량강화 집단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2000

      10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장애인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

      1 교육인적자원부, "특수교육 발전 종합 계획" 교육인적자원부 2004

      2 정인숙, "정신지체학교의 부모참여 현황 및 개선에 관한 연구" 1998

      3 박현숙, "정신지체학교의 부모교육 개선방안" 1997

      4 이애현, "정신지체아와 자폐아 부모가 지각하는 가족요구, 가족특성 및 통제부위와 변인간 상관관계" 1996

      5 박명원, "정신지체아동 생활시설 재활서비스 프로그램 및 관리에 관한 연구" 1999

      6 장진국, "정신지체아 부모와 일반아 부모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1995

      7 윤경희, "정신지체 특수학교 부모교육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기초조사 연구" 1996

      8 최한범, "정신지체 장애아동을 위한 복지정책에 관한 연구" 1996

      9 양숙미, "정신지체 성인자녀 부모를 위한 역량강화 집단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2000

      10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장애인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

      1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장애인 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

      12 서경희, "장애영유아 어머니의 가족중심 서비스에 대한 욕구" 9 (9): 119-142, 1998

      13 윤종희, "장애아동의 생애초기 개입 서비스에서 가족중심 모형에 대한 문헌연구 : 생태학적 접근" 9 : 79-94, 2004

      14 최정옥, "장애아동의 부모지원정책 개발에 관한 연구" 1999

      15 김영, "장애아동 아버지의 스트레스와 대처행동" 1993

      16 고형백, "장애아동 부모의 아동에 관한 욕구와 대책에 관한 연구" 2000

      17 양경애, "장애아동 가족의 지원서비스에 대한 욕구조사" 2003

      18 서혜영, "장애아 어머니의 적응과 사회적 지원에 관한 연구" 1991

      19 하수민, "장애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대한가정학회 40 (40): 191-200, 2002

      20 하수민, "장애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40 (40): 191-200, 2002

      21 윤종희, "장애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문헌고찰" 11 (11): 1-17, 2004

      22 황미희, "장애아 부모의 양육부담과 사회복지서비스 욕구에 관한 연구" 2002

      23 김은숙, "자폐아 어머니와 정상아 어머니의 불안 좌절 비교 연구" 1986

      24 양경화, "일반아동과 자폐아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양육스트레스 연구" 2001

      25 김동배, "인간행동이론과 사회복지실천" 학지사 2005

      26 신숙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1997

      27 최형성,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 및 스트레스와 아동의 기질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2001

      28 김현용, "사회변화와 사회복지. 현대사회와 아동-아동복지의 시각에서" 소화 1997

      29 조선일보, "벨기에의 장애인들" 조선일보 2004.3.8

      30 정원미,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자녀 양육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가족기능에 관한 연구" 1994

      31 유수기,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사회복지서비스에 관한 연구" 대구대 2000

      32 손유니, "능력강화를 위한 가족지원프로그램이 장애아동 부모의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과 대처능력에 미치는 효과" 2000

      33 윤종희, "건강가정지원서비스에서 가족-중심 개입 모형연구: 생태학적 접근" 44 (44): 2006

      34 윤종희, "건강가정지원 서비스에서 가족-중심 개입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시 : 통합 장애아 가족의 능력강화를 위한 생태학적 접근" 44 (44): 2006

      35 김용욱, "가족환경 변인에 따른 취학전 장애아동 어머니의 사회적 욕구와 지지" 2002

      36 Bronfenbrenner,U, "Toward an experimental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32 : 513-531, 1977

      37 Singer, "The impact of infant disability on maternal perception of stress" 444-449, 1989

      38 Garbarino, "The human ecology of early risk Handbook of early childhood interven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78-96, 1990

      39 McCubbin, "The family stress the Double ABCX model of adjustment and adaptation in McCubin Advances and Developments in Family Stress Theory and Research" Haworth Press 7-37, 1983

      40 Cornwell, J, "The family as a system and a context for early intervention : Context of early intervention: systems & settings" Brookes Pub. Co. 93-110, 1997

      41 U,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Harvard University Press 1979

      42 & Eicher, "Journal of Home Economics" 28-31, 1979

      43 Beckmann, "Influence of Selected Child Characteristic on Stress in Families of Handicapped Infants American Journal of Mental Deficiency" 1983

      44 U, "Ecological models of human development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Education" 1994

      45 Noh, "Delineating sources of stress in parents in parents of exceptional children" 456-461, 1989

      46 Thurman, S. K, "Context of early intervention: systems & settings" Paul H. Brookes Pub. Co. 1997

      47 Olson,D.H, "Circumplex model Ⅶ:Validation Studies and FACES Ⅲ" 25 : 337-351, 1986

      48 Beck, "Assessment of depression The depression inventory In P Psychological measurement in psychopharmacology Modern problems in pharmacopsychiatry" 151-169, 1974

      49 Bailey, D, "Assessing needs of families with handicapped infants" 22 (22):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8 1.88 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5 2.02 2.36 0.4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