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석방이 허용되지 아니하는 무기형 = Institutionalizing Life Sentence without Parole in Korean Criminal Cod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314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23년 10월 ‘가석방이 허용되지 아니하는 무기형’을 두면서, 무기형 선고시 가석방 허용 여부를 함께 선고하도록 하는 정부형법개정안이 국회 제출되었다. 판결로 가석방이 허용되지 아니하는 무기형의 도입은 형법 제41조상 형종(刑種)의 신설은 아니지만 엄벌주의적 입법의 사실상 효과가 고려되어 있다. 한편 사실상 사형폐지와 형의 시효 완성에 따른 집행면제 대상에서 사형을 제외한 2023년 8월 형법개정 현실을 조합하면 적어도 현재 사형수에 대해서는 절대적 종신형이 사실상 도입된 상태다. 사실상 사형폐지에 이어 사실상 절대적 종신형의 도입이 절대적 종신형의 법제화를 거쳐 법적 사형폐지로 나아가게 될지 관심 있게 지켜볼 사안이기도 하다.
      절대적 종신형의 논거는 종래 사형과 같이 사회로부터 영구격리할 필요성이겠으나, 생명이 아니라 사회로 돌아갈 삶을 누릴 자유를 박탈함으로써 실행된다. 영구격리의 결과인 점에서 동일 효과라면 사형폐지에 따른 대체형으로서 필요성과 정당성을 인정받을 수 있는 이유다. 종래 사형이 교화가능성의 부인판단 결과 생명을 박탈하는 불가역적 처벌이기 때문에 인권침해와 위헌 비판을 피할 수 없었던데 비해, 절대적 종신형은 교화가능성 부인판단에도 불구하고 생명이 유지되기 때문에 사면 등을 통한 부인판단의 교정이 불가하지 않다. 절대적 종신형의 정당성과 필요성, 실효성에 대한 판단의 관건은 가석방불허 판단의 양형 입법규정과 기준상 참작사유 단계에 있다. 정부입법안을 엄벌과 응보, 인권과 자유만을 들어 다투는 단정적이고 평면적인 차원보다는 형벌 종류로서 무기형의 내용과 행형프로그램 개선뿐만 아니라 사형폐지 여부와 대안을 논의하는 전향적 계기가 되도록 정책논의를 이끌어 갈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2023년 10월 ‘가석방이 허용되지 아니하는 무기형’을 두면서, 무기형 선고시 가석방 허용 여부를 함께 선고하도록 하는 정부형법개정안이 국회 제출되었다. 판결로 가석방이 허용되지 아니...

      2023년 10월 ‘가석방이 허용되지 아니하는 무기형’을 두면서, 무기형 선고시 가석방 허용 여부를 함께 선고하도록 하는 정부형법개정안이 국회 제출되었다. 판결로 가석방이 허용되지 아니하는 무기형의 도입은 형법 제41조상 형종(刑種)의 신설은 아니지만 엄벌주의적 입법의 사실상 효과가 고려되어 있다. 한편 사실상 사형폐지와 형의 시효 완성에 따른 집행면제 대상에서 사형을 제외한 2023년 8월 형법개정 현실을 조합하면 적어도 현재 사형수에 대해서는 절대적 종신형이 사실상 도입된 상태다. 사실상 사형폐지에 이어 사실상 절대적 종신형의 도입이 절대적 종신형의 법제화를 거쳐 법적 사형폐지로 나아가게 될지 관심 있게 지켜볼 사안이기도 하다.
      절대적 종신형의 논거는 종래 사형과 같이 사회로부터 영구격리할 필요성이겠으나, 생명이 아니라 사회로 돌아갈 삶을 누릴 자유를 박탈함으로써 실행된다. 영구격리의 결과인 점에서 동일 효과라면 사형폐지에 따른 대체형으로서 필요성과 정당성을 인정받을 수 있는 이유다. 종래 사형이 교화가능성의 부인판단 결과 생명을 박탈하는 불가역적 처벌이기 때문에 인권침해와 위헌 비판을 피할 수 없었던데 비해, 절대적 종신형은 교화가능성 부인판단에도 불구하고 생명이 유지되기 때문에 사면 등을 통한 부인판단의 교정이 불가하지 않다. 절대적 종신형의 정당성과 필요성, 실효성에 대한 판단의 관건은 가석방불허 판단의 양형 입법규정과 기준상 참작사유 단계에 있다. 정부입법안을 엄벌과 응보, 인권과 자유만을 들어 다투는 단정적이고 평면적인 차원보다는 형벌 종류로서 무기형의 내용과 행형프로그램 개선뿐만 아니라 사형폐지 여부와 대안을 논의하는 전향적 계기가 되도록 정책논의를 이끌어 갈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review a government Amendment of Criminal Code Bill of October 2023 to introduce “life sentence without parole”. The combination of the de facto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and the August 2023 amendment to the Criminal Code, which excludes the death penalty from the exemption from execution due to the completion of the sentenced imprisonment, has effectively introduced so-called “mandatory life imprisonment, at least for those currently on death row. It is to be examined if the introduction of de facto absolute life imprisonment, followed by the codification of life imprisonment without parole, will lead to the legal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in Korea.
      The rationale for life imprisonment without parole is the need for incapacitate high-risk criminals from society, as with the death penalty, but it is implemented by depriving the offender of the freedom to return to society, not life itself. This is why it is necessary and justifiable as an alternative to the death penalty under the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if it has the same effect as a result of incapacitation. While the death penalty has been criticized for human rights violations and unconstitutionality because it is an irreversible punishment that deprives a person of life, life imprisonment without parole still has a chance to back to society through clemency, because life is maintained despite the denial of rehabilitation. The key to judging the legitimacy, necessity, and effectiveness of life imprisonment without parole proposed in the 2023 Bill lies in the extenuating circumstances stage of the sentencing legislation and sentencing guideline for determining ineligibility for parole.
      번역하기

      This article aims to review a government Amendment of Criminal Code Bill of October 2023 to introduce “life sentence without parole”. The combination of the de facto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and the August 2023 amendment to the Criminal Code...

      This article aims to review a government Amendment of Criminal Code Bill of October 2023 to introduce “life sentence without parole”. The combination of the de facto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and the August 2023 amendment to the Criminal Code, which excludes the death penalty from the exemption from execution due to the completion of the sentenced imprisonment, has effectively introduced so-called “mandatory life imprisonment, at least for those currently on death row. It is to be examined if the introduction of de facto absolute life imprisonment, followed by the codification of life imprisonment without parole, will lead to the legal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in Korea.
      The rationale for life imprisonment without parole is the need for incapacitate high-risk criminals from society, as with the death penalty, but it is implemented by depriving the offender of the freedom to return to society, not life itself. This is why it is necessary and justifiable as an alternative to the death penalty under the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if it has the same effect as a result of incapacitation. While the death penalty has been criticized for human rights violations and unconstitutionality because it is an irreversible punishment that deprives a person of life, life imprisonment without parole still has a chance to back to society through clemency, because life is maintained despite the denial of rehabilitation. The key to judging the legitimacy, necessity, and effectiveness of life imprisonment without parole proposed in the 2023 Bill lies in the extenuating circumstances stage of the sentencing legislation and sentencing guideline for determining ineligibility for parol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법무부, "「형법」 일부개정법률안 조문별 개정이유서" 2023

      2 윤상민, "형법의 개정과제" 한국법학회 22 (22): 1-28, 2022

      3 국회법제사법위원회, "형법 일부개정법률안(형법 총칙 전면개정)에 대한 공청회 자료집" 2011

      4 이기수, "한국 형법의 제·개정 경과와 발전과제" 법학연구소 38 (38): 577-608, 2014

      5 주현경, "절대적 종신형 도입에 대한 비판적 검토" 법학연구원 (68) : 385-420, 2013

      6 이정아, "이상동기범죄 등 흉악범죄 처벌 강화 방안"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2023

      7 윤정숙, "수형자 경비처우급 분류지표 및 교정재범예측지표 개선방안연구"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2021

      8 이승준, "사형폐지와 ‘새로운’ 상대적 종신형의 채택" 법학연구원 17 (17): 123-150, 2007

      9 국가인권위원회, "사형제도에 대한 국가인권위원회의 의견" 2004

      10 헌법재판소, "사형제 사건 [2019헌바59 형법 제41조 제1호 등 위헌소원] (보도자료 2022.7.13.)"

      1 법무부, "「형법」 일부개정법률안 조문별 개정이유서" 2023

      2 윤상민, "형법의 개정과제" 한국법학회 22 (22): 1-28, 2022

      3 국회법제사법위원회, "형법 일부개정법률안(형법 총칙 전면개정)에 대한 공청회 자료집" 2011

      4 이기수, "한국 형법의 제·개정 경과와 발전과제" 법학연구소 38 (38): 577-608, 2014

      5 주현경, "절대적 종신형 도입에 대한 비판적 검토" 법학연구원 (68) : 385-420, 2013

      6 이정아, "이상동기범죄 등 흉악범죄 처벌 강화 방안"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2023

      7 윤정숙, "수형자 경비처우급 분류지표 및 교정재범예측지표 개선방안연구"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2021

      8 이승준, "사형폐지와 ‘새로운’ 상대적 종신형의 채택" 법학연구원 17 (17): 123-150, 2007

      9 국가인권위원회, "사형제도에 대한 국가인권위원회의 의견" 2004

      10 헌법재판소, "사형제 사건 [2019헌바59 형법 제41조 제1호 등 위헌소원] (보도자료 2022.7.13.)"

      11 한영수, "사형의 대체형벌로서 종신형의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학회 33 (33): 97-126, 2021

      12 이원경, "사형의 대체방안으로서 종신형제도에 관한 제 문제" 한국교정학회 69 (69): 267-291, 2015

      13 허일태, "사형의 대안으로서 절대적 종신형 도입방안"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17 (17): 37-62, 2006

      14 권지혜, "미국의 가석방 불가 종신형에 관한 비판적 고찰" 법학연구소 52 : 1-32, 2022

      15 유정화 ; 이형석, "미국에서 사형제 폐지의 대안으로 절대적 종신형 제도의 최근 동향과 시사점 - 연방대법원 결정례를 중심으로 -" 사단법인 한국법이론실무학회 10 (10): 281-312, 2022

      16 Smit, Dirk van Zyl, "Whole Life Sentences and the Tide of European Human Rights Jurisprudence: What Is to Be Done?" 14 : 2014

      17 Nellis, Ashley, "Throwing Away the Key : The Expansion of Life Without Parole Sentences in the US" 23 (23): 2010

      18 Appleton, Catherine, "The Pros and Cons of Life without Parole" 47 : 2007

      19 Leigey Margaret E., "The Fiscal and Human Costs of Life Without Parole" 99 (99): 2019

      20 O`Hear, Michael, "The Beginning of the End for Life Without Parole?" 23 (23): 2010

      21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Resolution for a moratorium on the use of the death penalty A/RES/77/463, A/RES/75/183"

      22 Penal Reform International, "Life imprisonment-A policy briefing"

      23 United Nations, "Life Imprisonment"

      24 Cunninghan, Mark D., "A Comparative Examination of Prison Misconduct Rates Among Life-Without-Parole and Other Long-Term High Security Inmates" 33 (33): 2006

      25 법무부 형사기획과, "80년도 이후 사형수 확정 등 자료"

      26 법무부, "2023 교정통계연보" 202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