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韓․中 여성 교육서의 서사책략과 문화이데올로기 - 15세기 明․朝鮮의≪內訓≫을 중심으로 - = Narrative strategy and Culture ideology of Female education book in 15Century Korea & China - Focus on "Neixun" in Ming Dynasty & Ch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773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內训≫是一本由明代仁孝文皇后编纂的女性教育书。身为明成祖皇后的她是一名女性知识者,自小就开始了对经书的学习。她意识到有必要编写一本以儒教意识形态为基础,记载着详细实...

      ≪內训≫是一本由明代仁孝文皇后编纂的女性教育书。身为明成祖皇后的她是一名女性知识者,自小就开始了对经书的学习。她意识到有必要编写一本以儒教意识形态为基础,记载着详细实例的女性教育书籍,便于永乐3年(1405年)编纂了这本共计20页的≪內訓≫。此书被制成教材本是为了教育皇室女性,但后来也逐渐传播到了皇室外的普通人家。因此,内训中所记载的女性教育标准也就成为了当时中国女性文化中占据支配地位的意识形态。明朝≪內训≫被编纂于70年后的成化已未年(朝鲜成宗6年,1475年),朝鲜也编著了与≪內训≫同名的女性教育书籍,其作者为朝鲜成宗之母后小惠王后韩氏。她从≪小学≫,≪烈女≫,≪女教≫,≪明鑑≫等书中摘选所需章节编著了朝鲜最早的女性教育书--≪內训≫。朝鲜≪內训≫编纂的初衷不只是针对宫内,还以教育民间女性为目的。正因如此,此书便成为15世纪主导朝鲜女性文化的意识形态。在朝鲜≪內训≫的序文中,虽然并没有提及此书的编写是否受到了明朝≪內训≫的影响,但从两书题目的一致,以及同是为创建以儒教意识形态为基础的女性文化的层面来看,它们有着相同的特性。并且从两书的作者--仁孝文皇后与小惠王后来看,同为当时学习儒教教育的女性知识者的她们也有着相同之处。更有趣的是,编纂朝鲜≪內训≫的小惠王后的姑姑作为贡女被进贡给明朝,成为了成祖的后宫。因此,有史料记载小惠王后很有可能在编纂朝鲜≪內训≫之前就看过仁孝文皇后的≪內训≫,随后也产生了在朝鲜编纂与其相似的女性教育书的想法。基于以上论述,本论文对于明朝≪內训≫与朝鲜≪內训≫的成书背景进行了考察,同时还对于这两本女性教育书所运用的叙事策略进行了研究。除此之外,还分析了当时存在于朝鲜与明朝之间的贡女制度的意义。由此可以看出,明朝≪內训≫与朝鲜≪內训≫在推动儒教成为15世纪主要文化意识形态的过程中起到了重大作用。同时也说明了这种儒教文化意识形态的植入,是通过女性知识者的叙事策略,也就是说是通过女性教育书的编写与普及而实现的。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숙인, "女四書" 도서출판 여이연 2003

      2 정구선, "중세 시대의 환관과 공녀"

      3 鄭在書, "東亞女性的起源-從女性主義角度解析列女傳" 人民文學出版社 2005

      4 한희숙, "朝鮮초기 昭惠王后의 생애와 <內訓>" 한국사상문화학회 (27) : 81-132, 2005

      5 國史編纂委員會, "朝鮮王朝實錄"

      6 이경하, "內訓ㆍ과 ‘小學ㆍ烈女ㆍ女敎ㆍ明鑑’의 관계 재고"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7) : 237-271, 2008

      7 昭惠王后 韓氏, "內訓" 열화당 1985

      8 Dorothy Ko, "Teachers of the Inner Chamber: Woman and Culture in Seventeenth-Century China"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4

      1 이숙인, "女四書" 도서출판 여이연 2003

      2 정구선, "중세 시대의 환관과 공녀"

      3 鄭在書, "東亞女性的起源-從女性主義角度解析列女傳" 人民文學出版社 2005

      4 한희숙, "朝鮮초기 昭惠王后의 생애와 <內訓>" 한국사상문화학회 (27) : 81-132, 2005

      5 國史編纂委員會, "朝鮮王朝實錄"

      6 이경하, "內訓ㆍ과 ‘小學ㆍ烈女ㆍ女敎ㆍ明鑑’의 관계 재고"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7) : 237-271, 2008

      7 昭惠王后 韓氏, "內訓" 열화당 1985

      8 Dorothy Ko, "Teachers of the Inner Chamber: Woman and Culture in Seventeenth-Century China"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3 0.13 0.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8 0.18 0.368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