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Laat, M, 31 : 7-, 2003
2 Yoo, K.-J, 19 : 159-, 2014
3 Ko, Y, 17 : 129-, 2011
4 Walsh, E, 20 : 1-, 2012
5 Reilly, M, 78 : 1185-, 2012
6 Lin, Y.-T, 23 : 1-, 2015
7 Jarvela, S, 10 : 71-, 2007
8 Williams, A. J, 88 : 683-, 2011
9 Lim, H., 21 : 668-, 2001
10 Matthews, M. R., 11 : 121-, 2002
1 Laat, M, 31 : 7-, 2003
2 Yoo, K.-J, 19 : 159-, 2014
3 Ko, Y, 17 : 129-, 2011
4 Walsh, E, 20 : 1-, 2012
5 Reilly, M, 78 : 1185-, 2012
6 Lin, Y.-T, 23 : 1-, 2015
7 Jarvela, S, 10 : 71-, 2007
8 Williams, A. J, 88 : 683-, 2011
9 Lim, H., 21 : 668-, 2001
10 Matthews, M. R., 11 : 121-, 2002
11 Siemens, G., 2 : 3-, 2005
12 Lim, K. Y, 15 : 65-, 2012
13 Renzi, S., 3 : 317-, 2000
14 Rummel, N, 14 : 201-, 2005
15 노태희, "협동적 CAI에서 소집단 구성 방법에 따른 언어적 상호작용" 대한화학회 49 (49): 575-583, 2005
16 주영, "중학생의 집단주의 성향에 따른 과학 협동학습에서 언어적 상호작용 양상의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 34 (34): 221-233, 2014
17 임정훈, "스마트러닝 기반 개별학습 및 협력학습이 학업성취도, 자기주도학습 및 사회적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9 (19): 1-24, 2013
18 김민경, "스마트기기 활용 이야기나누기활동에서의 사회적 행동 및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 전자칠판을 활용한 유아안전교육을 중심으로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1 (21): 263-289, 2016
19 김소영, "소셜네트워크 학습환경에서 학습자의 심리적 특성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공학회 28 (28): 707-728, 2012
20 이현영,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 탐구실험 과정에서 학생-학생 상호작용 양상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2 (22): 660-670, 2002
21 이상수, "면대면 학습 환경과 온라인 실시간/비실시간 학습 환경에서의 상호작용 패턴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0 (20): 63-88, 2004
22 윤정현, "과학 수업에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소집단 학습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 36 (36): 519-526, 2016
23 Kim, K., "The Effects of Cooperative CAI and Reciprocal Peer Tutoring CAI in Chemistry Concept Learning: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Verbal Interaction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5
24 Ministry of Educati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Science"
25 Vygotsky, L. S.,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Harvard University Press 1978
26 Kang, S., "Concept Learning Strategy Emphasizing Social Consensus during Discussion: Instructional Effect and Verbal Interaction in Small Group Discuss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