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Ⅰ. 머리말
- Ⅱ. 효종대 조조의(朝祖儀) 논의
- Ⅲ. 영조대 조조의 설행 및 공간 논의
- Ⅳ. 정조대 조조의 재논의
- Ⅴ. 맺음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70302
2021
Korean
조조의(朝祖儀 ; Ancestral Farewell Rite) ; 『국조상례보편(國朝喪禮補編 ; Suppl ementary Compendium on State Funerary Rites)』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Manual of the Five State Rites)』 ; 『국조속오례의보(國朝續五禮儀補 ; Supplement to the Revised Manual of the Five State Rites』 ; 흉례(凶禮 ; Funerary Rite) ; 김집(金集 ; Kim Jip) ; 『고금상례이동(古今喪禮異同 ; Comparative Study of Ancient and Contemporary Funerary Rites)』
151
KCI등재
학술저널
121-148(2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욱, "조선시대 국왕의 죽음과 상장례 : 애통・존숭・기억의 의례화" 민속원 2017
2 안희재, "조선시대 국상의례 연구 : 국왕국장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0
3 박례경, "조선시대 國葬에서 朝祖儀 설행 논의와 결과"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1) : 173-200, 2007
4 이현진, "조선 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
5 정경희, "정조의 예학" 50 : 215-261, 2004
6 이현진, "정조 초 영조의 國葬 절차와 의미" 태동고전연구소 27 : 161-211, 2011
7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8 정경희, "영조의 예학" 25 : 201-226, 2002
9 안소정, "영조대 종묘 외대문 내외 공간의 행례" 서울역사편찬원 (104) : 85-130, 2020
10 이현진, "영조대 왕실 喪葬禮의 정비와 『國朝喪禮補編』" 한국사상사학회 (37) : 113-155, 2011
1 이욱, "조선시대 국왕의 죽음과 상장례 : 애통・존숭・기억의 의례화" 민속원 2017
2 안희재, "조선시대 국상의례 연구 : 국왕국장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0
3 박례경, "조선시대 國葬에서 朝祖儀 설행 논의와 결과"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1) : 173-200, 2007
4 이현진, "조선 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
5 정경희, "정조의 예학" 50 : 215-261, 2004
6 이현진, "정조 초 영조의 國葬 절차와 의미" 태동고전연구소 27 : 161-211, 2011
7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8 정경희, "영조의 예학" 25 : 201-226, 2002
9 안소정, "영조대 종묘 외대문 내외 공간의 행례" 서울역사편찬원 (104) : 85-130, 2020
10 이현진, "영조대 왕실 喪葬禮의 정비와 『國朝喪禮補編』" 한국사상사학회 (37) : 113-155, 2011
11 김진영, "규장각 소장 의궤 해제집(1)" 서울대학교 규장각 297-311, 2003
12 송지원, "국왕 영조의 국장절차와 『국조상례보편』" 조선시대사학회 (51) : 171-209, 2009
13 "英祖實錄"
14 "英宗大王國恤草日記"
15 "禮記"
16 "正祖實錄"
17 "孝宗實錄"
18 "國朝續五禮儀"
19 "國朝喪禮補編"
20 "國朝五禮儀"
21 이봉규, "喪禮 爭點을 통해 본 『國朝喪禮補編』의 志向」 - 「古今喪禮異同議」와 『國朝喪禮補編』의 관련 양상을 중심으로 -" 한국동양철학회 (36) : 87-114, 2011
22 "仁元王后國恤謄錄"
23 김문식, "『국조오례통편(國朝五禮通編)』의 자료적 특징" 한국문화연구원 12 : 65-106, 2007
24 이원택, "17세기 복제예송이 18세기 복제 예론에 미친 영향 - 예론의 지역적 분립과 학파 내의 분화를 중심으로" 한국국학진흥원 (13) : 59-96, 2008
경종대 신임옥사 이후 부사공신(扶社功臣) 녹훈(錄勳)과 회맹제(會盟祭) 시행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3-0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정신문화연구 -> 한국학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7-03-0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Academy of Korean ->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7-07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정신문화연구외국어명 : Korean Studies Quarterly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1 | 0.71 | 0.7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9 | 0.82 | 1.267 | 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