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명기, "한국재담자료집성 3" 1050-, 2009
2 황인덕, "한국기록소화사론" 태학사 1999
3 서대석, "한국구비문학에 수용된 재담 연구" 서울대출판부 2004
4 김준형, "한국 패설문학 연구" 보고사 2004
5 서대석, "한국 전통 소화에 나타난 웃음의 성격 : 성소화를 중심으로, In 한국의 웃음문화" 소명 2008
6 김동욱, "퇴계가 등장하는 성소화" 50 : 2010
7 조희웅, "토론문, In 한국의 웃음문화" 소명 122-, 2008
8 김동진, "죠션팔도 익살과 재담" 덕흥서림 28-30, 1927
9 "조선팔도 익살과 재담" 덕흥서림 1927
10 정병설, "조선의 음담패설" 예옥 5-, 2010
1 정명기, "한국재담자료집성 3" 1050-, 2009
2 황인덕, "한국기록소화사론" 태학사 1999
3 서대석, "한국구비문학에 수용된 재담 연구" 서울대출판부 2004
4 김준형, "한국 패설문학 연구" 보고사 2004
5 서대석, "한국 전통 소화에 나타난 웃음의 성격 : 성소화를 중심으로, In 한국의 웃음문화" 소명 2008
6 김동욱, "퇴계가 등장하는 성소화" 50 : 2010
7 조희웅, "토론문, In 한국의 웃음문화" 소명 122-, 2008
8 김동진, "죠션팔도 익살과 재담" 덕흥서림 28-30, 1927
9 "조선팔도 익살과 재담" 덕흥서림 1927
10 정병설, "조선의 음담패설" 예옥 5-, 2010
11 丁大一, "조선상말전집" 鄕土文化硏究會 1947
12 정병설, "조선 시대의 성과 이야기, In 조선의 음담패설" 예옥 128-136, 2010
13 서대석, "전통재담과 근대 공연재담의 상관관계, In 전통 구비문학과 근대 공연예술 1" 서울대출판부 2006
14 조동일, "재담집의 내용과 성격, In 한국문학 이해의 길잡이" 집문당 59-86, 1996
15 정명기, "재담자료집성 1-2" 보고사 2009
16 이홍우, "일제강점기 재담집 연구" 서울대학교 2006
17 정명기, "일제 치하 재담집에 대한 재검토, In 한국재담자료집성 1" 보고사 10-, 2008
18 이영아, "육체의 탄생" 민음사 272-301, 2008
19 선우일, "앙천대소" 문명사 1913
20 천정환, "식민지 조선인의 웃음:《삼천리》소재 소화와 신불출 만담의 경우" 문화사학회 (18) : 7-38, 2009
21 윤해동, "식민지 근대와 공공성, In 식민지 공공성 : 실체와 은유의 거리" 17-49, 2010
22 사에구사 도시카쓰(三枝 壽勝, "소화집(笑話集)과 화예(話藝)" 국어국문학회 (136) : 67-102, 2004
23 미셸 푸코, "성의 역사 1" 나남 2004
24 서영채, "사랑의 문법" 민음사 58-64, 2004
25 "본부 독살 사건으로 사형받은 절세미인, 금일에 복심 판결 결과가 어찌 될까 / 피고에 동정 편지. 근래 에 드문 일, 동아일보 1924년 8월 22일자"
26 성서인, "미인 제조 비법 공개" 15 : 1928
27 김동식, "낭만적 사랑의 의미론" 53 : 2001
28 신태삼, "깔깔우슴 주머니" 세창서관 29-, 1952
29 한청산, "기생철폐론" 1931
30 천정환, "근대의 책읽기" 푸른역사 108-145, 2003
31 야마무로 신이치, "근대 일본의 국민국가형성: 그 양상들 - 내셔널리즘의 학문과 대중연예, In 여럿이며 하나인 아시아" 창비 77-88, 2005
32 천정환, "관음증과 재현의 윤리: 식민지 조선에서의 ‘근대적 시각’의 성립에 관한 일 고찰" 한국사회사학회 (81) : 37-68, 2009
33 "고금기담집" 광명서관 1924
34 최인화, "걸작소화집" 1939
35 김준형, "각수록에 나타난 성과 그 의미" 40 :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