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감각중심 디지털 문화와 포스트휴먼 징후로서 `호모 센수스(homo sensus)`의 출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403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발달과 더불어 감각의 활용이 극대화되고 융합감각의 결정체로 존재하는 포스트휴먼화 과정에 인간이 놓여있다는 전제하에 이때의 인간을 ‘호모 센수스(ho...

      이 논문은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발달과 더불어 감각의 활용이 극대화되고 융합감각의 결정체로 존재하는 포스트휴먼화 과정에 인간이 놓여있다는 전제하에 이때의 인간을 ‘호모 센수스(homo sensus)’로 명명하고 이 호모 센수스의 포스트휴먼적 존재 조건과 양태에 대해 감각이론을 중심으로 탐구하고 있다. 사회의 ‘감각적 전회(sensual turn)’가 전면화되는 문화변동의 현실을 목격하면서 먼저, 감각의 문화사회학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다지기 위해 시각과 촉각의 의미, 촉각의 사회성 등에 대해 탐구하였다. 디지털 기기의 사용과 더불어 감각의 매개가 중요해지는 지금의 인간 존재 양태를, 인간과 기계가 형성하는 공감각(synesthesia), 디지털 기기를 통해 소통하는 인간의 사회적 정동(affect)의 층위, 디지털 문화 세대의 스타일과 정서의 조합과 구성에 감각이 동원되는 양상 등에 초점을 맞추어 예시적으로 살펴보았다. 이 연구에서 호모 센수스에 주목하는 이유는 디지털 시대의 문화적 조건이 인간의 감각세계와 감각에 대한 집중도와 세정도(high definition), 확산도에 있어 이전의 인간이 경험하던 차원과 획기적으로 달라지고 있기 때문이다. 감각 사회학의 이론적 토대 마련을 위하여 짐멜로부터 시작하여 최근의 사회과학에서 감각 연구(sensory studies)로 집약되고 있는 감각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링기스, 크래리, 하위즈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감각 비율의 변화, 감각과 신체와의 관계에 대한 매클루언의 ‘미디어로서 인간’에 대한 이해를 비롯해서 젠킨스의 융합문화, 그리고 헤일즈의 포스트휴먼 논의 등 관련 이론을 재검토해보면서 호모 센수스 등장의 징후와 관련한 설명틀을 구축하려 시도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studies the conditions and modes of existence of Homo Sensus as the posthuman with the theories of senses under the hypothesis that the human is in the process of posthumanization while the utilization of senses is maximized and so that the...

      This paper studies the conditions and modes of existence of Homo Sensus as the posthuman with the theories of senses under the hypothesis that the human is in the process of posthumanization while the utilization of senses is maximized and so that the human exist as the composition of converged senses according to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Paying attention to the cultural changes emerged by ‘sensual turn’, the meaning of visibility and haptic sense, sociality of touch are examined for the theoretical basis to establish the cultural sociology of sense as the first step. For the analysis of the mode of existence of homo sensus, synesthesia between the human and machine, the formation of social affect by the communication with digital devices and applications, and the phenomenon of mobilization of senses for the forming of style and sensation in the generation of digital culture are dealt with as important contents in this study. The reason why homo sensus becomes the central theme in this paper is that the cultural conditions in digital era are epoch-making in the level of concentration, high-definition and extension about senses and sensual world of the human. For the formation of theoretical basis for sensual sociology, various discussions about senses and sensory studies in social sciences from Simmel to Lingis, Crary, Howes & Classen are reviewed. Furthermore, the ratio of senses and the relation of senses and body in the context of ‘the human beings as media’ in the writings of McLuhan, convergence culture of Jenkins, and the discussion on the posthumanism of Hayles give inspiration for the formation of the theoretical framework to this study. The aims of this study lie in the formation of theory of homo sensus aa posthuman which can serve as basis for future case studies as empirical researches, so the importance of this paper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this trial for the theory building is the first step to earn the precise understanding on the society of sens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는 글 : 감각의 사회가 도래하고 있다
      • Ⅱ. 감각의 문화사회학을 구성하는 이론적 토대 고찰
      • Ⅲ. 디지털 미디어와 호모 센수스 출현의 조건과 징후들
      • Ⅳ. 나가는 글
      • 참고문헌
      • Ⅰ. 들어가는 글 : 감각의 사회가 도래하고 있다
      • Ⅱ. 감각의 문화사회학을 구성하는 이론적 토대 고찰
      • Ⅲ. 디지털 미디어와 호모 센수스 출현의 조건과 징후들
      • Ⅳ. 나가는 글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선웅, "한국사회의 문화풍경" 그린출판사 2013

      2 김홍중, "한국사회의 문화풍경" 그린 2013

      3 플루서, 빌렘., "피상성 예찬"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4 짐멜, 게오르그, "짐멜의 모더니티읽기" 새물결출판사 2005

      5 메를로-퐁티, 모리스,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 지성사 2008

      6 벨, 다니엘, "자본주의의 문화적 모순" 문학세계사 1990

      7 세베이지, 마이크, "자본주의 도시와 근대성" 한울 1993

      8 최현석, "인간의 모든 감각" 서해문집 2009

      9 이수안, "이미지 문화사회학" 북코리아 2012

      10 김홍중, "이론가는 왜 바보여야 하는가? : 발터 벤야민을 중심으로" 한국이론사회학회 15 (15): 7-38, 2009

      1 박선웅, "한국사회의 문화풍경" 그린출판사 2013

      2 김홍중, "한국사회의 문화풍경" 그린 2013

      3 플루서, 빌렘., "피상성 예찬"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4 짐멜, 게오르그, "짐멜의 모더니티읽기" 새물결출판사 2005

      5 메를로-퐁티, 모리스,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 지성사 2008

      6 벨, 다니엘, "자본주의의 문화적 모순" 문학세계사 1990

      7 세베이지, 마이크, "자본주의 도시와 근대성" 한울 1993

      8 최현석, "인간의 모든 감각" 서해문집 2009

      9 이수안, "이미지 문화사회학" 북코리아 2012

      10 김홍중, "이론가는 왜 바보여야 하는가? : 발터 벤야민을 중심으로" 한국이론사회학회 15 (15): 7-38, 2009

      11 드보르, "스펙타클의 사회" 현실문화연구 1996

      12 김상호, "미디어의 이해 : 인간의 확장"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13 박종성, "문화코드, 어떻게 읽을 것인가?" 한울아카데미 2008

      14 슈스터만, 리차드, "몸의 의식" 북코리아 2010

      15 이재현, "모바일미디어와 모바일사회"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16 제이, 마틴, "모더니티의 조망 체제" 시각과 언어 2009

      17 벤야민, 발터,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길 2007

      18 키틀러, 프리드리히, "광학적 미디어 : 1999년 베를린 강의 예술 기술전쟁" 현실문화 2011

      19 크래리, 조나단, "관찰자의 기술" 문화과학사 2001

      20 리즈만, 데이비드, "고독한 군중" 동서문화사 1978

      21 스미스, 마크, "감각의 역사" 사람의무늬 2010

      22 들뢰즈, "감각의 논리" 민음사 1995

      23 김문조, "감각과 사회 : 시각 및 촉각을 중심으로" 한국영상문화학회 18 (18): 7-31, 2011

      24 마수미, 브라이언, "가상계: 운동, 정동, 감각의 아쌍블라주" 갈무리 2011

      25 Paterson, Mark, "Touching space, Placing touch" Ashgate 2012

      26 Tyler, Stephen. A, "The vision quest in the West, or what the mind’s eye sees" 40 (40): 23-39, 1984

      27 Paterson, Mark, "The senses of Touch: Haptics, Affects and Technologies" Berg 2007

      28 Howes, David, "The Varieties of Sensory Experience A Sourcebook in the Anthropology of the Senses"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91

      29 Debord, Guy, "The Society of the Spectacle" Zone Books 1994

      30 McLuhan, Marshal, "The Gutenberg Galaxy"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62

      31 Howes, David, "The Expending Field of Sensory Studies"

      32 Clough, Patricia T.., "The Affect Theory Reader" Duke UP 2010

      33 Gregg, Melisa, "The Affect Theory Reader" Duke UP 2010

      34 Lingis, Alfonso, "Sensation: Intelligibility in Sensibility" Humanity Books 1996

      35 Paterson, Mark, "Review Essay: Charting the return to the senses" 26 : 563-569, 2008

      36 Herbrechter, Stefan, "Posthumanismus"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2009

      37 Hughes, James, "Posthumanism and Transhumanism" Ewha Womans University 2014

      38 Sorgner, Stefan, "Post- and Transhumanism: An Introduction" Peter Lang 2014

      39 Wallis, Cara, "Performing Gender: A Content Analysis of Gender Display in Music Videos" 64 : 160-172, 2011

      40 Jaffries, Stuart, "Orlan's art of sex and surgery"

      41 Simmel, Georg, "Jahrbuch der Gehe-Stiftung zu Dresden" 1903

      42 Hayles, N. K., "How we became posthuman: Virtual bodies in cybernetics, literature, and informa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0

      43 Goffman, Erving, "Gender Advertisements" Harper Colophon Books 1979

      4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TRI, 얇고 휘어지며 투명한 촉각센서 개발"

      45 Jenkins, Henry, "Convergence Culture" New York University Press 2006

      46 Hedge, Radha S, "Circuits of Visibility" New York UP 2011

      47 Lingis, Alfonso, "Body Transformations" Routledge 2005

      48 Sparrow, Tom, "Bodies in Transit: The Plastic Subject of Alphonso Lingis" 10 (10): 99-12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2-1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Cultural Sociology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7 1.27 1.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4 1.5 1.70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