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이 자료를 활용하여 중도의 기본적인 개념을 도출하여 팔정도가 실천적 중도에 해당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삼법인이 사성제의 항목인 고성제와 집성제를 논리적으로 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24590
1997년
English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이 자료를 활용하여 중도의 기본적인 개념을 도출하여 팔정도가 실천적 중도에 해당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삼법인이 사성제의 항목인 고성제와 집성제를 논리적으로 해...
본 연구에서는 이 자료를 활용하여 중도의 기본적인 개념을 도출하여 팔정도가 실천적 중도에 해당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삼법인이 사성제의 항목인 고성제와 집성제를 논리적으로 해명하고 있음을 알아보았다. 이 자료는 연구의 핵심 원자료로 활용된 전법륜경 도서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nglish and Pali (Pali in roman) Reprint. Originally published: London : Pali Text Society v.1 the Mahavagga(1997). - v.2 the Cullavagga(1995). - v.3 the Suttavibhanga, 1 (1993). - v.4 the Suttavibhanga, 2 (1993). -v.5 the Parivara(1982).
English and Pali (Pali in roman)
Reprint. Originally published: London : Pali Text Society
v.1 the Mahavagga(1997). - v.2 the Cullavagga(1995). - v.3 the Suttavibhanga, 1 (1993). - v.4 the Suttavibhanga, 2 (1993). -v.5 the Parivara(1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