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글은 인권교육과 도덕교육의 상관성, 인권의식과 인권감수성의 의미, 그리고 도덕과의 인권감수성 신장 교육의 방향 등에 대해 검토함으로써 도덕과에서 인권감수성을 신장하는 데 기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302390
2016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25-144(20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글은 인권교육과 도덕교육의 상관성, 인권의식과 인권감수성의 의미, 그리고 도덕과의 인권감수성 신장 교육의 방향 등에 대해 검토함으로써 도덕과에서 인권감수성을 신장하는 데 기여...
본 글은 인권교육과 도덕교육의 상관성, 인권의식과 인권감수성의 의미, 그리고 도덕과의 인권감수성 신장 교육의 방향 등에 대해 검토함으로써 도덕과에서 인권감수성을 신장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을 제안한다. 도덕과의 인권교육은 인권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단순히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인권친화적인 삶을 살도록 가르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도덕과 의 인권교육은 자신을 포함한 모든 사람들이 소유한 인권의 가치를 올바로 이해하고 그것을 존중하며 적극적으로 수호하는 삶을 살아가는 인간을 기르는 데 최종적인 목표를 두고 있다. 그래서 인권 수호를 위한 실천적인 책임감을 상실한 사람은 인권을 수호하는 행동을 실천에 옮길 수 없다. 일상생활에서 발생하고 있는 인권 침해 상황을 해결할 책임이 자신에게 있음 을 자각하고 이를 실천하고자 하는 의지가 강할 때 인권 수호 행동이 가능해진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도덕과의 인권감수성 신장 교육에는 추상적인 훈화나 교화의 방식보다는 일상 적으로 인권을 침해받고 있는 사회적 약자들의 삶을 소재로 한 학생 참여형 교수학습방법이 더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suggests the teaching & learning methods that can contribute to cultivate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in moral education. It examines the correlation of moral education and human rights education, the meaning of human consciousness, the me...
This paper suggests the teaching & learning methods that can contribute to cultivate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in moral education. It examines the correlation of moral education and human rights education, the meaning of human consciousness, the meaning of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the direction of education cultivating human rights sensitivity in moral subject. Human rights education in moral subject is to teach student to live a human rights-friendly life, not simply to transfer information and knowledge about human rights. In other words, human rights education has the ultimate goal of raising human beings who understand the values of human rights that are owned by all as well as oneself, respect the values, and live a life that actively defends the values. Therefore, a person who has lost the practical responsibility for protecting human rights can not take action to defend human rights. It is possible that the action for protecting human rights realizes only when we aware the responsibility for solving situations of the human rights violation in daily life and are willing to put human rights into action. Therefore, teaching & learning methods of a student participation type based on the lives of the social minority who is routinely infringed on human rights are more effective than the methods of an abstractive admonition and indoctrina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송현정, "현대 시민교육의 목표로서 인권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2 한국청소년 정책연구원, "한국 아동․청소년 인권실태 연구Ⅴ: 2015 아동․청소년 인권실태조사 통계" 2015
3 유병열, "학교 인권교육 강화 및 교사의 인권교육 역량 증진에 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원 23 (23): 51-71, 2012
4 DR 하브루터교육연구회, "하브루타 질문 수업" 경향 BP 2016
5 Lock, J., "통치론 : 시민정부의 참된 가원, 범위 및 그 목적에 관한 시론" 까치글방 1996
6 이범웅, "초등교사를 위한 도덕과 교육실제" 인간사랑 2009
7 박경서, "지구촌 시대의 평화와 인권 : 국제기구에 도전하는 젊은이에게" (주)나남 2009
8 박효정, "중등학생 인권 실태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006
9 Aristoteles, Politica, "정치학" 도서출판 숲 2009
10 Talbott, W. J., "인권의 발견" 한길사 2011
1 송현정, "현대 시민교육의 목표로서 인권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2 한국청소년 정책연구원, "한국 아동․청소년 인권실태 연구Ⅴ: 2015 아동․청소년 인권실태조사 통계" 2015
3 유병열, "학교 인권교육 강화 및 교사의 인권교육 역량 증진에 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원 23 (23): 51-71, 2012
4 DR 하브루터교육연구회, "하브루타 질문 수업" 경향 BP 2016
5 Lock, J., "통치론 : 시민정부의 참된 가원, 범위 및 그 목적에 관한 시론" 까치글방 1996
6 이범웅, "초등교사를 위한 도덕과 교육실제" 인간사랑 2009
7 박경서, "지구촌 시대의 평화와 인권 : 국제기구에 도전하는 젊은이에게" (주)나남 2009
8 박효정, "중등학생 인권 실태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006
9 Aristoteles, Politica, "정치학" 도서출판 숲 2009
10 Talbott, W. J., "인권의 발견" 한길사 2011
11 국가인권위원회, "인권감수성 지표 개발 연구" 2002
12 Kateb, J., "인간의 존엄" 말글빛냄 2012
13 문미희, "예비교사를 위한 인권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한국학술정보(주) 2005
14 Rest, J., "도덕발달 이론과 연구-도덕판단력, 행동, 문화 그리고 교육" 학지사 2008
15 교육부, "도덕과 교육과정"
16 교육부, "도덕 5 교사용 지도서" ㈜천재교육 2015
17 구정화, "교사를 위한 학교 인권교육의 이해" 아침이슬 2007
18 "http://www.viva100.com/main/view.php?key=20160728010008149"
19 "http://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73281"
20 "http://kids.hankooki.com/lpage/news/201604/kd20160428161748125630.htm"
21 Osler, A., "Teachers and Human Rights Education" Institute of Education Press 2010
22 Garcia, R. L., "Multicultural Education for 21st Century" Addison-Wesley Educational Publishers 208-216, 2001
23 Print, M., "Moral and human rights education : the contribution of the United Nations" 37 (37): 115-132, 2008
24 Katz, L. G., "Katz와 Chard의 프로젝트 접근법" 아카데미프레스 2013
25 Volker, J. M., "Counseling Experience, Moral Judgement, Awareness of Consequences and Moral Sensibility in Counseling Practice" University of Minnesota 1984
26 광주광역시교육청 교육정책연구소, "2015년 민주인권친화도 실태조사" 광주교육정책연구소 2016
하이트(J. Haidt)의 사회적 직관주의 모델의 도덕 교육적 함의
드레이커스의 이론을 통해 살펴본 학생 문제 행동에 대한 대응방법과 도덕과 교사의 역량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4-12-23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Mor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Moral & Ethics Education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5-23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도덕윤리과교육외국어명 : Journal of Moral & Ethics Education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 | 0.6 | 0.6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9 | 0.57 | 0.961 | 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