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확장된 안무의 장에서 수행적 드라마투르기 = The Performative Dramaturgy in the Field of Expanded Choreograph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732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erformativity of dramaturgy with in the field of expanded choreography. I look into the concepts of expanded choreography after the 1990s and discuss Jeroen Peeters’s dramaturgy in the respect of performativity.
      The characteristics of expanded choreography are as follow. First, choreographers are capable of producing knowledge rather than an artifact. The knowledge that can be produced is not rigid but more comprehensive. Second, the choreographers carry out experimental choreography with the paradigm of interdisciplinary and meta-media performing arts. They All the collaborators can be considered as an author which used to be given to only choreographers. Third, many choreographers attempt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and society. They consider the social engaging of dance into the choreography.
      To examine how dramaturgs elaborate their own performativity in the area of expanded choreography, I have chosen the physical dramaturgy of Jeroen Peeters. I found results as below. First, a theory can be discovered in the choreographic practice. Materials can be chosen not only body gestures and movements but also other media, philosophy, and theories.
      Second, the dramaturg should approach to the process of choreography with empirical research. The practice of dramaturgy is involved in embodied thinking, in structuring, and performative operation of whole process. Third, the role of dramaturgy is performatively changed in every individual work. In contrast with the classical dramaturgy, the new dramaturgy in contemporary dance not deal with the abstraction of knowledge but practice in the way of performativity.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erformativity of dramaturgy with in the field of expanded choreography. I look into the concepts of expanded choreography after the 1990s and discuss Jeroen Peeters’s dramaturgy in the respect of performativity. The c...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erformativity of dramaturgy with in the field of expanded choreography. I look into the concepts of expanded choreography after the 1990s and discuss Jeroen Peeters’s dramaturgy in the respect of performativity.
      The characteristics of expanded choreography are as follow. First, choreographers are capable of producing knowledge rather than an artifact. The knowledge that can be produced is not rigid but more comprehensive. Second, the choreographers carry out experimental choreography with the paradigm of interdisciplinary and meta-media performing arts. They All the collaborators can be considered as an author which used to be given to only choreographers. Third, many choreographers attempt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and society. They consider the social engaging of dance into the choreography.
      To examine how dramaturgs elaborate their own performativity in the area of expanded choreography, I have chosen the physical dramaturgy of Jeroen Peeters. I found results as below. First, a theory can be discovered in the choreographic practice. Materials can be chosen not only body gestures and movements but also other media, philosophy, and theories.
      Second, the dramaturg should approach to the process of choreography with empirical research. The practice of dramaturgy is involved in embodied thinking, in structuring, and performative operation of whole process. Third, the role of dramaturgy is performatively changed in every individual work. In contrast with the classical dramaturgy, the new dramaturgy in contemporary dance not deal with the abstraction of knowledge but practice in the way of performativ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컨템퍼러리 댄스에서 안무의 미학적, 형식적 변화와 함께 드라마투르기(Dramaturgy)를탐색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90년대 이후 전개된 확장된 안무의 개념을 살펴보고 드라마투르기 작업 사례를 분석하여 드라마투르기의 개념적, 실천적 논의를 전개했다.
      컨템퍼러리 댄스에서는 무용의 자율적인 매커니즘을 벗어나 타매체와의 교류와 합류를 통해 창작의가능성을 발견하고, 안무의 과정에서 담론과 이론 등 지식생산을 춤의 주요한 과업으로 고려한다. 이러한 안무의 인식론적, 방법론적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매체의 다양성, 담론 생성, 협업 등을 토대로안무의 실험이 전개되고 있으며, 기존의 움직임의 나열과 구성에 초점을 맞춘 좁은 의미에서의 안무를벗어나 ‘확장된 안무’로 논의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컨템퍼러리 댄스의 안무 개념 및 실천과 변화의 배경에서 수행적 드라마투르기에 관한개념적 논의와 유럽의 드라마투르그 예룬 피터스(Jeroen Peeters)의 드라마투르기를 사례를 중심으로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했다. 첫째, 수행적 드라마투르그는 고전적 드라마투르기에서 강조되었던 텍스트 중심의 역할에서 해방되어 창작 과정에서의 실천을 강조한다. 드라마투르그의 정체성은 고정된 것이아니라 창작의 과정에서 자유로운 ‘행위’를 통해 매번 변화한다. 둘째, 안무의 재료에 대한 실증적 접근을 강조한다. 안무의 과정에서 수집되는 재료들은 드라마투르그와 같은 협업자들이 ‘공동의’ 감각과 이미지를 발생시키고 대화를 만들기 위해서 중요한 요소이다. 셋째, 협업의 방법론에 대한 요구이다. 작업의 과정에서 협업자들은 각자의 관점과 감각으로 참여하며 이들의 실천은 무대 위에서 이질적으로 존재한다. 공동의 작업을 위한 안무의 방법론과 도구의 개발은 안무의 재료를 선정하고 질문을 구체화하며, 장면의 구성을 위해서 중요한 과정이다.
      본고에서는 드라마투르기의 수행적 접근을 체계적으로 살피고 드라마투르기를 새롭게 변화하는 안무의 맥락 안에 위치시키고자하며, 21세기의 춤을 이해할 수 있는 관점을 제시하고자 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컨템퍼러리 댄스에서 안무의 미학적, 형식적 변화와 함께 드라마투르기(Dramaturgy)를탐색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90년대 이후 전개된 확장된 안무의 개념을 살펴보고 드...

      본 연구는 컨템퍼러리 댄스에서 안무의 미학적, 형식적 변화와 함께 드라마투르기(Dramaturgy)를탐색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90년대 이후 전개된 확장된 안무의 개념을 살펴보고 드라마투르기 작업 사례를 분석하여 드라마투르기의 개념적, 실천적 논의를 전개했다.
      컨템퍼러리 댄스에서는 무용의 자율적인 매커니즘을 벗어나 타매체와의 교류와 합류를 통해 창작의가능성을 발견하고, 안무의 과정에서 담론과 이론 등 지식생산을 춤의 주요한 과업으로 고려한다. 이러한 안무의 인식론적, 방법론적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매체의 다양성, 담론 생성, 협업 등을 토대로안무의 실험이 전개되고 있으며, 기존의 움직임의 나열과 구성에 초점을 맞춘 좁은 의미에서의 안무를벗어나 ‘확장된 안무’로 논의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컨템퍼러리 댄스의 안무 개념 및 실천과 변화의 배경에서 수행적 드라마투르기에 관한개념적 논의와 유럽의 드라마투르그 예룬 피터스(Jeroen Peeters)의 드라마투르기를 사례를 중심으로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했다. 첫째, 수행적 드라마투르그는 고전적 드라마투르기에서 강조되었던 텍스트 중심의 역할에서 해방되어 창작 과정에서의 실천을 강조한다. 드라마투르그의 정체성은 고정된 것이아니라 창작의 과정에서 자유로운 ‘행위’를 통해 매번 변화한다. 둘째, 안무의 재료에 대한 실증적 접근을 강조한다. 안무의 과정에서 수집되는 재료들은 드라마투르그와 같은 협업자들이 ‘공동의’ 감각과 이미지를 발생시키고 대화를 만들기 위해서 중요한 요소이다. 셋째, 협업의 방법론에 대한 요구이다. 작업의 과정에서 협업자들은 각자의 관점과 감각으로 참여하며 이들의 실천은 무대 위에서 이질적으로 존재한다. 공동의 작업을 위한 안무의 방법론과 도구의 개발은 안무의 재료를 선정하고 질문을 구체화하며, 장면의 구성을 위해서 중요한 과정이다.
      본고에서는 드라마투르기의 수행적 접근을 체계적으로 살피고 드라마투르기를 새롭게 변화하는 안무의 맥락 안에 위치시키고자하며, 21세기의 춤을 이해할 수 있는 관점을 제시하고자 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옥란, "한국연극과 드라마투르기" 연극과 인간 2016

      2 Lehmann, H., "포스트드라마 연극" 현대미학사 2006

      3 김재리, "춤에서 교환되는 것들에 대하여: 무용 드라마투르그 콘스탄자 쉐로우와의 대화"

      4 Butler, J., "젠더 트러블" 문학동네 2008

      5 최영주, "수행적 드라마투르기와 창조적 드라마투르그" 한국연극교육학회 22 (22): 299-338, 2013

      6 Fischer-Lichte, E., "수행성의 미학: 현대예술의 혁명적 전환과 새로운 퍼포먼스의 미학" 문학과 지성사 2017

      7 "베를린 소핀잘레 극장(The Sophiensaele)홈페이지"

      8 "베를린 HAU 극장 (Hebbel am ufer)홈페이지"

      9 김미희, "무용드라마투르기 담론을 통해 본 드라마투르기의 방향성" 한국예술연구소 (12) : 211-234, 2015

      10 Charmatz, B., "Undertraining: On a Contemporary Dance" Les presses du réel 2012

      1 김옥란, "한국연극과 드라마투르기" 연극과 인간 2016

      2 Lehmann, H., "포스트드라마 연극" 현대미학사 2006

      3 김재리, "춤에서 교환되는 것들에 대하여: 무용 드라마투르그 콘스탄자 쉐로우와의 대화"

      4 Butler, J., "젠더 트러블" 문학동네 2008

      5 최영주, "수행적 드라마투르기와 창조적 드라마투르그" 한국연극교육학회 22 (22): 299-338, 2013

      6 Fischer-Lichte, E., "수행성의 미학: 현대예술의 혁명적 전환과 새로운 퍼포먼스의 미학" 문학과 지성사 2017

      7 "베를린 소핀잘레 극장(The Sophiensaele)홈페이지"

      8 "베를린 HAU 극장 (Hebbel am ufer)홈페이지"

      9 김미희, "무용드라마투르기 담론을 통해 본 드라마투르기의 방향성" 한국예술연구소 (12) : 211-234, 2015

      10 Charmatz, B., "Undertraining: On a Contemporary Dance" Les presses du réel 2012

      11 Crunțeanu, L., "The power of ‘Co-‘ in Contemporary Dance"

      12 Georgelou, K., "The Practice of Dramaturgy Working on Actions in Performance" Valiz 2017

      13 Miller. R., "The Oxford Handbook of Dance and Theater" Oxford University Press 90-108, 2015

      14 Cvejić, B., "The Ignorant Dramaturg" 16 (16): 2010

      15 Kunst, B., "The Economy of Proximity: Dramaturgical work in contemporary dance" 14 (14): 81-88, 2009

      16 Stamer, P., "Ten Altered Notes on Dramaturgy" 16 : 36-39, 2010

      17 Spångberg, M., "Post-Dance" Modern Dance Theatre 349-393, 2017

      18 Trencsényi, K., "New Dramaturgy: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Theory and Practice" Bloomsbury Methuen Drama 2014

      19 Wikström, J., "MA SoDA Double-Lecture Critique Light/Identity Games"

      20 스위스 취히리 예술대학교 홈페이지, "MA Dramaturgy" Zürcher Hochschule der Künste

      21 Derrida, J., "Limited Inc"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1-23, 1988

      22 Pada. R., "Iterability and Différance: Re-tracing the Context of the Text" 3 (3): 68-89, 2009

      23 Roy, Xavier le., "It takes place when it doesn’t: on dance and performance since 1989" Revolver 49-50, 2006

      24 Spångberg, M., "It Takes Place When It Doesn’t: On Dance and performance Since 1989" Revolver 58-71, 2006

      25 Peeters, J., "Heterogeneous Dramaturgies" 16 (16): 17-27, 2010

      26 바르셀로나 현대 미술관 The Museu d’Art Contemporani de Barcelona (MACBA), "Expanded Choreography"

      27 Lepecki, A., "Exhausting Dance: Performance and the Politics of Movement" Routledge 2006

      28 Marranca. B., "Dancing the sublime" 2010

      29 Bauer, B., "Dance Dramaturgy: Modes of Agency, Awareness and Engagement" Palgrave Macmillan 31-50, 2015

      30 Nakajama N, "Dance Dramaturgy: Modes of Agency, Awareness and Engagement" Palgrave Macmillan 163-179, 2015

      31 Lepecki, A., "Damage Goods" Les Presses du réel 64-71, 2010

      32 네덜란드 우트렉 대학교 홈페이지, "Contemporary Theatre, Dance and Dramaturgy" Utrecht University

      33 Wildschut, L., "Contemporary Choreography" Routledge 383-398, 2009

      34 Cvejić, B., "Chreographing Problem: Expressive Concepts in European Contemporary Dance and Performance" Palgrave Macmillan 2015

      35 Lepecki, A., "Choreography as Apparatus of Capture" The MIT Press 51 (51): 119-123, 2007

      36 독일 기센대학교 홈페이지, "Choreograph and Performance" Justus-Liebig-Universität

      37 Imschoot, M., "Anxious Dramaturgy" 26 : 57-68, 2003

      38 SARMA, "Anthology Jeroen Peeter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12-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DDH -> Asian Dance journal KCI등재
      2020-04-09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Dance Society for Documentation & History -> The Society for Dance Documentation & History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8-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DSDH -> The Journal of SDDH KCI등재
      2014-04-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무용기록학회 -> 무용역사기록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for Dance Documentation -> The Dance Society for Documentation & History
      KCI등재
      2014-04-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무용기록학회지 -> 무용역사기록학
      외국어명 : The Korean Jounal of Dance Documentation -> The Journal of DSDH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 Society for Dance Document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7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1 0.81 0.943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