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초등학생 친구 네트워크 하위그룹 식별과 학업도움 네트워크 형성 요인 탐색 = Identifying Cohesive Subgroup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iendship Networks and Exploring Academic Help Networks Formation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162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 네트워크 분석의 통계적 기법을 활용하여 초등학생 친구 네트워크의 하위그룹을 식별하고, 이들의 학업도움 네트워크 형성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에 첫째, 초등...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 네트워크 분석의 통계적 기법을 활용하여 초등학생 친구 네트워크의 하위그룹을 식별하고, 이들의 학업도움 네트워크 형성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에 첫째, 초등학생의 친구네트워크와 학업도움 네트워크를 2015년 1학기(N=273)와 2학기(N=259)에 측정하였다. 둘째, 친구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친한 친구 하위그룹을 Frank(1995)의 기법을 사용하여 식별하였고, 이를 시각화 하였다. 셋째, 사회선택 모형인 p2 모형을 적용하여 사전 학업도움 네트워크와 성별을 통제한 상태에서 학업도움 네트워크의 형성에 형식적.비형식적 조직, 성취목표, 학업성취도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우선, 친한 친구 하위그룹 식별 결과, 초등학생들의 하위그룹은 주로 같은 성별인 학생들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같은 반 여부는 학년에 따라 조금씩 다른 양상을 보였다. 다음으로 학업도움 네트워크 형성요인 분석 결과, 첫째, 형식적 조직인 같은 반과 비형식적 조직인 친한 친구 하위그룹은 모두 학업도움 네트워크 형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동일한 친한 친구 하위그룹의 소속 여부(비형식적조직)가 같은 반 소속 여부(형식적 조직)보다 학업도움 네트워크 형성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이 더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도움 제공자와 수혜자의 학업수행접근목표 차이는 학업도움 네트워크형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사회숙달목표는 학업도움 제공에 정적인 영향을, 사회수행접근목표는 학업도움 제공에는 부적인 영향을, 그리고 학업도움 수혜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도움 네트워크 형성에 학업성취도의 유유상종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dentifying cohesive subgroup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 friendship networks and to explore the effects of achievement goals, academic achievement, formal and informal organization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dentifying cohesive subgroup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 friendship networks and to explore the effects of achievement goals, academic achievement, formal and informal organization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help networks formation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Specifically, we measur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iendship networks and academic help networks in Gyeonggi province in Spirng(N=273) and Fall(N=259) 2015. Second, we identified cohesive subgroups based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lose friends network and presented sociograms with explanation. Third, we analyzed the effects of formal and informal organizations, achievement goals, academic achievement on academic help networks formation after controlling for gender using p2 models. Firstly, the results of identifying cohesive subgroups indicated that cohesive subgroups consisted of same gender in general, but showed different aspects by grade. Secondly, the results of multilevel p2 models indicated that formal organization(classrooms) and informal organization(cohesive sub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ly related to academic help network formation. Additionally, social mastery goals was statistically positively related to providing academic help, while social performance approach goals was statistically negatively related to providing academic help and social performance approach goals was statistically positively related to receiving academic help. Finally, there was homophily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on academic help network form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매일경제, "항상 ‘왜’라고 묻고 누구와 협력할지 고민하라"

      2 염혜선, "학업적, 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의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학업적, 사회적 적응의 차이" 한국교육심리학회 30 (30): 255-276, 2016

      3 이주화, "학업적 성취목표지향성 척도 개발" 한국교육심리학회 19 (19): 311-326, 2005

      4 조한익, "초등학생의 학업·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 자기결정성, 학업성취도 및 학교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7 (27): 207-229, 2014

      5 곽미숙, "초등학생의 성취목표 지향 프로파일 분석"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6 한지연, "청소년 흡연과 교유관계에 관한 연구- 사회 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2 (22): 173-193, 2005

      7 안혜진, "사회적 성취목표 척도의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6 (26): 853-875, 2012

      8 염혜선, "사회적 및 학업적 맥락에서의 유능감과 성취목표지향성, 학업성취, 또래관계 질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29 (29): 185-207, 2015

      9 김종민, "사회선택 통계모형의 방법론적 특성과 p2 와 p* 모형을 활용한 남자고등학생의 영어도움 네트워크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8 (28): 753-777, 2015

      10 김태준, "비인지적 역량 개발을 통한 창의인성교육의 국제동향" 한국교육개발원 2015

      1 매일경제, "항상 ‘왜’라고 묻고 누구와 협력할지 고민하라"

      2 염혜선, "학업적, 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의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학업적, 사회적 적응의 차이" 한국교육심리학회 30 (30): 255-276, 2016

      3 이주화, "학업적 성취목표지향성 척도 개발" 한국교육심리학회 19 (19): 311-326, 2005

      4 조한익, "초등학생의 학업·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 자기결정성, 학업성취도 및 학교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7 (27): 207-229, 2014

      5 곽미숙, "초등학생의 성취목표 지향 프로파일 분석"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6 한지연, "청소년 흡연과 교유관계에 관한 연구- 사회 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2 (22): 173-193, 2005

      7 안혜진, "사회적 성취목표 척도의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6 (26): 853-875, 2012

      8 염혜선, "사회적 및 학업적 맥락에서의 유능감과 성취목표지향성, 학업성취, 또래관계 질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29 (29): 185-207, 2015

      9 김종민, "사회선택 통계모형의 방법론적 특성과 p2 와 p* 모형을 활용한 남자고등학생의 영어도움 네트워크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8 (28): 753-777, 2015

      10 김태준, "비인지적 역량 개발을 통한 창의인성교육의 국제동향" 한국교육개발원 2015

      11 이은해, "대학생의 친구에 대한 만족감과 친구의 기능 및 친구관계망의 구조적 변인 간의 관계" 37 (37): 201-219, 1999

      12 조진만, "가족구조와 친구연결망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사회과학연구소 43 (43): 47-71, 2012

      13 Van Duijn, M. A. J., "p2 : A random effects model with covariates for directed graphs" 58 (58): 234-254, 2004

      14 Moreno, J., "Who shall survive:A new approach to the problem of human interrelations" Nervous and mental disease 1934

      15 Dowson, M., "What do students say about their motivational goals? : Towards a more complex and dynamic perspective on student motivation" 28 (28): 91-113, 2003

      16 VandeWalle, D., "The role of goal orientation following performance feedback" 86 (86): 629-640, 2001

      17 Frank, K. A., "The organization as a filter of institutional diffusion" 115 : 1-33, 2013

      18 Zijlstra, B., "The multilevel p2 model : A random effects model for the analysis of multiple social networks" 2 (2): 42-47, 2006

      19 Penuel, W. R., "The alignment of the informal and formal organizational supports for reform : Implications for improving teaching in schools" 46 : 57-95, 2010

      20 Frank, K. A., "Subgroups as meso-level entities in the social organization of schools. Social organization of schooling" Russell Sage 2005

      21 Wasserman, S.,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and. applic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22 Ryan, A. M., "Social achievement goals : The nature and consequences of different orientations toward social competence" 32 (32): 1246-1263, 2006

      23 정혜온, "SNA에 의한 교우관계 분석과 지도 방안" 교육연구소 13 (13): 137-158, 2007

      24 Lazega, E., "Position in formal structure,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choices of advisors in a law firm : A logistic regression model for dyadic network data" 19 (19): 375-397, 1997

      25 Trogdon, J. G., "Peer effects in adolescent overweight" 27 (27): 1388-1399, 2008

      26 최승현, "PISA와 TIMSS 결과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의 정의적 성취 실태 분석-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 한국학교수학회 17 (17): 23-43, 2014

      27 Reagans, R., "Network structure and knowledge transfer : The effects of cohesion and range" 48 (48): 240-267, 2003

      28 Brophy, J., "Motivating students to learn" Routledge 2010

      29 Zijlstra, B., "Model selection in random effects models for directed graphs using approximated Bayes factors" 59 (59): 107-118, 2005

      30 Mendelson, M. J., "Measuring friendship quality in late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 McGill friendship questionnaires" 31 (31): 130-132, 1999

      31 O Frank, O., "Markov graphs" 81 : 832-842, 1986

      32 Frank, K. A., "Mapping interactions within and between cohesive subgroups" 18 (18): 93-119, 1996

      33 Zijlstra, B., "Manual p2. Version 4.0.0.0" Heymans institute, University of Groningen 2005

      34 Meyer, J. W., "Institutionalized organizations : Formal structure as myth and ceremony" 83 (83): 340-363, 1977

      35 Frank, K. A., "Identifying cohesive subgroups" 17 (17): 27-56, 1995

      36 Kandel, D. B., "Homophily, selection, and socialization in adolescent friendships" 84 (84): 427-436, 1978

      37 Ryan, A. M., "Help-seeking tendencies during early adolescence : An examination of motivational correlates and consequences for achievement" 21 (21): 247-256, 2011

      38 Brown, B. B., "Handbook of adolescent psychology" Wiley 74-103, 2009

      39 Shrum, W., "Friendship in school : Gender and racial homophily" 61 (61): 227-239, 1988

      40 Espelage, D. L., "Examination of peer-group contextual effects on aggression during early adolescence" 74 (74): 205-220, 2003

      41 Levy, I., "Early adolescents' achievement goals, social status, and attitudes towards cooperation with peers" 7 (7): 127-159, 2004

      42 Holland, P. W., "An exponential family of probability distributions for directed graphs" 76 : 33-65, 1981

      43 Spillane, J. P., "An exploratory analysis of formal school leaders’ positioning in instructional advice and information networks in elementary schools" 119 (119): 73-102, 2012

      44 Simpkins, S. D., "Adolescent friendships, BMI, and physical activity : Untangling selection and influence through longitudinal social network analysis" 23 (23): 537-549, 2013

      45 Tanaka, A., "Achievement goals, attitudes toward help seeking, and help-seeking behavior in the classroom" 13 (13): 23-35, 2002

      46 Shim, S. S., "Academic and social achievement goals and early adolescents' adjustment : A latent class approach" 30 : 98-105, 2014

      47 Liem, G. A. D., "Academic and social achievement goals : Their additive, interactive, and specialized effects on school functioning" 86 (86): 37-56, 2016

      48 Flashman, J., "Academic achievement and its impact on friend dynamics" 85 (85): 61-80, 2012

      49 Snijders, T. A. B., "A multilevel network study of the effects of delinquent behavior on friendship evolution" 27 (27): 123-151, 2003

      50 Elliot, A. J., "A 2 × 2 achievement goal framework" 80 (80): 501-519,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1 0.91 0.9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2 1.03 1.646 0.3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