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 포병 사격제원 산출모형 구축 = Construction of artillery fire data calculation model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육군 포병은 자동화된 사격지휘체계를 이용하여 신속한 화력지원을 하고 있다. 그러나 자동화된 사격지휘체계를 사용할 수 없을 경우에는 대체 수단으로 수동식 사격제원산출 방법을 사용한다. 하지만 이 방법은 계산시간이 오래 걸리고, 검증수단이 없어서 계산과정에서 오류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는 자동화된 사격지휘체계 불가용 시에 사용할 수 있는 사격제원산출 모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사격제원산출 모형은 수동식 사격제원 산출을 위한 것으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서 구축되었다. 모형 구축을 위한 각종 제원은 난수를 이용하여 산출되었으며, 실제 전방 포병부대의 적 표적에 대한 제원을 통해 제안하는 모형을 검증하였다. 제안하는 모형을 통해 간단한 다항식 계산으로 신속하고 정확한 사격제원이 산출이 가능할 것이다.
      번역하기

      육군 포병은 자동화된 사격지휘체계를 이용하여 신속한 화력지원을 하고 있다. 그러나 자동화된 사격지휘체계를 사용할 수 없을 경우에는 대체 수단으로 수동식 사격제원산출 방법을 사용...

      육군 포병은 자동화된 사격지휘체계를 이용하여 신속한 화력지원을 하고 있다. 그러나 자동화된 사격지휘체계를 사용할 수 없을 경우에는 대체 수단으로 수동식 사격제원산출 방법을 사용한다. 하지만 이 방법은 계산시간이 오래 걸리고, 검증수단이 없어서 계산과정에서 오류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는 자동화된 사격지휘체계 불가용 시에 사용할 수 있는 사격제원산출 모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사격제원산출 모형은 수동식 사격제원 산출을 위한 것으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서 구축되었다. 모형 구축을 위한 각종 제원은 난수를 이용하여 산출되었으며, 실제 전방 포병부대의 적 표적에 대한 제원을 통해 제안하는 모형을 검증하였다. 제안하는 모형을 통해 간단한 다항식 계산으로 신속하고 정확한 사격제원이 산출이 가능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OKA' field artillery has used an automated tactical command system to provide rapid fire support. However, if an automated tactical command system is not available, a manual method which calculates firing data is used as an alternative method. But this method takes a long time to calculate and there is no verification method to check it. Therefor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error in the calculation process. This study suggests new models to calculate firing data that can be used when an automated tactical command system is not available. The proposed models are construct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the manual method and to calculate firing data quickly and accurately. The various parameters for constructing the proposed models were calculated using random numbers, and they were verified through firing data of the enemy targets of the actual forward artillery units. The proposed models will contribute to produce fast and accurate firing data only using simple polynomial calculations.
      번역하기

      ROKA' field artillery has used an automated tactical command system to provide rapid fire support. However, if an automated tactical command system is not available, a manual method which calculates firing data is used as an alternative method. But th...

      ROKA' field artillery has used an automated tactical command system to provide rapid fire support. However, if an automated tactical command system is not available, a manual method which calculates firing data is used as an alternative method. But this method takes a long time to calculate and there is no verification method to check it. Therefor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error in the calculation process. This study suggests new models to calculate firing data that can be used when an automated tactical command system is not available. The proposed models are construct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the manual method and to calculate firing data quickly and accurately. The various parameters for constructing the proposed models were calculated using random numbers, and they were verified through firing data of the enemy targets of the actual forward artillery units. The proposed models will contribute to produce fast and accurate firing data only using simple polynomial calculatio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육군본부, "훈련평가 32-3=200-2-3 전술훈련 평가지침서(대포대대)" 2013

      2 육군본부, "훈련평가 32-222-1-4 종합전투력 측정 및 전술훈련 평가지침서(대포포대)" 2013

      3 육군포병학교, "포술원리 지름길" 2012

      4 신규용, "측지정확도가 포병사격에 미치는 영향분석" 화랑대연구소 67 (67): 319-344, 2011

      5 "육군대학 정규 45기 논문집" 1988

      6 김세용, "에이전트 기반 모의를 통한 갱도포병 타격방안 연구" 국방대학교 국방관리대학원 2009

      7 이충내, "야포 사격제원 산출의 전산화 연구" (44) : 1997

      8 육군본부, "야전교범 기준-4-1 화력" 2015

      9 육군본부, "야전교범 32-4 포병포술(관측)" 2010

      10 육군본부, "야전교범 32-3 포병포술(사격지휘)" 2010

      1 육군본부, "훈련평가 32-3=200-2-3 전술훈련 평가지침서(대포대대)" 2013

      2 육군본부, "훈련평가 32-222-1-4 종합전투력 측정 및 전술훈련 평가지침서(대포포대)" 2013

      3 육군포병학교, "포술원리 지름길" 2012

      4 신규용, "측지정확도가 포병사격에 미치는 영향분석" 화랑대연구소 67 (67): 319-344, 2011

      5 "육군대학 정규 45기 논문집" 1988

      6 김세용, "에이전트 기반 모의를 통한 갱도포병 타격방안 연구" 국방대학교 국방관리대학원 2009

      7 이충내, "야포 사격제원 산출의 전산화 연구" (44) : 1997

      8 육군본부, "야전교범 기준-4-1 화력" 2015

      9 육군본부, "야전교범 32-4 포병포술(관측)" 2010

      10 육군본부, "야전교범 32-3 포병포술(사격지휘)" 2010

      11 육군본부, "야전교범 32-22 포병대대 전술계산기 운용(BTCS A1)" 2012

      12 육군본부, "야전교범 0 지상군 기본교리" 2011

      13 김상철, "미 포병교 수동식 사격지휘 교육관련 보고" 육군교육사령부 2006

      14 안명환, "대대급 화력(포병 부대)의 지휘통제(C2)를 위한 전술적 사격지휘 자동화 절차" 한국통신학회 35 (35): 1738-1747, 2010

      15 문용준,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PMV 모델의 단순화" 대한설비공학회 19 (19): 761-769, 2007

      16 육군본부, "교육참고 32-0-51(155-K55-5)155밀리 곡사포 기본사표" 1989

      17 육군본부, "교육참고 32-0-19 155밀리 곡사포 보조사표(HE→DP-ICM 공중)" 1990

      18 배현웅, "R과 함께하는 상관 및 회귀분석" 교우사 2010

      19 M Blaha, "Decisions in the perspective automated artillery fire support" 2011

      20 M Blaha, "Communication environment in the perspective Automated Artillery Fire Support Control System"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2 0.12 0.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2 0.13 0.278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