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의 목적은 한국군 군대윤리의 기반이 되기에 적합한 도덕이론이 덕윤리임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군대윤리로서의 공리주의와 의무론이 갖는 문제점을 살펴보고 덕윤리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502592
심재광 (우석대학교)
2017
Korean
Military Ethics ; Virtue Ethics ; Deontology ; Utilitarianism ; Flexible Thinking ; Harmonious Balance. ; 군대윤리 ; 덕윤리 ; 의무론 ; 공리주의 ; 유연한 사고 ; 조화로운 균형
KCI등재
학술저널
105-128(24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한국군 군대윤리의 기반이 되기에 적합한 도덕이론이 덕윤리임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군대윤리로서의 공리주의와 의무론이 갖는 문제점을 살펴보고 덕윤리가 ...
이 글의 목적은 한국군 군대윤리의 기반이 되기에 적합한 도덕이론이 덕윤리임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군대윤리로서의 공리주의와 의무론이 갖는 문제점을 살펴보고 덕윤리가 적합한 이유에 대해 살펴본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의무론이나 공리주의는 법칙 중심적인 이론들이기 때문에 특정 상황에서 어떤 법칙이나 원칙에 의존에 결정을 내릴 수밖에 없고, 이런 법칙이나 원칙에 편향된 판단을 내릴 수 있음을 살펴본다. 또한,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각각의 상황이 가지는 특수성이나 맥락을 파악하여 예외적인 결정을 내리는 유연한 사고를 하기 힘들고, 해당 상황과 관련되어 있는 이해 당사자들의 이익을 고루 심사숙고하여 이들 간에 조화로운 균형점을 찾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는 것을 밝힌다. 반면에 덕윤리적 입장에서는 행위자를 중심으로 각각의 상황이 가지는 특수성이나 맥락을 파악하여 예외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유연한 사고가 가능하며, 해당 상황과 관련되어 있는 이해 당사자들의 이익을 고루 심사숙고하여 이들 간에 조화로운 균형점을 찾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른 이론들보다 한국군 군대윤리의 기반이 되기에 더욱 적합함을 보일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at the virtue ethics is an appropriate moral theory for being a foundation of military ethics of Korean army. To this end, I will examine the problems of utilitarianism and deontology as military ethics and 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at the virtue ethics is an appropriate moral theory for being a foundation of military ethics of Korean army. To this end, I will examine the problems of utilitarianism and deontology as military ethics and find out why the virtue ethics is more suitable. First of all, I will show that because utilitarianism or deontology are law-centric theories, we cannot help deciding base on certain laws or principles and therefore we could make biased decisions in these certain laws or principle. And I will show that due to these features it is hard to make a flexible thinking which enables us to make exceptional decisions by comprehending distinct characteristics or contexts of situations, and they also make it more difficult to find a Harmonious Balance between them through contemplating on benefits of people related with the situations. On the other hand, from the perspective of virtue ethics, it is possible to make flexible thinking based on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r circumstances of each situation. And it is also possible to consider the benefit of each party related to some situations. For these reasons, it would be more suitable than other theories for the base of military ethics of Korean army.
참고문헌 (Reference)
1 나은영, "한국인의 가치관 변화 추이: 1979년,1998년,및 2010년의 조사 결과 비교"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4 (24): 63-93, 2010
2 손동현, "한국사회의 윤리적 현실, 그 난국과 극복의 길"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14
3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윤리형이상학 정초 (해제)" 2006
4 Christopher Bennett, "윤리란 무엇인가" 知와 사랑 2013
5 박찬구, "우리들의 응용 윤리학" 도서출판 울력 2012
6 장동익, "새 규범 윤리학으로서의 덕윤리의 가능성" 한국철학회 (68) : 2001
7 이승호, "미래전쟁 양상 변화와 지상군 역할"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2 (22): 107-137, 2015
8 이민수, "리더의 최고 덕목은 역사적 통찰력이다" 철학과 현실사 2014
9 황경식, "덕윤리의 현대적 의의" 아카넷 2012
10 노영란, "덕윤리의 비판적 조명" 철학과 현실사 2009
1 나은영, "한국인의 가치관 변화 추이: 1979년,1998년,및 2010년의 조사 결과 비교"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4 (24): 63-93, 2010
2 손동현, "한국사회의 윤리적 현실, 그 난국과 극복의 길"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14
3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윤리형이상학 정초 (해제)" 2006
4 Christopher Bennett, "윤리란 무엇인가" 知와 사랑 2013
5 박찬구, "우리들의 응용 윤리학" 도서출판 울력 2012
6 장동익, "새 규범 윤리학으로서의 덕윤리의 가능성" 한국철학회 (68) : 2001
7 이승호, "미래전쟁 양상 변화와 지상군 역할"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2 (22): 107-137, 2015
8 이민수, "리더의 최고 덕목은 역사적 통찰력이다" 철학과 현실사 2014
9 황경식, "덕윤리의 현대적 의의" 아카넷 2012
10 노영란, "덕윤리의 비판적 조명" 철학과 현실사 2009
11 윤민재, "군인 인권과 사고(자살)예방프로그램 연구" 5.18연구소 8 (8): 79-109, 2008
12 Philippa Foot, "Virtues and Vices and Other Essays in Moral Philosoph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8
13 Edmund L. Pincffs, "Quandaries and Virtues: Against Reductivism in Ethics" University Press of Kansas 1986
14 Aristotle, "Nicomachean Ethics" Hackett Publishing Company 1985
15 M. Slote, "Morals From Motiv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16 G. E. M. Anscomb, "Morality and Good Life"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17 Rosalind Hursthouse, "How Should One Live?"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18 M. Slote, "From Morality to Virtue" Oxford University Press 1992
19 Alasdair MacIntyre, "After Virtue"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1984
개정 군사법원법에 대한 비판적 연구 - 군사법원의설립과변천과정그리고군사법제도의발전방향-
군사전략이론 재고찰 : 군사전략학의 관점에서 인간과 통찰력의 역할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2 | 0.12 | 0.1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2 | 0.13 | 0.278 | 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