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의 학습된 무기력에 관한 융합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879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습된 무기력 정도와 학습된 무기력과 관련 있는 변인을 규명하여 대학생의 학습된 무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G도 H대학교와 C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79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1.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학습된 무기력 점수는 5점 중 2.55점(±.61)이었으며, 하위영역 중 ‘통제력 결여’가 2.85점(±.44)으로 가장 높았고, 교우관계, 학업성적, 가족 간 협력정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교우관계가 안 좋거나 학업성적이 낮은 경우, 가족 간 협력정도가 좋지 않은 경우에서 학습된 무기력이 높았고,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연구를 통해 대학생의 학습된 무기력을 설명할 수 있는 변인을 규명하여 대학생의 학습된 무기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여 학습된 무기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관리가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습된 무기력 정도와 학습된 무기력과 관련 있는 변인을 규명하여 대학생의 학습된 무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G도 H대학...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습된 무기력 정도와 학습된 무기력과 관련 있는 변인을 규명하여 대학생의 학습된 무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G도 H대학교와 C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79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1.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학습된 무기력 점수는 5점 중 2.55점(±.61)이었으며, 하위영역 중 ‘통제력 결여’가 2.85점(±.44)으로 가장 높았고, 교우관계, 학업성적, 가족 간 협력정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교우관계가 안 좋거나 학업성적이 낮은 경우, 가족 간 협력정도가 좋지 않은 경우에서 학습된 무기력이 높았고,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연구를 통해 대학생의 학습된 무기력을 설명할 수 있는 변인을 규명하여 대학생의 학습된 무기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여 학습된 무기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관리가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evel of learned helplessness and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affecting their learned helplessness. We have carried out research on 799 students.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s a result, the mean score of learned helplessness was 2.55 (±.61), Of the sub-domains, ‘lack of control' was the highest with 2.85 (±.44). And It was found that the helplessness was high in the case of poor fellowship, low academic achievement and poor family cooperation. These result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hrough the follow-up research,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management to reduce the learned helplessness by developing differentiated program that can reduce the learned helplessness of university students by identifying variables that can explain the learned helplessness of university studen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evel of learned helplessness and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affecting their learned helplessness. We have carried out research on 799 students.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evel of learned helplessness and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affecting their learned helplessness. We have carried out research on 799 students.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s a result, the mean score of learned helplessness was 2.55 (±.61), Of the sub-domains, ‘lack of control' was the highest with 2.85 (±.44). And It was found that the helplessness was high in the case of poor fellowship, low academic achievement and poor family cooperation. These result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hrough the follow-up research,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management to reduce the learned helplessness by developing differentiated program that can reduce the learned helplessness of university students by identifying variables that can explain the learned helplessness of university stud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1.1 연구의 필요성
      • 1.2 연구 목적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1.1 연구의 필요성
      • 1.2 연구 목적
      • 2. 연구 방법
      • 2.1 연구설계
      • 2.2 연구대상
      • 2.3 연구도구
      • 2.4 자료 분석 방법
      • 3. 연구 결과
      • 3.1 일반적 특성
      • 3.2 학습된 무기력
      • 3.3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습된 무기력
      • 3.4 가정요인, 학교요인과 학습된 무기력 간의 상관관계
      • 4. 논의
      • 5.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혜원, "학업스트레스 및 성적과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 한국상담학회 5 (5): 883-897, 2004

      2 김아영, "학업동기 척도 표준화 연구" 한국교육평가학회 15 (15): 157-184, 2002

      3 박경환, "학습된 무기력과 실패내성이 학업성취도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식경영학회 9 (9): 61-76, 2008

      4 옥일남,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학습된 무력감 연구- 사회과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6 (36): 105-140, 2004

      5 정문주, "청소년의 학습된 무기력과 관련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청소년학회 23 (23): 31-65, 2016

      6 이명진, "청소년기의 학습된 무기력" 한국교육학회 51 (51): 77-105, 2013

      7 전경애, "지방대학생의 ‘학습된 무기력’ 및 ‘무기력 행동’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7 (37): 57-81, 2010

      8 전훈, "지각된 유능감과 교실목표구조에 의한 동기 변인 예측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999-1027, 2010

      9 전미애, "전문계 고등학생의 학습된 무기력과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관계" 대한공업교육학회 35 (35): 1-19, 2010

      10 최수이, "오케스트라 동아리 참여 대학생의 성취도 및 만족도 조사 - 통계적 방법과 오피니언 마이닝의 융합적 측면" 한국융합학회 6 (6): 25-31, 2015

      1 강혜원, "학업스트레스 및 성적과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 한국상담학회 5 (5): 883-897, 2004

      2 김아영, "학업동기 척도 표준화 연구" 한국교육평가학회 15 (15): 157-184, 2002

      3 박경환, "학습된 무기력과 실패내성이 학업성취도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식경영학회 9 (9): 61-76, 2008

      4 옥일남,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학습된 무력감 연구- 사회과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6 (36): 105-140, 2004

      5 정문주, "청소년의 학습된 무기력과 관련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청소년학회 23 (23): 31-65, 2016

      6 이명진, "청소년기의 학습된 무기력" 한국교육학회 51 (51): 77-105, 2013

      7 전경애, "지방대학생의 ‘학습된 무기력’ 및 ‘무기력 행동’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7 (37): 57-81, 2010

      8 전훈, "지각된 유능감과 교실목표구조에 의한 동기 변인 예측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999-1027, 2010

      9 전미애, "전문계 고등학생의 학습된 무기력과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관계" 대한공업교육학회 35 (35): 1-19, 2010

      10 최수이, "오케스트라 동아리 참여 대학생의 성취도 및 만족도 조사 - 통계적 방법과 오피니언 마이닝의 융합적 측면" 한국융합학회 6 (6): 25-31, 2015

      11 권순희, "부모의 양육태도, 학습된 무기력이 컴퓨터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정보학회 13 (13): 59-70, 2008

      12 강승주, "문제중심학습(PBL)과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학습동기에 대한 융합연구" 한국융합학회 7 (7): 33-41, 2016

      13 양경미,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우울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융합학회 7 (7): 113-123, 2016

      14 윤현경, "간호대학생의 학습된 무기력과 무기력 행동" 한국보건간호학회 29 (29): 244-256, 2015

      15 임경희, "가정, 학교 및 개인변인과 중학생의 학습된 무기력과의 관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5 (15): 473-507, 2004

      16 K. M. Shin, "On the development of a learned helplessness scale" Konkuk University 1990

      17 K. S. Oh, "Influence of Self-efficacy program on the Learned helplessness" Jeju National University 2014

      18 Seligman, M. E. P, "Helplessness : On Depression, development and Death" W. H. Freeman

      19 S. J. Park, "A Study on the Learning-Instruction Model for Learned Helplessness Decrease of the College" 9 (9): 95-113, 2012

      20 Burhans, K. K., "A Study on Students’ learned powerlessness in the social studies classroom activities" 36 (36): 105-139,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22-06-01 평가 등재학술지 취소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5.85 5.85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7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