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어 방향표시 전치사 체계의 재정립에 관한 小考: ‘冲’의 부각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043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bring up a new understanding for the Chinese directional prepositions through highlighting the function of ‘chong’ as a directional preposition. Although ‘chong’ originally has the use of indicating direction as a prepositio...

      This study aims to bring up a new understanding for the Chinese directional prepositions through highlighting the function of ‘chong’ as a directional preposition. Although ‘chong’ originally has the use of indicating direction as a preposition, not only was it rarely mentioned as a directional preposition, but also very little research on it has been done. Howeve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 analysis on the corpus, the frequency of ‘chong’ not only far exceeds the frequency of ‘chao’ but is also close to the frequency of ‘xiang’, so ‘chong’ needs to be highlighted as one of the directional prepositions along with ‘wang/xiang/chao’. Accordingly, this study compiled the spoken corpus with the lines of the Chinese drama ‘Aiqing zui meili’ and extracted the phrases including ‘wang/xiang/chao/chong’ from it, and analyzed the quantitative distribution and the differences of their functions of them. In connection with the quantitative distribution, the frequencies of ‘wang/xiang/chao/chong’ were first identified, and their usages were subdivided to analyze the frequency of each appearance. And then, the differences of the situations including ‘wang/xiang/chao/chong’ were examined by analyzing the meaning structures of verbs(or verb phrases) combined with the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기존 연구 동향 분석
      • 3.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4. ‘往/向/朝/冲’에 대한 정량 분석
      • 5. 전치사 ‘往/向/朝/冲’의 기능 분담 양상 분석
      • 1. 머리말
      • 2. 기존 연구 동향 분석
      • 3.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4. ‘往/向/朝/冲’에 대한 정량 분석
      • 5. 전치사 ‘往/向/朝/冲’의 기능 분담 양상 분석
      • 6.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王鵬, "한국어 조사와 중국어 개사의 대응관계 연구 : '~에, ~에서, ~에게'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8

      2 번웨이샤, "한국어 조사 {로}와 관련되는 중국어 개사(介飼) 대조 연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0 (10): 123-147, 2013

      3 장흔흔, "한국어 조사 '-에게'의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3

      4 소림, "한·중 방향표시 표현어의 비교 연구"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3

      5 최재영, "탄탄한 중국어 문법책" 동양북스 2018

      6 박정구, "중국어 전치사 연구" 중국어문학회 (5) : 349-376, 1998

      7 림문연, "중국어 [往+NP1+V] 구문과 [V+往+NP2] 구문의 의미구조 분석" 한국중국언어학회 (49) : 205-232, 2013

      8 박정구, "박샘의 친절한 중문법" 다락원 2005

      9 한민이, "맛있는 중국어 어법" JRC북스 2014

      10 김종호, "도표로 보는 정통 중국어 문법" 한티미디어 2007

      1 王鵬, "한국어 조사와 중국어 개사의 대응관계 연구 : '~에, ~에서, ~에게'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8

      2 번웨이샤, "한국어 조사 {로}와 관련되는 중국어 개사(介飼) 대조 연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0 (10): 123-147, 2013

      3 장흔흔, "한국어 조사 '-에게'의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3

      4 소림, "한·중 방향표시 표현어의 비교 연구"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3

      5 최재영, "탄탄한 중국어 문법책" 동양북스 2018

      6 박정구, "중국어 전치사 연구" 중국어문학회 (5) : 349-376, 1998

      7 림문연, "중국어 [往+NP1+V] 구문과 [V+往+NP2] 구문의 의미구조 분석" 한국중국언어학회 (49) : 205-232, 2013

      8 박정구, "박샘의 친절한 중문법" 다락원 2005

      9 한민이, "맛있는 중국어 어법" JRC북스 2014

      10 김종호, "도표로 보는 정통 중국어 문법" 한티미디어 2007

      11 황정인, "개사 '向, 往, 朝' 비교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

      12 최병덕, "現代漢語 介詞 ‘朝, 往, 向’에 관한 연구" 한국중국문화학회 (7) : 555-577, 1998

      13 丁崇明, "现代汉语语法教程" 北京大学出版社 2009

      14 中国社会科学院语言研究所词典编辑室, "现代汉语词典" 商务印书馆 2012

      15 刘月华, "实用现代汉语语法" 商务印书馆 2001

      16 房玉清, "实用汉语语法" 北京大学出版社 2001

      17 임정빈, "北京大学중국어어법의 모든 것" 동양북스 2012

      18 김경림, "『西遊記』『金甁梅詞話』중 방향 전치사 小考" 인문과학연구소 31 : 221-250, 2013

      19 박덕준, "[개사NP-동사]구조와 [동사-개사NP]구조의 의미 비교-개사 “朝, 到, 往, 向”을 중심으로" 5 : 287-324,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9-01 학회명변경 영문명 :   -> The Discourse and Cognitive Linguistics Society of Korea KCI등재
      2014-01-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Discourse and Cogn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12-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담화ㆍ인지언어학회 -> 담화·인지언어학회
      영문명 : 미등록 ->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4-29 학술지등록 한글명 : 담화와 인지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9 0.53 0.841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