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육 연구에서의 탐색적 요인분석 사용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 A Study on the Use-realitie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Educational Resear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592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오늘날 교육 연구와 관련하여 다양한 사회과학 영역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탐색적 요인분석의 활용 실태를 조사하여, 그 적용 및 해석 과정에서 어떠한 문제점들이 존재하는 지를 파악하고 이러한 조사 결과에 기초하여 올바른 요인분석 활용을 위하여 주의할 점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연구재단에 의해 등재 및 등재후보지로 지정된 교육 관련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들 중에서 탐색적 요인분석 적용을 포함하고 있는 259편의 논문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들 논문에서의 피험자 수, KMO 및 Bartlett검증, 요인 수 결정방법, 요인 간 상관관계, 회전방식과 요인추출방법,요인 간 상관관계와 회전방식간의 관계, 요인부하량을 해석하는 기준, 결과제시 방법 등을 조사한 뒤 탐색적 요인분석 적용 및 해석상의 문제점이 존재하는 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발견된 주요 문제점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충분한 피험자수를 확보하지 않고 연구를 진행한 논문이 15.8%, 둘째, KMO 및 Bartlett검증 결과를 언급 및 제시하지 않은 연구가 58.3%, 셋째, 요인의 수 결정 과정에 대해 언급하지 않은 경우가 18.5%, 넷째, 요인분석을 의도하였음에도 요인추출방법으로 주성분분석을 사용한 경우가 45.6%, 다섯째, 요인 간 상관관계에 대한 설명을 제시하지 않은 논문이 8.5%, 여섯째, 회전방식을 언급하지 않은 논문이 13.5%, 일곱째, 이론적으로 상관관계를 상정하면서도 직교회전으로 최종 분석을 한 경우가 59.4%, 여덟째, 주성분분석을 적용 후 요인 축 회전을 시도하는 경우가 거의 100%, 아홉째, 사교회전 시 결과 제시가 미흡하거나 잘못된 경우는 7.8%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사용하는 연구자가 주의할 점을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오늘날 교육 연구와 관련하여 다양한 사회과학 영역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탐색적 요인분석의 활용 실태를 조사하여, 그 적용 및 해석 과정에서 어떠한 문제점들이 존재...

      본 연구에서는 오늘날 교육 연구와 관련하여 다양한 사회과학 영역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탐색적 요인분석의 활용 실태를 조사하여, 그 적용 및 해석 과정에서 어떠한 문제점들이 존재하는 지를 파악하고 이러한 조사 결과에 기초하여 올바른 요인분석 활용을 위하여 주의할 점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연구재단에 의해 등재 및 등재후보지로 지정된 교육 관련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들 중에서 탐색적 요인분석 적용을 포함하고 있는 259편의 논문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들 논문에서의 피험자 수, KMO 및 Bartlett검증, 요인 수 결정방법, 요인 간 상관관계, 회전방식과 요인추출방법,요인 간 상관관계와 회전방식간의 관계, 요인부하량을 해석하는 기준, 결과제시 방법 등을 조사한 뒤 탐색적 요인분석 적용 및 해석상의 문제점이 존재하는 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발견된 주요 문제점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충분한 피험자수를 확보하지 않고 연구를 진행한 논문이 15.8%, 둘째, KMO 및 Bartlett검증 결과를 언급 및 제시하지 않은 연구가 58.3%, 셋째, 요인의 수 결정 과정에 대해 언급하지 않은 경우가 18.5%, 넷째, 요인분석을 의도하였음에도 요인추출방법으로 주성분분석을 사용한 경우가 45.6%, 다섯째, 요인 간 상관관계에 대한 설명을 제시하지 않은 논문이 8.5%, 여섯째, 회전방식을 언급하지 않은 논문이 13.5%, 일곱째, 이론적으로 상관관계를 상정하면서도 직교회전으로 최종 분석을 한 경우가 59.4%, 여덟째, 주성분분석을 적용 후 요인 축 회전을 시도하는 경우가 거의 100%, 아홉째, 사교회전 시 결과 제시가 미흡하거나 잘못된 경우는 7.8%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사용하는 연구자가 주의할 점을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e-realitie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at is actively being used today in a wide range of educational research areas. It was intended to recognize if any problems existed in the process of its application and interpretation, and to check what should be considered to make the best use of the statistical method. Among academic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s lis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259 papers including the use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Many research variables were explored such as the number of subjects, KMO and Bartlett's tests, methods to determine the number of factors, correlation relationships between factors, factor extraction methods, factor-axis rotation methods, how to determine the way of rotation, criteria to interpret the factor loadings, result-presentation methods and soon. The problems found through this research areas follows: First, there were 15.8% of the papers that did use less examinees than minimum sample size necessary to obtain adequate factor solutions. Second, there were 58.3% of the papers that did not refer the results of KMO & Bartlett’s test. Third, the papers that did not present how to decide the number of factors were 18.5%. Fourth, the papers that conducte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o finally extract factors were 45.6%. Fifth, 8.5% of the papers did not explain the correlation structure among factors. Sixth, 13.5% did not present the types of axis-rotation they used. Seventh, 59.4% chose orthogonal rotation methods while the significant correlational relationships among factors were theoretically considered. Eighth, almost 100% conducted factor-axis rotation even though they had used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Ninth, 7.8% did not appropriately present the related results after applying oblique rotation. Based on the findings in this research, finally, it was summarized what cautions should be given by researchers when they us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e-realitie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at is actively being used today in a wide range of educational research areas. It was intended to recognize if any problems existed in the process of its applic...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e-realitie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at is actively being used today in a wide range of educational research areas. It was intended to recognize if any problems existed in the process of its application and interpretation, and to check what should be considered to make the best use of the statistical method. Among academic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s lis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259 papers including the use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Many research variables were explored such as the number of subjects, KMO and Bartlett's tests, methods to determine the number of factors, correlation relationships between factors, factor extraction methods, factor-axis rotation methods, how to determine the way of rotation, criteria to interpret the factor loadings, result-presentation methods and soon. The problems found through this research areas follows: First, there were 15.8% of the papers that did use less examinees than minimum sample size necessary to obtain adequate factor solutions. Second, there were 58.3% of the papers that did not refer the results of KMO & Bartlett’s test. Third, the papers that did not present how to decide the number of factors were 18.5%. Fourth, the papers that conducte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o finally extract factors were 45.6%. Fifth, 8.5% of the papers did not explain the correlation structure among factors. Sixth, 13.5% did not present the types of axis-rotation they used. Seventh, 59.4% chose orthogonal rotation methods while the significant correlational relationships among factors were theoretically considered. Eighth, almost 100% conducted factor-axis rotation even though they had used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Ninth, 7.8% did not appropriately present the related results after applying oblique rotation. Based on the findings in this research, finally, it was summarized what cautions should be given by researchers when they us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성웅현, "응용 다변량분석-이론과 SAS 활용-" 탐진 1998

      2 이순묵, "요인분석의 기초" 교육과학사 2010

      3 이순묵, "요인분석 I-Exploratory factor analysis를 중심으로-" 학지사 1995

      4 양병화, "다변량 자료분석의 이해와 활용" 학지사 1998

      5 Tabachnick, B. G.,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Harper & Row 1989

      6 Reckase, M. D., "Unifactor latent trait models applied to multi-factor tests: results and implications" 4 : 207-230, 1979

      7 Thurstone, L. L., "The vector of mind"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35

      8 Cattell, R. B., "The uniqueness and significance of simple structure demonstrated by contrasting organic"natural structure"and"random structure"data" 28 : 55-67, 1963

      9 Cattell, R. B., "The scientific use of factor analysis in the behavioral and life sciences" Plenum 1978

      10 Rietveld, T., "Statistical techniques for the study of language and language behaviour" Mouton de Gruyter 1993

      1 성웅현, "응용 다변량분석-이론과 SAS 활용-" 탐진 1998

      2 이순묵, "요인분석의 기초" 교육과학사 2010

      3 이순묵, "요인분석 I-Exploratory factor analysis를 중심으로-" 학지사 1995

      4 양병화, "다변량 자료분석의 이해와 활용" 학지사 1998

      5 Tabachnick, B. G.,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Harper & Row 1989

      6 Reckase, M. D., "Unifactor latent trait models applied to multi-factor tests: results and implications" 4 : 207-230, 1979

      7 Thurstone, L. L., "The vector of mind"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35

      8 Cattell, R. B., "The uniqueness and significance of simple structure demonstrated by contrasting organic"natural structure"and"random structure"data" 28 : 55-67, 1963

      9 Cattell, R. B., "The scientific use of factor analysis in the behavioral and life sciences" Plenum 1978

      10 Rietveld, T., "Statistical techniques for the study of language and language behaviour" Mouton de Gruyter 1993

      11 Devellis, R. F.,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s" Sage 2012

      12 MacCallum, R. C., "Sample size in factor analysis" 4 (4): 84-99, 1999

      13 노형진, "SPSS에 의한 다변량 데이터의 통계 분석" 효산 2008

      14 이주일, "SPSS를 활용한 심리연구 분석" 시그마 프레스 2007

      15 성태제, "SPSS/AMOS를 이용한 알기쉬운 통계분석" 학지사 2010

      16 Guadagnoli, E., "Relation of sample size to the stability of component patterns" 103 : 265-275, 1988

      17 Thurstone, L. L., "Multiple factor analysis" 38 : 406-427, 1931

      18 Thurstone, L. L., "Multiple factor analysi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47

      19 Pedhazur, E. J., "Measurement, design, and analysis: An integrated approach" Erlbaum 1991

      20 Pett, M. A., "Making sense of factor analysis" Sage Publications 2003

      21 Crocker, L., "Introduction to Modern and Classical Test Theory" Brace Jovanovich 1986

      22 Thorndike, R. L., "Intelligence tests: What we have and what we should have" 1992

      23 Spearman, C., "General intelligence, objectively determined and measured" 15 (15): 201-292, 1904

      24 Comrey, A. L., "Factor-analytic methods of scale development in personality and clinical psychology" 56 : 754-761, 1988

      25 Habing, B., "Exploratory Factor Analysis"

      26 Field, A., "Discovering statistics using SPSS" Sage 2005

      27 Stevens, J. P., "Applied multivariate statistics for the social sciences" Erlbaum 1992

      28 Kaiser, H. F., "An index of factorial simplicity" 39 : 31-36, 1974

      29 Kline, P., "An easy guide to factor analysis" Routledge 1994

      30 Comrey, A. L., "A first course in factor analysis" Academic Press 1973

      31 Cattell, R. B., "A dynamic model of physical influences demonstrating the necessity of oblique simple structure" 59 : 389-400, 1962

      32 Comrey, A. L., "A First Course in Factor Analysi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7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교육방법연구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94 1.94 2.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23 2.35 2.393 0.9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