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화학올림피아드 계절학교 교육에 참여한 교수를 대상으로 이들의 교육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화학올림피아드 계절학교 교육경험이 있는 화학과 교수 5명...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261380
2014
-
영재교육 ; 영재교사 ; 현상학적 연구 ; 화학올림피아드 ; 계절학교 ; Chemistry Olympiad ; gifted education ; phenomenological method
370
KCI등재
학술저널
175-203(29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화학올림피아드 계절학교 교육에 참여한 교수를 대상으로 이들의 교육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화학올림피아드 계절학교 교육경험이 있는 화학과 교수 5명...
본 연구는 화학올림피아드 계절학교 교육에 참여한 교수를 대상으로 이들의 교육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화학올림피아드 계절학교 교육경험이 있는 화학과 교수 5명을 대상으로 개별 인터뷰를 실시하고 현상학적 연구 방법 중 Colaizzi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화학올림피아드 운영과 교육, 화학올림피아드 참여 학생 특성, 과학교육의 방향 측면에서 146개의 의미 있는 진술과 44개의 주제어 및 16개의 기본 구조가 발견되었다. 화학올림피아드 교육에 참여한 교수들은 운영 측면에서 부모의 지나친 관여를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았으며, 교육 측면에서 수업 준비의 부담과 매번 새로운 학생을 만나는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하지만 동시에 탁월한 능력을 지닌 학생들을 지도하는 '가르치는 즐거움'과 '지식 나눔'의 즐거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들은 화학올림피아드의 순수 취지를 살리고 국위선양에 기여한다는 점 그리고 자신의 전문 지식을 국가 미래를 위해 사용하고 있다는 뿌듯함에 지속적으로 화학올림피아드 계절학교 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참여자들은 올림피아드 교육경험을 통해 사교육을 통한 지나친 선행학습 보다 적기에 사고하는 힘을 길러주는 교육이 훨씬 더 중요함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화학올림피아드 계절학교 프로그램의 운영 및 교육 현장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며 과학영재교육 및 화학올림피아드 교육의 발전방향 설정에 이바지 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educating experiences in Chemistry Olympiad School Program. The subjects were 5 professors who have participated in Chemistry Olympiad Summer School in Chungnam province. The research data was c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educating experiences in Chemistry Olympiad School Program. The subjects were 5 professors who have participated in Chemistry Olympiad Summer School in Chungnam province. The research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This qualitative study applied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of Colaizzi. Olympiad educational experiences of participants' were expressed by 146 meaningful sentences and clustered into 44 specific themes and 16 general structures. The professors felt much pressure in operating and educating Olympiad School students, especially from their parents' excessive interference and concerns. They had been experiencing the burden of instruction and the difficulty of guiding new students. However, they had been experiencing the psychological pleasure and happiness in educating the gifted and sharing their knowledges and had pride in promoting the national prestig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우규환, "화학올림피아드와 화학영재의 지도" 2 (2): 157-179, 1993
2 정종광, "한국정보올림피아드의 현황 분석 및 개선 방안" 13 (13): 187-188, 2009
3 가와이 노리코, "한국의 대학진학률은 왜 계속 상승하는가? : 일본과의 비교를 통해 본 한국의 교육열"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4 김경년, "학교수업 및 자기학습과 대비한 사교육의 수학성적 향상 효과성 인식에 대한 종단적 고찰" 한국교육학회 48 (48): 135-166, 2010
5 이오녕, "초등학교 영재교육정책 개발을 위한 교육 요구 분석" 국제문화대학원대학교 2007
6 최선영, "초등과학 영재학급 담당 교사의 영재 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6 (26): 252-259, 2007
7 김혜진, "초등 영재교육 경험의 의미 탐색" 한국초등교육학회 21 (21): 107-127, 2008
8 김옥분, "초등 영재교사의 영재교육 경험의 의미 탐색" 한국영재교육학회 11 (11): 47-72, 2012
9 신경림, "질적연구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4
1 우규환, "화학올림피아드와 화학영재의 지도" 2 (2): 157-179, 1993
2 정종광, "한국정보올림피아드의 현황 분석 및 개선 방안" 13 (13): 187-188, 2009
3 가와이 노리코, "한국의 대학진학률은 왜 계속 상승하는가? : 일본과의 비교를 통해 본 한국의 교육열"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4 김경년, "학교수업 및 자기학습과 대비한 사교육의 수학성적 향상 효과성 인식에 대한 종단적 고찰" 한국교육학회 48 (48): 135-166, 2010
5 이오녕, "초등학교 영재교육정책 개발을 위한 교육 요구 분석" 국제문화대학원대학교 2007
6 최선영, "초등과학 영재학급 담당 교사의 영재 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6 (26): 252-259, 2007
7 김혜진, "초등 영재교육 경험의 의미 탐색" 한국초등교육학회 21 (21): 107-127, 2008
8 김옥분, "초등 영재교사의 영재교육 경험의 의미 탐색" 한국영재교육학회 11 (11): 47-72, 2012
9 신경림, "질적연구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4
10 박윤우, "중학교 인문사회 영재학급 체험에 대한 연구" 강원대학교 2011
11 서혜애, "중학교 과학영재교육 교사 전문성에 대한 질적 연구" 과학교육연구소 49 (49): 171-193, 2010
12 Kvale, S., "인터뷰: 내면을 보는 눈" 하나의학사 1996
13 류지춘,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핵심역량 모형 개발 및 타당화" 한국영재교육학회 13 (13): 58-86, 2014
14 이미순, "영재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영재교육 지속여부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419-436, 2010
15 황현경, "영재교사들이 인식하는 영재교육 운영 현황과 운영 장애 요인 분석"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6 남승인, "수학올림피아드 유형의 다변화 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 23 (23): 73-83, 2009
17 조석희, "수학 올림피아드 참가자에 대한 환경 요인의 영향에 관한 연구" 7 (7): 19-45, 1997
18 이군현, "수학 과학 올림피아드와 과학영재교육 제도의 재정비" 2 (2): 17-45, 1993
19 김경식, "수능성적에 대한 사교육 효과분석" 32 (32): 35-49, 2011
20 조차미, "부모의 양육태도가 다른 형제 영재의 수학적 성향 비교: 사례연구" 한국영재학회 19 (19): 47-67, 2009
21 류봉선, "대전시 영재교육 담당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조사" 26 (26): 252-259, 2006
22 조석희, "남 여학생이 국제과학올림피아드 입상자가 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12 (12): 31-60, 2002
23 최병연, "그들은 왜 영재교사를 그만 두었는가? -초등영재교사의 영재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한국영재교육학회 13 (13): 88-107, 2014
24 임인성, "국제천문올림피아드 수상자에 대한 추적연구" 2 (2): 11-19, 2006
25 윤여홍, "국제과학올림피아드에 참가한 과학영재의 재능발달에 끼친 촉진요인과 방해요인에 관한 연구" 11 (11): 245-270, 2001
26 심재영, "국제과학올림피아드 참가자의 진로에 대한 연구" 한국영재학회 17 (17): 145-171, 2007
27 김언주, "국제과학올림피아드 참가자에 대한 추수연구" 한국과학재단 2001
28 최영환, "국제 수학 과학 올림피아드의 성적은 올바른 과학 정책의 지표이다(1993 IMO 결과를 중심으로)" 4 (4): 155-167, 1994
29 문윤섭, "국내환경올림피아드 및 국제환경탐 구올림피아드 참가를 통한 환경교육 활성화 방안" 7 : 42-46, 2006
30 조성인, "교육열의 내재적·외재적 동기와 학부모의 교육에 대한 태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2
31 김태일, "고등학교 때 사교육이 대학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사교육의 '인적자본효과'와 '대학진학효과'에 대한 논의" 한국교육학회 43 (43): 29-56, 2005
32 Patton, M. Q.,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s(3rd ed)" Sage 2002
33 Seidman, I., "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 : A guide for researchers in education and the social sciences(3rd ed)" Teachers College Press 2006
34 Schultz, R. A., "Illumination realities : A phenomenological view from two underachieving gifted learners" 24 (24): 203-143, 2002
35 Bloom, B. S., "Developing talent in young people" Ballantine Books 1985
36 Wu, W. T., "A follow-up study of Taiwan physics and chemistry olympians : The role of environmental influences in talent development" 16 : 16-26, 2001
영재와 일반아 집단의 영역 창의성 비교를 통한 능력-분화가설 검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6 | 1.26 | 1.1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5 | 1.26 | 1.751 | 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