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적 인재육성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대학에서도 창의성 교육이 강화되어야 할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대학 창의성 교육 강화를 위한 전략 마련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261385
2014
-
창의성 ; 창의적 리더십 ; 계열 ; 대학 창의성 교육 ; Creativity ; Creative leadership ; Creativity education ; major
370
KCI등재
학술저널
59-83(2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창의적 인재육성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대학에서도 창의성 교육이 강화되어야 할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대학 창의성 교육 강화를 위한 전략 마련에 ...
창의적 인재육성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대학에서도 창의성 교육이 강화되어야 할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대학 창의성 교육 강화를 위한 전략 마련에 목표를 두고, 현재 대학에 재학 중인 426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창의성(이경화, 2014a)과 창의적 리더십(이경화, 박춘성, 2014)을 측정하여 전공, 학년, 성 등의 개인배경 별로 창의성과 창의적 리더십에 어떤 특징이 있는 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에 의하면 전공에 따라 창의적 능력 및 창의적 성향과 창의적 리더십에 있어서 차이가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하위요인에서 전공별 특성이 반영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창의성 교육은 전공지식을 기반으로 하여 창의적 역량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또한 선행연구 결과와는 달리 학년 및 성별로 차이가 나타났음은 대학에서의 창의성 교육이 차별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대학에서의 창의성 교육 강화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전공과 학년 및 성별로 체계적이고 차별화된 커리큘럼을 구안해야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 강조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영재와 일반아 집단의 영역 창의성 비교를 통한 능력-분화가설 검증
화학올림피아드 계절학교 영재 교육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