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현미, "한국의 근대성과 여성의 노동권" 한국여성학회 16 (16): 37-64, 2000
2 이정옥, "한국의 공업화와 여성의 경제활동: 1960-1980"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16 : 5-17, 1988
3 손덕수, "한국의 가난한여성에 대한 연구" 민중사 9-130, 1983
4 김미숙, "한국여성노동력의 성격변화와 노동정책: 1960-2000" 한국인구학회 29 (29): 133-156, 2006
5 박진근, "한국 역대정권의 주요 경제정책" 한국경제연구원 (6) : 1-501, 2009
6 신경아, "저임금 여성노동자'와 노동시장 담론" 한국여성연구원 22 (22): 3-34, 2005
7 김장호, "우리나라 여성노동력의 수급구조변화와 기혼여성의 노동참가"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25 : 133-161, 1986
8 "연탄 假需要 크게 늘어"
9 "연탄 假需要 격증"
10 박성희, "여성학 연구를 위한 생애사 연구법: 너레티브 인터뷰" 서울여자대학교여성연구소 17 : 243-264, 2002
1 김현미, "한국의 근대성과 여성의 노동권" 한국여성학회 16 (16): 37-64, 2000
2 이정옥, "한국의 공업화와 여성의 경제활동: 1960-1980"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16 : 5-17, 1988
3 손덕수, "한국의 가난한여성에 대한 연구" 민중사 9-130, 1983
4 김미숙, "한국여성노동력의 성격변화와 노동정책: 1960-2000" 한국인구학회 29 (29): 133-156, 2006
5 박진근, "한국 역대정권의 주요 경제정책" 한국경제연구원 (6) : 1-501, 2009
6 신경아, "저임금 여성노동자'와 노동시장 담론" 한국여성연구원 22 (22): 3-34, 2005
7 김장호, "우리나라 여성노동력의 수급구조변화와 기혼여성의 노동참가"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25 : 133-161, 1986
8 "연탄 假需要 크게 늘어"
9 "연탄 假需要 격증"
10 박성희, "여성학 연구를 위한 생애사 연구법: 너레티브 인터뷰" 서울여자대학교여성연구소 17 : 243-264, 2002
11 석재은, "여성의 빈곤실태 분석과 탈빈곤 정책과제 개발"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3
12 김혜경, "여성의 노동사를 통해 본 일과 가족의 접합 : 60년대 산업화 이후 친족관계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연구소 7 (7): 37-82, 2007
13 윤택림, "여성은 스스로 말 할 수 있는가: 여성 구술 생애사 연구의 쟁점과 방법론적 논의" 한국여성연구원 27 (27): 77-111, 2010
14 박영란, "여성빈곤퇴치를 위한 정책개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2003
15 장미혜, "여성노인의 빈곤원인에 대한 생애사적 규명 -세대연구의 관점에서" 한국사회학회 443-458, 2013
16 이정옥, "성에 근거한 노동시장의 분절: 한국 여성고용시장의 이차시장적 특성을중심으로"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4 : 377-397, 1985
17 김현미, "성별화된 시공간적 노동 개념과 한국 여성노동의‘유연화’" 한국여성학회 19 (19): 63-96, 2003
18 "섬유노조 爭議 격화"
19 인구문제연구소편집부, "서울시 인구의 출산력 및 전입인구에 관한 조사" 인구문제연구소 (3) : 3-85, 1966
20 장세훈, "서민의 사회학적 발견: 중산층을 통해 본 서민의 사회계층적 위상" 비판사회학회 (109) : 83-112, 2016
21 강이수, "산업화 이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와 일-가족 관계" 한국여성연구소 7 (7): 1-35, 2007
22 이희영, "사회학 방법론으로서의 생애사 재구성 :행위이론의 관점에서 본 이론적 의의와 방법론적 원칙" 한국사회학회 39 (39): 120-148, 2005
23 김영란, "빈곤의 여성화와 사회복지정책" 한국사회복지학회 (31) : 1-28, 1997
24 허미영, "빈곤의 여성화: 빈곤의 계기와 가족의 역할 -부산경남지역 심층면접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22 (22): 235-262, 2006
25 윤형숙, "배종무총장 퇴임기념 사학논총" 배종무총장퇴임기념사학논총간행위원회 515-530, 1994
26 "면방 업체 쟁의 악화"
27 정동익, "도시빈민연구" 아침 1985
28 초의수, "기혼여성의 취업구조와 경제적 자립" 신라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5 : 7-60, 1994
29 김혜경, "기혼 취업여성의 생애서사에 나타나는 일-가족 양립전략과 노동 가족정체성: 1960년대 초반~1990년대 초반의 취업경험자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34 (34): 1-35, 2010
30 이지홍, "기록되지 않은 노동" 도서출판 삶창 21-29, 2016
31 장미경, "근대화와 1960-70년대 여성노동자-여성노동자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61) : 100-126, 2004
32 김연주, "근대 ‘가정주부’ 되기 과정과 도시 중산층 가족의 형성: 구술생애사 사례 분석" 한국가족학회 25 (25): 29-61, 2013
33 김귀옥, "구술사 연구 : 방법과 실천" 도서출판 한울 2014
34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국가통계포털시스템
35 정출도, "값싸고 安全한 연탄난로 供給시급"
36 "賃金인상요구 섬유勞組 쟁의"
37 조병희, "綿紡업계 爭議 一步前"
38 박정미, "‘무작정 상경’ — 서울 이주자에 관한 담론과 젠더" 한국사회사학회 (113) : 311-344, 2017
39 조은, "[특집/한국 여성3] 경제 발전과 여성의 노동 -이론적, 현실적 쟁점들" 한국인문사회과학회 7 (7): 53-69, 1983
40 Miller, Robert L., "Researching Life Stories and Family Histories" SAGE 2000
41 Personal Narratives Group, "Interpreting Women's Lives" Indiana University Press 1989
42 엄보운, "60년대초 꿀꿀이죽 동네→ 60년대말엔 판자촌 밀집→40년간 동부이촌동만 부러워하다→ 2007년 벼락부자 부푼 꿈→ 2013년 꿈은 물거품 위기에.. 서부이촌동 悲歌"
43 윤택림, "1970년대 여성 노동자의 일상생활과 노동운동의 의미: 여성노동자의 구술생애사를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여성연구소 17 : 33-62, 2002
44 김정화, "1960년대 여성노동 - 식모와 버스안내양을 중심으로 -" 역사학연구소 (11) : 81-107, 2002
45 김정화, "1960년대 기혼여성의 노동 - 도시빈민을 중심으로" 역사학연구소 (15) : 63-101, 2005
46 김미선, "1950~1960년대 여성의 소비문화와 명동(明洞)의 장소성에 관한 연구 - 양장점과 미장원을 중심으로 -" 서울학연구소 (46) : 59-101,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