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禮學의 관점에서 본 선비의 日常 = A Study on the Classical Scholar[士]"s Daily Life[日常] from a Viewpoint of Decorums[禮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4628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가 일상에서 발견할 수 있는 가치는 수백 년 아니 그 이상의 시대를 살았던 선비나 오늘의 우리가 다르지 않은 삶을 산다는 데에서 찾을 수 있다. 그것은 우리가 수백 년 전의 ...

        우리가 일상에서 발견할 수 있는 가치는 수백 년 아니 그 이상의 시대를 살았던 선비나 오늘의 우리가 다르지 않은 삶을 산다는 데에서 찾을 수 있다. 그것은 우리가 수백 년 전의 선비와 크게 다르지 않은 인간관계의 망 속에서 존재한다는 사실에 근거한다. 일상의 동질적 모습에 우리가 찾아야 할 인간적 삶과 문화가 존재하기 때문이다.<BR>  그렇기 때문에 특정한 시대나 특정한 개인의 일상을 발견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일상 속에서 인간이 영위해야 할 바람직한 모습과 문화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인간의 생애나 집단의 문화가 일상생활을 떠나 별도의 것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한 일상은 바로 예학의 관점에서 보는 일상이기도 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aily Life[日常] is not insignificant or humble. The Daily Life[日常] is neutral in the point of value, because it is still of the same shape. Moreover the Daily Life[日常] is not unique or special. Therefore the Daily Life[日...

        The Daily Life[日常] is not insignificant or humble. The Daily Life[日常] is neutral in the point of value, because it is still of the same shape. Moreover the Daily Life[日常] is not unique or special. Therefore the Daily Life[日常] is not extraordinary and it is not what gives any unconventional enjoyment.<BR>  The Daily Life[日常] is universal and general. However, without the universal and general Daily Life[日常], no one can achieve any works. The value of Daily Life[日常] depends on homeostasis[恒常性].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Ⅰ. 일상(日常)의 의미에 대하여
        Ⅱ. 일상과 예(禮)
        Ⅲ. 일상의 연속으로서의 일생(一生)
        Ⅳ. 일상의 실제
        Ⅴ. 마무리
        참고문헌
        Abstract
      • 〈국문초록〉
        Ⅰ. 일상(日常)의 의미에 대하여
        Ⅱ. 일상과 예(禮)
        Ⅲ. 일상의 연속으로서의 일생(一生)
        Ⅳ. 일상의 실제
        Ⅴ. 마무리
        참고문헌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경주, "한국고전의례상식" 신지서원 2006년

      2 정순희, "조선후기 도학자 시에 나타난 일상성의 몇 국면―노론 산림 도학자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4집 : 2004

      3 강수택, "일상생활의 패러다임" 민음사 1998

      4 진 호, "예기집설(禮記集說)" 학민문화사 영인 ≪예기설 :

      5 "예기(禮記)" 상해고적출판사 1987

      6 한수영, "1990년대 문학의 일상성, 소설과 일상성" 소명 2000

      1 정경주, "한국고전의례상식" 신지서원 2006년

      2 정순희, "조선후기 도학자 시에 나타난 일상성의 몇 국면―노론 산림 도학자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4집 : 2004

      3 강수택, "일상생활의 패러다임" 민음사 1998

      4 진 호, "예기집설(禮記集說)" 학민문화사 영인 ≪예기설 :

      5 "예기(禮記)" 상해고적출판사 1987

      6 한수영, "1990년대 문학의 일상성, 소설과 일상성" 소명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4 0.64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 1.236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