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의 생리활성물질 최적 추출조건 탐색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845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의 유효성분과 항산화능이 최대가 되는 추출물의 제조를 위하여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최적 추출조건을 탐색하였다. 추출 수율, 총 폴리페놀 함량, 항산화능(ABTS 자유 라디칼 소거능, ORAC), β-1,3-glucan 함량의 총 다섯 가지 반응변수에서 유의적인 이차 회귀식을 얻었고, 반응표면그래프와 등고선도를 통하여 최적 추출조건을 예측하였다. 각 반응변수에 따른 최적 추출조건은 추출 수율에서 50% (v/v), 88.7℃, 14.5 h, 총 폴리페놀 함량에서 9.2%, 92.7℃, 14.5 h, ABTS free radical scavanging activity에서 50.8%, 92.7℃, 14.5 h, ORAC에서 9.2%, 92.7℃, 1.5 h, β-1,3-glucan 함량에서 90.8%, 92.7℃, 1.5 h으로 예측되었다. 각 반응변수의 예측 최대추출조건에서 실제 실험을 실행하여 예측 값과 비교해본 결과, 상대오차는 0.4-12.5%였다. 각 반응 변수에서 유의적인 이차 회귀식을 얻었으며, 예측 값과 실험 값의 오차가 크지 않아 반응표면모델이 최적 추출조건을 예측하는데 적합하다고 판단하였으며, 다섯 가지 반응 변수를 통합하는 최적 추출조건은 81.4%, 92.7℃, 14.5 h으로 예측하였다. 본 연구는 주로 열수추출물의 형태로 유통되는 차가버섯 추출물의 품질 개선을 위하여 에탄올 용매를 포함한 최적 추출조건을 설정하였고, 구체적인 추출 수율과 생리활성물질 함량 및 항산화능이 최대가 되는 추출조건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의 유효성분과 항산화능이 최대가 되는 추출물의 제조를 위하여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최적 추출조건을 탐색하였다. 추출 수율, 총 폴리페놀 함...

      본 연구에서는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의 유효성분과 항산화능이 최대가 되는 추출물의 제조를 위하여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최적 추출조건을 탐색하였다. 추출 수율, 총 폴리페놀 함량, 항산화능(ABTS 자유 라디칼 소거능, ORAC), β-1,3-glucan 함량의 총 다섯 가지 반응변수에서 유의적인 이차 회귀식을 얻었고, 반응표면그래프와 등고선도를 통하여 최적 추출조건을 예측하였다. 각 반응변수에 따른 최적 추출조건은 추출 수율에서 50% (v/v), 88.7℃, 14.5 h, 총 폴리페놀 함량에서 9.2%, 92.7℃, 14.5 h, ABTS free radical scavanging activity에서 50.8%, 92.7℃, 14.5 h, ORAC에서 9.2%, 92.7℃, 1.5 h, β-1,3-glucan 함량에서 90.8%, 92.7℃, 1.5 h으로 예측되었다. 각 반응변수의 예측 최대추출조건에서 실제 실험을 실행하여 예측 값과 비교해본 결과, 상대오차는 0.4-12.5%였다. 각 반응 변수에서 유의적인 이차 회귀식을 얻었으며, 예측 값과 실험 값의 오차가 크지 않아 반응표면모델이 최적 추출조건을 예측하는데 적합하다고 판단하였으며, 다섯 가지 반응 변수를 통합하는 최적 추출조건은 81.4%, 92.7℃, 14.5 h으로 예측하였다. 본 연구는 주로 열수추출물의 형태로 유통되는 차가버섯 추출물의 품질 개선을 위하여 에탄올 용매를 포함한 최적 추출조건을 설정하였고, 구체적인 추출 수율과 생리활성물질 함량 및 항산화능이 최대가 되는 추출조건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etermined the optimum extraction conditions based on five response variables (yield, total phenolics,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free radical scavanging activity,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and β-1,3-glucan content) in chaga mushroom (Inonotus obliquus) using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here three independent variables (ethanol concentration, extraction temperature, and extraction time) were optimized using a central composite design. The optimum ethanol concentration, extraction temperature, and extraction time were 50% (w/w), 88.7℃, and 14.5 h; 9.2%, 92.7℃, and 14.5 h; 50.8%, 92.7℃, and 14.5 h; 9.2%, 92.7℃, and 1.5 h; and 90.8%, 92.7℃, and 1.5 h for yield, total phenolics, ABTS, ORAC, and β-1,3-glucan content, respectively. The predicted values of the response variable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extracts under the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to verify the models. The optimum extraction condition for the five response variables as predicted to be 81.4% ethanol at 92.7℃ for 14.5 h.
      번역하기

      This study determined the optimum extraction conditions based on five response variables (yield, total phenolics,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free radical scavanging activity,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This study determined the optimum extraction conditions based on five response variables (yield, total phenolics,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free radical scavanging activity,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and β-1,3-glucan content) in chaga mushroom (Inonotus obliquus) using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here three independent variables (ethanol concentration, extraction temperature, and extraction time) were optimized using a central composite design. The optimum ethanol concentration, extraction temperature, and extraction time were 50% (w/w), 88.7℃, and 14.5 h; 9.2%, 92.7℃, and 14.5 h; 50.8%, 92.7℃, and 14.5 h; 9.2%, 92.7℃, and 1.5 h; and 90.8%, 92.7℃, and 1.5 h for yield, total phenolics, ABTS, ORAC, and β-1,3-glucan content, respectively. The predicted values of the response variable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extracts under the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to verify the models. The optimum extraction condition for the five response variables as predicted to be 81.4% ethanol at 92.7℃ for 14.5 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종, 박규천, "차가버섯 물 추출물의 추출온도에 따른 효능 비교 연구(I)- 산화반응 억제효과-" 대한본초학회 22 (22): 177-185, 2007

      2 강복희,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한 송이버섯 열수추출조건의 최적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206-1212, 2010

      3 이혜진, "반응표면분석에 의한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의 추출조건 최적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3 (43): 1565-1570, 2014

      4 심철호,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식품제조프로세스의 최적화" 한국산업식품공학회 15 (15): 97-115, 2011

      5 최미애,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한 노루궁뎅이 버섯 에탄올 추출조건의 최적화" 한국식품과학회 35 (35): 777-782, 2003

      6 Goodridge HS, "β-Glucan recognition by the innate immune system" 230 : 38-50, 2009

      7 Chan GC, "The effects of β-glucan on human immune and cancer cells" 2 : 25-35, 2009

      8 Kim MY, "Phenolic compound concentration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dible and medicinal mushrooms from Korea" 56 : 7265-7270, 2008

      9 Liu J, "Optimization of polysaccharides (ABP) extraction from the fruiting bodies of Agaricus blazei Murill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78 : 704-709, 2009

      10 Giri SK, "Optimization of microwave-vacuum drying of button mushrooms using response-surface methodology" 25 : 901-911, 2007

      1 이영종, 박규천, "차가버섯 물 추출물의 추출온도에 따른 효능 비교 연구(I)- 산화반응 억제효과-" 대한본초학회 22 (22): 177-185, 2007

      2 강복희,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한 송이버섯 열수추출조건의 최적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206-1212, 2010

      3 이혜진, "반응표면분석에 의한 노랑느타리버섯 추출물의 추출조건 최적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3 (43): 1565-1570, 2014

      4 심철호,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식품제조프로세스의 최적화" 한국산업식품공학회 15 (15): 97-115, 2011

      5 최미애,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한 노루궁뎅이 버섯 에탄올 추출조건의 최적화" 한국식품과학회 35 (35): 777-782, 2003

      6 Goodridge HS, "β-Glucan recognition by the innate immune system" 230 : 38-50, 2009

      7 Chan GC, "The effects of β-glucan on human immune and cancer cells" 2 : 25-35, 2009

      8 Kim MY, "Phenolic compound concentration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dible and medicinal mushrooms from Korea" 56 : 7265-7270, 2008

      9 Liu J, "Optimization of polysaccharides (ABP) extraction from the fruiting bodies of Agaricus blazei Murill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78 : 704-709, 2009

      10 Giri SK, "Optimization of microwave-vacuum drying of button mushrooms using response-surface methodology" 25 : 901-911, 2007

      11 XuJie H, "Optimization of extraction process of crude polysaccharides from wild edible BaChu mushroom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72 : 67-74, 2008

      12 Guo X, "Optimization of extraction process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and preliminary characterization of polysaccharides from Phellinus igniarius" 80 : 344-349, 2010

      13 Silva EM, "Optimization of extraction of phenolics from Inga edulis leave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55 : 381-387, 2007

      14 Bas D, "Modeling and optimization I: Usability of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78 : 836-845, 2007

      15 Huang D, "High-throughput assay of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using a multichannel liquid handling system coupled with a microplate fluorescence reader in 96-well format" 50 : 4437-444, 2002

      16 Hazama S, "Efficacy of orally administered superfine dispersed lentinan (β-1,3-glucan) for the treatment of advanced colorectal cancer" 29 : 2611-2617, 2009

      17 Cui Y, "Antioxidant effect of Inonotus obliquus" 96 : 79-85, 2005

      18 Re R,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26 : 1231-1237, 1999

      19 Liang L,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and subfractions from Inonotus obliquus" 60 : 175-184, 2009

      20 Singleton VL, "Analysis of total phenols and other oxidation substrates and antioxidants by means of folin-ciocalteu reagent" 299 : 152-178, 1999

      21 Ko YT, "1,3-β-Glucan quantification by a fluorescence microassay and analysis of its distribution in foods" 52 : 3313-3318,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0-11-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08 2.01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