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현대패션의 시간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ime Characteristics in Contemporary Fash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642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searched characteristic of expression of post modern conceptual art in contemporary fashion which is new genre as source of design origination and classified as type of Time characteristics, and analyzed these and after analyzed result.Results of research are as following these.Contemporary fashion deliver sentiment and emotion that impossible to happen in reality and primitive thought by combination of unrealistic image and this tendency concreted by expression of time. It appeared that de-construct function and purpose of fashion and existing traditional beauty of form and it is in collusion with way of expression of modelling used in conceptual art of post modernism those are 'Time Intervention', ' Anti Time', and 'Time Appropriation'.Contemporary fashion is searching for true identity of ego and it plays role to give substitute joy and hope. It expects to create work of Art that able to give impression by make various experiment concerning conceptual Art expressions and create new value in contemporary fashion.
      번역하기

      This research searched characteristic of expression of post modern conceptual art in contemporary fashion which is new genre as source of design origination and classified as type of Time characteristics, and analyzed these and after analyzed result.R...

      This research searched characteristic of expression of post modern conceptual art in contemporary fashion which is new genre as source of design origination and classified as type of Time characteristics, and analyzed these and after analyzed result.Results of research are as following these.Contemporary fashion deliver sentiment and emotion that impossible to happen in reality and primitive thought by combination of unrealistic image and this tendency concreted by expression of time. It appeared that de-construct function and purpose of fashion and existing traditional beauty of form and it is in collusion with way of expression of modelling used in conceptual art of post modernism those are 'Time Intervention', ' Anti Time', and 'Time Appropriation'.Contemporary fashion is searching for true identity of ego and it plays role to give substitute joy and hope. It expects to create work of Art that able to give impression by make various experiment concerning conceptual Art expressions and create new value in contemporary fash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개념미술의 포스트모더니즘적 관점으로 현대패션에 나타난 시간성의 표현을 고찰하고 분석하여 현대패션이 가지는 표현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는 현대패션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고자 함이며 현대패션의 미적 가치를 탐구하여 정리하려는 연구의 목적을 갖는다. 연구의 결과로 다음과 같은 논의 및 결과를 도출하게 되었다.첫째, 현대패션에는 시간의 혼동, 시간의 결합에서 파생되는 시간성의 해체와 파편화가 표현되어 있으며 패션표현으로의 ‘시간성’개념은 새로운 창조의 방향을 보여주는 도구이다. 둘째, 시간성의 개념이 표현된 패션아트작품을 살펴보면 작가의 창조로 만들어진 가공된 시간이 초현실적인 존재, 비현실적인 존재들의 혼동과 함께 등장하며, 원시에서 미래를 넘나들며 공존하기도 한다. 셋째, 개념미술의 포스트모더니즘적 관점이 표현된 현대패션에는 물질적인 형태를 갖추지 않은 순수개념이 표현되고 있다. 산업적으로 복제된 패션상품이 아닌 개인적인 역사와 시간을 기록하려는 순수미술의 표현이 강조되거나 양면적인 가치의 공존으로 표현되었고 이는 다원주의적 개념과 절충주의적 형태로 받아들여졌다. 이는 현대패션이 인간본연의 꿈과 이상에 대한 가치를 추구하는 순수미술의 개념을 지향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결론을 보면 현대의 패션은 개념미술의 포스트모더니즘적인 사고와 도구를 차용하여 기존 패션디자인이 추구하는 시간성의 유행이라는 과제에 도전하고 패션의 본질적 기능과 시간성의 개념을 재창조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현대패션은 현재와 실체를 넘어서 시간성을 거부하거나 작가가 구성한 다양한 시간성을 개입, 차용하여 개인적인 사색과 무의식, 초현실의 시간이 내재되어있는 순수지향의 의미를 갖는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개념미술의 포스트모더니즘적 관점으로 현대패션에 나타난 시간성의 표현을 고찰하고 분석하여 현대패션이 가지는 표현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는 현대패션에 대...

      본 연구는 개념미술의 포스트모더니즘적 관점으로 현대패션에 나타난 시간성의 표현을 고찰하고 분석하여 현대패션이 가지는 표현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는 현대패션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고자 함이며 현대패션의 미적 가치를 탐구하여 정리하려는 연구의 목적을 갖는다. 연구의 결과로 다음과 같은 논의 및 결과를 도출하게 되었다.첫째, 현대패션에는 시간의 혼동, 시간의 결합에서 파생되는 시간성의 해체와 파편화가 표현되어 있으며 패션표현으로의 ‘시간성’개념은 새로운 창조의 방향을 보여주는 도구이다. 둘째, 시간성의 개념이 표현된 패션아트작품을 살펴보면 작가의 창조로 만들어진 가공된 시간이 초현실적인 존재, 비현실적인 존재들의 혼동과 함께 등장하며, 원시에서 미래를 넘나들며 공존하기도 한다. 셋째, 개념미술의 포스트모더니즘적 관점이 표현된 현대패션에는 물질적인 형태를 갖추지 않은 순수개념이 표현되고 있다. 산업적으로 복제된 패션상품이 아닌 개인적인 역사와 시간을 기록하려는 순수미술의 표현이 강조되거나 양면적인 가치의 공존으로 표현되었고 이는 다원주의적 개념과 절충주의적 형태로 받아들여졌다. 이는 현대패션이 인간본연의 꿈과 이상에 대한 가치를 추구하는 순수미술의 개념을 지향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결론을 보면 현대의 패션은 개념미술의 포스트모더니즘적인 사고와 도구를 차용하여 기존 패션디자인이 추구하는 시간성의 유행이라는 과제에 도전하고 패션의 본질적 기능과 시간성의 개념을 재창조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현대패션은 현재와 실체를 넘어서 시간성을 거부하거나 작가가 구성한 다양한 시간성을 개입, 차용하여 개인적인 사색과 무의식, 초현실의 시간이 내재되어있는 순수지향의 의미를 갖는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니코스 스탕고즈, "현대미술의 개념" 문예출판사 1994

      2 슐라미스 베어, "표현주의" 열화당 2003

      3 엘리너 하트니, "포스트 모더니즘" 열화당 2003

      4 제니퍼 크레이크, "패션의 얼굴" 푸른솔 2001

      5 다이애너 크레인, "패션과 문화의 사회사" 한길사 2000

      6 엘리자베스 루즈, "코르셋에서 펑크까지" 시지락 2003

      7 박해천, "인터페이스" 시공아트 2003

      8 허버트 리드, "예술의 의미" 문예출판사 1986

      9 브루노 무나리, "예술가와 디자이너" 디자인하우스 2004

      10 존 A. 워커, "비주얼 컬쳐" 루비박스 2004

      1 니코스 스탕고즈, "현대미술의 개념" 문예출판사 1994

      2 슐라미스 베어, "표현주의" 열화당 2003

      3 엘리너 하트니, "포스트 모더니즘" 열화당 2003

      4 제니퍼 크레이크, "패션의 얼굴" 푸른솔 2001

      5 다이애너 크레인, "패션과 문화의 사회사" 한길사 2000

      6 엘리자베스 루즈, "코르셋에서 펑크까지" 시지락 2003

      7 박해천, "인터페이스" 시공아트 2003

      8 허버트 리드, "예술의 의미" 문예출판사 1986

      9 브루노 무나리, "예술가와 디자이너" 디자인하우스 2004

      10 존 A. 워커, "비주얼 컬쳐" 루비박스 2004

      11 니콜라스미르죠예프, "바디스케이프" 시각과 언어사 1999

      12 지오바니 리스츠, "미래파" 열화당 1988

      13 M. 칼리니스쿠, "모더니티의 다섯 얼굴" 시각과 언어사 1993

      14 토니 고드프리, "개념미술" 한길아트 2002

      15 Andrew Bolton, "The Super modern Wardrobe" V&A Publications 2002

      16 Herbert Read, "The Meaning of Art" Faber & Faber 1984

      17 Claire Wilcox, "Radical Fashion" V&A Publications 2001

      18 Colin Mcdowell, "Fashion Today" Phaidon Press Limited 2000

      19 Christopher Breward, "Fash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20 Harold Koda, "Extreme Beauty : The Body transformed"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1

      21 Jana Ewy, "Art to Were" North Light Books 2005

      22 David Rosenberg, "Art game book" Assouline 2003

      23 한스 리히터, "Art at Anti-Art, DaDa" 미진사 1991

      24 Arice Mackrell, "Art and Fashion" Chrysalis book group plc 2005

      25 Valerie de Givry, "Art & Mode" Acheve d'imprimer sur les Presses 1998

      26 Black, J, "Anderson and Madge Garland, A History of Fashion" Orbis 1980

      27 Francois Baudot, "A Century of Fashion" Universe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