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IE SCOPUS KCI등재

      위 아전절제술 후 십이지장 위 역류성 위염에서 p53 및 Ki-67 단백 발현 양상 = Expression of p53 and Ki-67 Protein in Duodenogastric Reflux Gastritis after Subtotal Gastrectomy위 아전절제술 후 십이지장 위 역류성 위염에서 p53 및 Ki-67 단백 발현 양상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50654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십이지장 위 역류성 위염은 위절제 등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후에 암종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사람에서 십이지장 내용물의 역류와 암종 발생 사이의 병인론적 연구가 흔하지 않다. 이에 십이지장 위 역류성 위염을 보이는 환자의 조직과 대조군 환자의 조직을 대상으로 Ki-67 및 p53 단백 발현 정도를 측정하여 상피 세포증식 유도 및 암억제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비교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위암종으로 위아전절제술을 받은 총 57예 중 내시경 및 조직학적으로 십이지장 위 역류성 위염으로 진단된 16예의 내시경 조직과 대조군 16예의 내시경 조직을 대상으로 하여 Ki-67 및 p53 단백 발현을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하였고 그 강도를 점수화하였다. 결과 : 십이지장 위 역류성 위염 소견을 보인 환자의 내시경적 추적 기간은 평균 607일, 대조군 556일 그리고 57예의 평균은 471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십이지장 위 역류성 위염 환자의 Ki-67 발현 강도의 중간값은 3.0로 대조군 중간값 2.0보다 의미있게 높았으며, p53 단백의 발현 강도 중간값도 2.0으로 대조군 중간값 1.0 보다 의미있게 높았다. 결론 : 십이지장 위 역류성 위염은 담즙 등이 점막의 상피세포 증식을 유도하고 유전자 이상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아 시간 경과 후 암종이 발생할 가능성이 대조군에 비해서 높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목적 : 십이지장 위 역류성 위염은 위절제 등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후에 암종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사람에서 십이지장 내용물의 역류와 암종 발생 사이...

      목적 : 십이지장 위 역류성 위염은 위절제 등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후에 암종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사람에서 십이지장 내용물의 역류와 암종 발생 사이의 병인론적 연구가 흔하지 않다. 이에 십이지장 위 역류성 위염을 보이는 환자의 조직과 대조군 환자의 조직을 대상으로 Ki-67 및 p53 단백 발현 정도를 측정하여 상피 세포증식 유도 및 암억제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비교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위암종으로 위아전절제술을 받은 총 57예 중 내시경 및 조직학적으로 십이지장 위 역류성 위염으로 진단된 16예의 내시경 조직과 대조군 16예의 내시경 조직을 대상으로 하여 Ki-67 및 p53 단백 발현을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하였고 그 강도를 점수화하였다. 결과 : 십이지장 위 역류성 위염 소견을 보인 환자의 내시경적 추적 기간은 평균 607일, 대조군 556일 그리고 57예의 평균은 471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십이지장 위 역류성 위염 환자의 Ki-67 발현 강도의 중간값은 3.0로 대조군 중간값 2.0보다 의미있게 높았으며, p53 단백의 발현 강도 중간값도 2.0으로 대조군 중간값 1.0 보다 의미있게 높았다. 결론 : 십이지장 위 역류성 위염은 담즙 등이 점막의 상피세포 증식을 유도하고 유전자 이상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아 시간 경과 후 암종이 발생할 가능성이 대조군에 비해서 높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Aims: Duodenogastric reflux of bile and other contents of duodenum is one of the main etiologic fators in chronic gastritis, and chronic inflammation has been recognized as a risk factor of human canc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herefore to evaluate the expression of p53 and Ki-67 protein in duodenogastric reflux gastritis. Methods: To evaluate the proliferation activity and tumor suppressor gene expression, 16 cases of duodenogastric reflux gastritis and 16 cases of control gastric tissue after subtotal gastrectomy were examined immunohistochemically using the monoclonal antibodies to Ki-67 and p53 protein. Results: The mean duration of follow-up endoscopic biopsy after subtotal gastrectomy was 607 days in duodenogastric reflux gastritis and 556 days in control groups. The mean intensity of Ki-67 in duodenogastric reflux gastriti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tissues (3.0 vs 2.0). The mean intensity of p53 protein in duodenogastric reflux gastriti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tissues (2.0 vs 1.0). Conclusions: The high expressions of Ki-67 and p53 protein in duodenogastric reflux gastritis may be one of the main mechanisms in the development of gastric stump carcinoma.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7;13:118-122)
      번역하기

      Background/Aims: Duodenogastric reflux of bile and other contents of duodenum is one of the main etiologic fators in chronic gastritis, and chronic inflammation has been recognized as a risk factor of human canc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herefore ...

      Background/Aims: Duodenogastric reflux of bile and other contents of duodenum is one of the main etiologic fators in chronic gastritis, and chronic inflammation has been recognized as a risk factor of human canc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herefore to evaluate the expression of p53 and Ki-67 protein in duodenogastric reflux gastritis. Methods: To evaluate the proliferation activity and tumor suppressor gene expression, 16 cases of duodenogastric reflux gastritis and 16 cases of control gastric tissue after subtotal gastrectomy were examined immunohistochemically using the monoclonal antibodies to Ki-67 and p53 protein. Results: The mean duration of follow-up endoscopic biopsy after subtotal gastrectomy was 607 days in duodenogastric reflux gastritis and 556 days in control groups. The mean intensity of Ki-67 in duodenogastric reflux gastriti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tissues (3.0 vs 2.0). The mean intensity of p53 protein in duodenogastric reflux gastriti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tissues (2.0 vs 1.0). Conclusions: The high expressions of Ki-67 and p53 protein in duodenogastric reflux gastritis may be one of the main mechanisms in the development of gastric stump carcinoma.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7;13:118-122)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Kaklamanis L, "p53 expression in colorectal adenomas" 142 : 87-93, 1993

      2 Kim JK, "The effects of cisapride on bile reflux gastritis" 35 : 9-15, 2000

      3 Park SH, "The ambulatory fiberoptic reflux monitoring in bile reflux gastritis:Histologic changes and duodenogastric reflux" 28 : 484-492, 1996

      4 Fall K, "Risk for gastric cancer after cholecystectomy" 102 : 1180-1184, 2007

      5 Sobala GM, "Reflux gastritis in the intact stomach" 43 : 303-306, 1990

      6 Mason RC, "Pancreaticoduodenal secretions and the genesis of gastric stump carcinoma in the rat" 29 : 830-834, 1998

      7 Fitzpatrick FA, "Inflammation, carcinogenesis and cancer" 1 : 1651-1667, 2001

      8 Kim CW, "Immunohistochemical Expression of the p53 and Ki-67 Proteins in Barrett`s Esophagus in Korea" 46 : 189-195, 2005

      9 Im JP,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pathologic findings in bile reflux gastritis" 26 : 8-14, 2003

      10 Taylor PR, "Gastric carcinogenesis in the rat induced by duodenogastric reflux without carcinogens" 1447-1454,

      1 Kaklamanis L, "p53 expression in colorectal adenomas" 142 : 87-93, 1993

      2 Kim JK, "The effects of cisapride on bile reflux gastritis" 35 : 9-15, 2000

      3 Park SH, "The ambulatory fiberoptic reflux monitoring in bile reflux gastritis:Histologic changes and duodenogastric reflux" 28 : 484-492, 1996

      4 Fall K, "Risk for gastric cancer after cholecystectomy" 102 : 1180-1184, 2007

      5 Sobala GM, "Reflux gastritis in the intact stomach" 43 : 303-306, 1990

      6 Mason RC, "Pancreaticoduodenal secretions and the genesis of gastric stump carcinoma in the rat" 29 : 830-834, 1998

      7 Fitzpatrick FA, "Inflammation, carcinogenesis and cancer" 1 : 1651-1667, 2001

      8 Kim CW, "Immunohistochemical Expression of the p53 and Ki-67 Proteins in Barrett`s Esophagus in Korea" 46 : 189-195, 2005

      9 Im JP,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pathologic findings in bile reflux gastritis" 26 : 8-14, 2003

      10 Taylor PR, "Gastric carcinogenesis in the rat induced by duodenogastric reflux without carcinogens" 1447-1454,

      11 Park YE, "Expression of p21, p53 and Ki-67, and Apoptosis in Colorectal Adenocarcinoma" 36 : 296-304, 2002

      12 Kondo K, "Duodenogastric reflux and gastric stump carcinoma" 5 : 16-22, 2002

      13 Dixon MF, "Classification and grading of gastritis International Workshop on the Histopathology of Gastritis" 20 : 1161-1181,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0-05-1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소화관 운동학회지 ->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KCI등재
      2010-05-10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한소화관운동학회 -> 대한소화기 기능성질환∙운동학회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Gastrointestinal Motility -> The Korean Society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6 0.65 1.6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9 1.03 0.459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