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이버 괴롭힘의 목격 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Influences on Cyberbullying Non-Intervention, Participation, and Mediation Decisions : Challenges after the Leadership Shift in 2017-18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148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사이버 괴롭힘(cyberbullying) 목격 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심리와 상황으로 구분하여 심리적 요인은 공감능력과 사회적 지지감으로, 상황적 요인은 목격자 수, 익명성, 가해자 및 피해자와의 친밀도로 구분하였다. 사이버 괴롭힘 목격 경험이 있는 고등학생, 대학생 1,14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회귀분석 한 결과, 가족의 사회적 지지감은 가담과는 부적 관계, 중재와는 정적 관계를 보이고, 온라인 지지감은 방관 행위는 부적 관계, 중재 및 가담 행위와는 정적 관계를 보였다. 목격자의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가담 행위는 적고 중재는 적극적으로 하였다. 목격자 수와 익명성은 가담 행위와 부적 관계를 보이고, 가해자와의 관계가 친밀할수록 방관 및 가담 행위를 많이 하고, 중재행위는 적게 하였다. 한편 피해자와의 친밀도는 방관 행위는 부적, 중재 행위와는 정적 관계를 보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사이버 괴롭힘(cyberbullying) 목격 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심리와 상황으로 구분하여 심리적 요인은 공감능력과 사회적 지...

      본 연구는 사이버 괴롭힘(cyberbullying) 목격 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심리와 상황으로 구분하여 심리적 요인은 공감능력과 사회적 지지감으로, 상황적 요인은 목격자 수, 익명성, 가해자 및 피해자와의 친밀도로 구분하였다. 사이버 괴롭힘 목격 경험이 있는 고등학생, 대학생 1,14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회귀분석 한 결과, 가족의 사회적 지지감은 가담과는 부적 관계, 중재와는 정적 관계를 보이고, 온라인 지지감은 방관 행위는 부적 관계, 중재 및 가담 행위와는 정적 관계를 보였다. 목격자의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가담 행위는 적고 중재는 적극적으로 하였다. 목격자 수와 익명성은 가담 행위와 부적 관계를 보이고, 가해자와의 관계가 친밀할수록 방관 및 가담 행위를 많이 하고, 중재행위는 적게 하였다. 한편 피해자와의 친밀도는 방관 행위는 부적, 중재 행위와는 정적 관계를 보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an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whether individuals intervene or abstain from responding in cases of cyberbullying. It examined the factors influencing behaviors after witnessing cyberbullying, which were classified into “non-intervention,” “participation,” and “mediation” types. Factors were broadly categorized into personal and situational types, where personal factors were analyzed in term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empathetic capabilities and situational factors were analyzed in terms of number of witnesses, anonymity, and closeness with the perpetrator and victim. An onlin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1,140 high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with experience witnessing cyberbullying. Regression analysis of the results showed family-based social support to be negatively correlated with participation in bullying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meditation, while perceived online suppor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non-involvement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both mediation and participation. Participation acts were less common and mediation more active for witnesses with higher empathetic capabiliti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in the conclusion.
      번역하기

      This study attempted an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whether individuals intervene or abstain from responding in cases of cyberbullying. It examined the factors influencing behaviors after witnessing cyberbullying, which were classified into ...

      This study attempted an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whether individuals intervene or abstain from responding in cases of cyberbullying. It examined the factors influencing behaviors after witnessing cyberbullying, which were classified into “non-intervention,” “participation,” and “mediation” types. Factors were broadly categorized into personal and situational types, where personal factors were analyzed in term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empathetic capabilities and situational factors were analyzed in terms of number of witnesses, anonymity, and closeness with the perpetrator and victim. An onlin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1,140 high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with experience witnessing cyberbullying. Regression analysis of the results showed family-based social support to be negatively correlated with participation in bullying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meditation, while perceived online suppor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non-involvement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both mediation and participation. Participation acts were less common and mediation more active for witnesses with higher empathetic capabiliti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in the conclus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이론적 논의
      • 3. 연구모델 및 연구방법
      • 4. 연구결과
      • 5. 결론
      • 1. 서론
      • 2. 이론적 논의
      • 3. 연구모델 및 연구방법
      • 4. 연구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