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일생의례사전" 국립민속박물관 2014
2 김시덕, "한국의 상례문화" 민속원 2012
3 "한국고전종합 DB"
4 장철수, "한국 전통사회의 관혼상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5 "학봉집"
6 "태종실록"
7 주희, "주자가례" 예문서원 1999
8 박미해, "조선중기 천장례에서의 유교적 공순(恭順)― 이문건의 묵재일기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70) : 181-210, 2006
9 "조선왕조실록"
10 박채린, "조선시대 김치 문화의 성립과 식속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2
1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일생의례사전" 국립민속박물관 2014
2 김시덕, "한국의 상례문화" 민속원 2012
3 "한국고전종합 DB"
4 장철수, "한국 전통사회의 관혼상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5 "학봉집"
6 "태종실록"
7 주희, "주자가례" 예문서원 1999
8 박미해, "조선중기 천장례에서의 유교적 공순(恭順)― 이문건의 묵재일기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70) : 181-210, 2006
9 "조선왕조실록"
10 박채린, "조선시대 김치 문화의 성립과 식속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2
11 박미해, "조선 중기 이문건가의 천장례 준비: <묵재일기>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68) : 137-166, 2005
12 김호, "조선 왕실의 藥膳 ‘煎藥’ 연구" 진단학회 (100) : 85-108, 2005
13 "장서각 기록유산 DB"
14 조은숙, "이문건 시묘살이를 통해 본 조선중기 유자(儒者)의 상례(喪禮) 고찰"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33) : 153-184, 2016
15 "예기집해"
16 "예기"
17 "영조실록"
18 이상희, "술-한국의 술문화 1" 선 391-394, 2009
19 "성종실록"
20 "설문해자"
21 "백호전서"
22 "묵재일기"
23 김일권, "김치의 인문학적 이해" 세계김치연구소 2014
24 "가례"
25 장동우, "『주자가례』의 수용과 보급 과정 ― 동전東傳 판본版本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국학진흥원 (16) : 183-206, 2010
26 정볍섭, "(역주)예기집설대전 : 단궁 下" 학고방 2013
27 이문건, "(국역)묵재일기" 경인문화사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