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헌법상 사회보장권 보장에 관한 소고(小考) - 헌법재판소 결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에 기한 시론(試論) - = Constitutional Guarantee of the Right to Social Secur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467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on substantive legal issues for the guarantee of the right to a humane livelihood (Article 34 of Korean Constitution) examines the scope of the right to a humane livelihood through the critical review of the relevant decision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focusing on the significance of the right to a humane livelihood and the legal nature of the right to social security. In the light of the purpose of guaranteeing social basic rights and the contents of the relevant provisions of the Constitution, I think that the right to a humane livelihood means the right to enjoy a healthy and cultural life. The conventional so-called minimum guarantee theory in this area is a misrepresentation of the scale of judicial review standards on the scope of basic rights protection. The right to social security, which is essential to maintain human dignity and achieve the right to life, is a constitutional right derived from the right to a humane livelihood. Specifically, the constitutionality of limiting the right to social insurance, an important axis of social security, should be reviewed as a matter of the limitation of the right to social security.
      번역하기

      This paper on substantive legal issues for the guarantee of the right to a humane livelihood (Article 34 of Korean Constitution) examines the scope of the right to a humane livelihood through the critical review of the relevant decisions of the Consti...

      This paper on substantive legal issues for the guarantee of the right to a humane livelihood (Article 34 of Korean Constitution) examines the scope of the right to a humane livelihood through the critical review of the relevant decision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focusing on the significance of the right to a humane livelihood and the legal nature of the right to social security. In the light of the purpose of guaranteeing social basic rights and the contents of the relevant provisions of the Constitution, I think that the right to a humane livelihood means the right to enjoy a healthy and cultural life. The conventional so-called minimum guarantee theory in this area is a misrepresentation of the scale of judicial review standards on the scope of basic rights protection. The right to social security, which is essential to maintain human dignity and achieve the right to life, is a constitutional right derived from the right to a humane livelihood. Specifically, the constitutionality of limiting the right to social insurance, an important axis of social security, should be reviewed as a matter of the limitation of the right to social secur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의 실질적 보장을 위한 실체법적 과제에 관한 시론(試論)으로,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의 의의 및 사회보장을 받을 권리의 법적 성격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기본권으로서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의 내용 내지 보호영역을 헌법재판소의 관련 결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살펴본다.
      사회적 기본권 보장의 취지와 우리 헌법상 관련 규정의 내용 등에 비추어 볼 때,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는 건강하고 문화적인 생활을 향유할 권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볼 것이며,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의 의의와 관련된 종래의 이른바 최소보장론은 위헌심사기준의 척도를 기본권 보호범위의 내용에 잘못 투영한 것이라 생각한다. 오늘날 인간의 존엄성 유지와 생존권 실현을 위해 필수적으로 요청되는 사회보장에 관한 권리는 이러한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에서 도출되는 헌법상 권리라 할 것이며, 사회보장의 주축을 이루는 사회보험수급권에 대한 제한 문제는 바로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에서 유래하는 사회적 기본권인 사회보장권의 제한 문제로 심사해야 한다.
      번역하기

      이 글은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의 실질적 보장을 위한 실체법적 과제에 관한 시론(試論)으로,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의 의의 및 사회보장을 받을 권리의 법적 성격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

      이 글은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의 실질적 보장을 위한 실체법적 과제에 관한 시론(試論)으로,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의 의의 및 사회보장을 받을 권리의 법적 성격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기본권으로서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의 내용 내지 보호영역을 헌법재판소의 관련 결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살펴본다.
      사회적 기본권 보장의 취지와 우리 헌법상 관련 규정의 내용 등에 비추어 볼 때,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는 건강하고 문화적인 생활을 향유할 권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볼 것이며,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의 의의와 관련된 종래의 이른바 최소보장론은 위헌심사기준의 척도를 기본권 보호범위의 내용에 잘못 투영한 것이라 생각한다. 오늘날 인간의 존엄성 유지와 생존권 실현을 위해 필수적으로 요청되는 사회보장에 관한 권리는 이러한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에서 도출되는 헌법상 권리라 할 것이며, 사회보장의 주축을 이루는 사회보험수급권에 대한 제한 문제는 바로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에서 유래하는 사회적 기본권인 사회보장권의 제한 문제로 심사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영수, "「현대공법의 연구」,미봉 김운용교수 화갑기념 논문집" 1997

      2 국회도서관, "헌법제정회의록(제헌의회), 헌정사자료 제1집"

      3 헌법재판소, "헌법재판소판례집"

      4 헌법재판소, "헌법재판소공보"

      5 홍성방, "헌법재판 주요선례연구 3" 헌법재판소 헌법재판연구원 2013

      6 전광석, "한국사회보장법론" 집현재 2016

      7 김선택,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의 헌법규범성 - 생계보호기준결정: 헌법재판소 1997. 5. 29. 선고, 94헌마33결정 -" 9 : 1998

      8 김문현,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의 법적 성격" (332) : 1998

      9 김복기, "위기의 상시화와 사회안전망으로서 사회보장법의 과제- 공공부조와 실업보험을 중심으로 본 사회보장법 형성과정과 기본원칙 -" 법학연구소 58 (58): 193-221, 2017

      10 김복기, "사회적 기본권의 법적 성격" 3 (3): 2014

      1 장영수, "「현대공법의 연구」,미봉 김운용교수 화갑기념 논문집" 1997

      2 국회도서관, "헌법제정회의록(제헌의회), 헌정사자료 제1집"

      3 헌법재판소, "헌법재판소판례집"

      4 헌법재판소, "헌법재판소공보"

      5 홍성방, "헌법재판 주요선례연구 3" 헌법재판소 헌법재판연구원 2013

      6 전광석, "한국사회보장법론" 집현재 2016

      7 김선택,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의 헌법규범성 - 생계보호기준결정: 헌법재판소 1997. 5. 29. 선고, 94헌마33결정 -" 9 : 1998

      8 김문현,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의 법적 성격" (332) : 1998

      9 김복기, "위기의 상시화와 사회안전망으로서 사회보장법의 과제- 공공부조와 실업보험을 중심으로 본 사회보장법 형성과정과 기본원칙 -" 법학연구소 58 (58): 193-221, 2017

      10 김복기, "사회적 기본권의 법적 성격" 3 (3): 2014

      11 한병호, "사회적 기본권 50년" 4 (4): 1998

      12 장승혁, "사회보험법과 사회연대 원리" 서울대학교 2017

      13 이상경, "미국의 사회보장급부권 논의와 복지실현의 헌법적 방법" 한국공법학회 42 (42): 1-25, 2013

      14 전광석, "독일사회보장법과 사회정책" 박영사 2008

      15 이흥재, "노동기본권과 사회보장수급권의 실효성" 39 (39): 1999

      16 김주경, "건강권의 헌법학적 내용과 그 실현" 법학연구원 23 (23): 89-131,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