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과 중국 소셜미디어 이용자의 프라이버시 우려와 지각된 효능감이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s of Privacy Concerns and Perceived Efficacy of Korean and Chinese Social Media Users on Advertising Avoid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812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rivacy issues are becoming more prominent due to a series of recent personal information leak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cy concerns and perceived efficacy in social media based on the privacy calculation model, in order to explain the advertising avoidance behavior of social media users. In particular, first, this study aimed to confirm whether perceived efficacy moderates the effect of users' privacy concerns on advertising avoidance in social media. Second, this study compared social media users in Korea and China on privacy concerns, advertising avoidance and perceived efficacy.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Korean users in social media had higher perceived efficacy and lower advertising avoidance than Chinese users.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egree of privacy concern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Korean users and Chinese us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s' privacy concerns and advertising avoidance on social media. For both Korean and Chinese users, privacy concern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dvertising avoida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variables was greater for Chinese users than for Korean user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cy concerns and advertising avoidance, only Korean users showed a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efficacy. The effect of privacy concerns on advertis- ing avoidance decreased as the perceived efficacy increased. Whereas,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per- ceived efficacy among Chinese use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ole of privacy concerns and perceived efficacy in social media advertising, and to compa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across countries.
      번역하기

      Privacy issues are becoming more prominent due to a series of recent personal information leak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cy concerns and perceived efficacy in social media based on the privacy calculation model, in order to e...

      Privacy issues are becoming more prominent due to a series of recent personal information leak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cy concerns and perceived efficacy in social media based on the privacy calculation model, in order to explain the advertising avoidance behavior of social media users. In particular, first, this study aimed to confirm whether perceived efficacy moderates the effect of users' privacy concerns on advertising avoidance in social media. Second, this study compared social media users in Korea and China on privacy concerns, advertising avoidance and perceived efficacy.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Korean users in social media had higher perceived efficacy and lower advertising avoidance than Chinese users.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egree of privacy concern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Korean users and Chinese us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s' privacy concerns and advertising avoidance on social media. For both Korean and Chinese users, privacy concern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dvertising avoida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variables was greater for Chinese users than for Korean user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cy concerns and advertising avoidance, only Korean users showed a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efficacy. The effect of privacy concerns on advertis- ing avoidance decreased as the perceived efficacy increased. Whereas,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per- ceived efficacy among Chinese use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ole of privacy concerns and perceived efficacy in social media advertising, and to compa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across countr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잇따른 개인정보 유출로 프라이버시 보호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프라이버시 계산 모델(Privacy Calculus)은 개인이 정보공개를 할 때 비용-이익(cost-benefit) 분석을 하고 이익이 위험보다 높을 때만 개인이 정보공개를한다는 이론으로, 정보공개를 촉진하는 순방향 요인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지각된 위험에 대한 프라이버시 우려에도 주목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소셜미디어 사용자들의 광고회피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프라이버시 계산 모델을 기반으로사용자가 소셜미디어에서 느끼는 프라이버시 우려와 지각된 효능감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소셜미디어에서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우려가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을 지각된 효능감이 조절하는지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둘째, 프라이버시우려, 광고회피, 지각된 효능감의 관계를 한국과 중국의 사용자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를 비교함으로써 두 국가의 사용자들이 인지하는 프라이버시 우려의 정도와 광고회피의 정도, 그리고 지각된 효능감의 조절효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소셜미디어에서 한국 소비자는 중국 소비자보다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지각된 효능감은 높았으며, 광고회피 정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프라이버시 우려의 정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소셜미디어에서 사용자의프라이버시 우려가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한국 소비자와 중국 소비자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한국 소비자와 중국 소비자 모두에게서 프라이버시 우려는 광고회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보다 중국소비자의 경우, 두 변인의 관계는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라이버시 우려가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지각된 효능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프라이버시 우려가 광고회피에 미치는 효과는 지각된 효능감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중국간 차이를 비교한 결과, 한국 소비자의 경우, 소셜미디어에서 프라이버시 우려가 광고회피에미치는 영향관계에서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지각된 효능감의 조절효과가 나타난 반면, 중국 소비자의 경우, 프라이버시우려와 광고회피의 영향관계에서 지각된 효능감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한국의 경우 프라이버시 우려가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지각된 효능감의 조절역할이 큰 것으로 나타난 반면, 중국은 지각된 효능감의 조절효과가 없기 때문에 광고회피의 정도가 한국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소셜미디어 이용자와 그들의 광고에 대한 태도 및 그 원인으로 프라이버시 우려와 효능감의 역할을 밝히고, 이를 국가간 비교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번역하기

      최근 잇따른 개인정보 유출로 프라이버시 보호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프라이버시 계산 모델(Privacy Calculus)은 개인이 정보공개를 할 때 비용-이익(cost-benefit) 분석을 하고 ...

      최근 잇따른 개인정보 유출로 프라이버시 보호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프라이버시 계산 모델(Privacy Calculus)은 개인이 정보공개를 할 때 비용-이익(cost-benefit) 분석을 하고 이익이 위험보다 높을 때만 개인이 정보공개를한다는 이론으로, 정보공개를 촉진하는 순방향 요인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지각된 위험에 대한 프라이버시 우려에도 주목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소셜미디어 사용자들의 광고회피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프라이버시 계산 모델을 기반으로사용자가 소셜미디어에서 느끼는 프라이버시 우려와 지각된 효능감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소셜미디어에서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우려가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을 지각된 효능감이 조절하는지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둘째, 프라이버시우려, 광고회피, 지각된 효능감의 관계를 한국과 중국의 사용자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를 비교함으로써 두 국가의 사용자들이 인지하는 프라이버시 우려의 정도와 광고회피의 정도, 그리고 지각된 효능감의 조절효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소셜미디어에서 한국 소비자는 중국 소비자보다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지각된 효능감은 높았으며, 광고회피 정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프라이버시 우려의 정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소셜미디어에서 사용자의프라이버시 우려가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한국 소비자와 중국 소비자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한국 소비자와 중국 소비자 모두에게서 프라이버시 우려는 광고회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보다 중국소비자의 경우, 두 변인의 관계는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라이버시 우려가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지각된 효능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프라이버시 우려가 광고회피에 미치는 효과는 지각된 효능감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중국간 차이를 비교한 결과, 한국 소비자의 경우, 소셜미디어에서 프라이버시 우려가 광고회피에미치는 영향관계에서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지각된 효능감의 조절효과가 나타난 반면, 중국 소비자의 경우, 프라이버시우려와 광고회피의 영향관계에서 지각된 효능감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한국의 경우 프라이버시 우려가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지각된 효능감의 조절역할이 큰 것으로 나타난 반면, 중국은 지각된 효능감의 조절효과가 없기 때문에 광고회피의 정도가 한국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소셜미디어 이용자와 그들의 광고에 대한 태도 및 그 원인으로 프라이버시 우려와 효능감의 역할을 밝히고, 이를 국가간 비교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지민 ; 이선영 ; 정남호 ; 구철모, "홉스테드 문화차원 이론을 적용한 국가별 한류동향과 인식차이에 관한 연구 - 동아시아 국가를 중심으로 -" 한국호텔관광학회 18 (18): 21-40, 2016

      2 기소진 ; 이수영, "프라이버시 염려와 자기효능감에 따른 SNS 이용자 유형에 관한 탐색적 연구:페이스북 이용자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7 (57): 81-110, 2013

      3 이주영 ; 강현정, "프라이버시 염려가 SNS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뢰도의 매개 및 지각된 유용성의 조절효과" 한국지식경영학회 16 (16): 47-67, 2015

      4 Wang Shuang, "프라이버시 계산이론을 적용한 모바일 위치기반서비스 사용의도에 관한 실증분석" 518-521, 2019

      5 민진영 ; 김병수, "프라이버시 계산 모형을 적용한 SNS 지속 사용 의도에 대한 연구: 페이스북과 카카오톡 사례 중심으로" 한국경영정보학회 15 (15): 105-122, 2013

      6 김정환 ; 김민성,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이중 계산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3 (23): 953-963, 2022

      7 김형지 ; 정세훈, "중장년층 인터넷 이용자의 온라인 개인정보 노출 및 보호 행동의 차이에 관한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32 (32): 49-79, 2015

      8 Xing Yichun ; 박성연 ; Luo Hong, "중국 SNS 광고에 관한 연구: 인피드 광고 특성과 프라이버시 우려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국국제경영학회 30 (30): 71-100, 2019

      9 박일규, "제정 10주년의 개인정보보호법에 대한 형사법적 검토" 법조협회 70 (70): 394-432, 2021

      10 허정 ; 김승현 ; 차남준 ; 황준석, "정보 프라이버시 관련 이용자 태도 및 행동 연구: 지급결제 서비스 중심으로" 한국정보사회학회 17 (17): 75-97, 2016

      1 이지민 ; 이선영 ; 정남호 ; 구철모, "홉스테드 문화차원 이론을 적용한 국가별 한류동향과 인식차이에 관한 연구 - 동아시아 국가를 중심으로 -" 한국호텔관광학회 18 (18): 21-40, 2016

      2 기소진 ; 이수영, "프라이버시 염려와 자기효능감에 따른 SNS 이용자 유형에 관한 탐색적 연구:페이스북 이용자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7 (57): 81-110, 2013

      3 이주영 ; 강현정, "프라이버시 염려가 SNS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뢰도의 매개 및 지각된 유용성의 조절효과" 한국지식경영학회 16 (16): 47-67, 2015

      4 Wang Shuang, "프라이버시 계산이론을 적용한 모바일 위치기반서비스 사용의도에 관한 실증분석" 518-521, 2019

      5 민진영 ; 김병수, "프라이버시 계산 모형을 적용한 SNS 지속 사용 의도에 대한 연구: 페이스북과 카카오톡 사례 중심으로" 한국경영정보학회 15 (15): 105-122, 2013

      6 김정환 ; 김민성,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이중 계산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3 (23): 953-963, 2022

      7 김형지 ; 정세훈, "중장년층 인터넷 이용자의 온라인 개인정보 노출 및 보호 행동의 차이에 관한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32 (32): 49-79, 2015

      8 Xing Yichun ; 박성연 ; Luo Hong, "중국 SNS 광고에 관한 연구: 인피드 광고 특성과 프라이버시 우려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국국제경영학회 30 (30): 71-100, 2019

      9 박일규, "제정 10주년의 개인정보보호법에 대한 형사법적 검토" 법조협회 70 (70): 394-432, 2021

      10 허정 ; 김승현 ; 차남준 ; 황준석, "정보 프라이버시 관련 이용자 태도 및 행동 연구: 지급결제 서비스 중심으로" 한국정보사회학회 17 (17): 75-97, 2016

      11 최은영 ; 도선재, "인터넷 광고의 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의 매체 이용 동기와 능력, 광고 지각 및 광고 태도" 한국광고홍보학회 13 (13): 171-197, 2011

      12 김지연, "온라인 플랫폼 법인사업자에 대한 개인정보 보호법상 벌칙규정 적용의 이론적 및 현실적 한계" 법학연구소 39 (39): 49-78, 2022

      13 문윤지, "온라인 소셜네트워크에서 개인의 위험성평가와 자기통제력이 정보보안우려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8 (18): 294-301, 2017

      14 김종기, "스마트폰 위치기반서비스(LBS)의 정보제공의도에 있어서 프라이버시 계산 기반의 영향" 349-363, 2012

      15 차훈상, "스마트폰 위치기반 어플리케이션의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프라이버시 계산 모형의 적용" 한국경영정보학회 22 (22): 7-29, 2012

      16 변혜민 ; 심성욱, "소셜미디어 플랫폼에 따른 인게이지먼트와 광고 인게이지먼트의 관계: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유튜브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광고PR실학회 13 (13): 58-90, 2020

      17 김병수 ; 김대길, "소셜 미디어에서 개인 식별 정보와 사생활 정보 공유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7 (17): 127-136, 2019

      18 최혜진 ; 조창환, "상품 추천 서비스 유형에 따른 소비자 반응 연구 : 프라이버시 계산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20 (20): 254-266, 2020

      19 김병수, "빅데이터 시대, SNS 사용자의 정보 공유 행태 분석: 프라이버시 계산 이론 관점에서" 국제e-비즈니스학회 15 (15): 291-309, 2014

      20 박준희, "범죄 빅데이터에 대한 개인정보 제공과 프라이버시 염려 : 정부신뢰의 매개・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29 (29): 221-248, 2020

      21 류페이셍 ; 김원경, "문화 차이가 제품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홉스테드(Geert Hofstede)의 문화변수를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4 (14): 713-723, 2014

      22 소현정 ; 곽기영, "모바일 헬스 앱 사용의도 동기요인: 조절초점성향과 프라이버시계산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지식경영학회 22 (22): 33-53, 2021

      23 장정 ; 엄명용, "모바일 전자상거래에서 한국과 중국의 정보프라이버시, 신뢰, 정보제공 의도에 대한 비교 연구" 국제e-비즈니스학회 20 (20): 99-116, 2019

      24 범을문 ; 이애리, "모바일 러닝 애플리케이션 이용과 영향 요인 연구: 중국과 한국 사용자 비교 연구" 한국지식경영학회 20 (20): 149-168, 2019

      25 이주희 ; 문장호, "맞춤형 광고에 대한 소비자 반응 연구: 소비자 구매 여정과 프라이버시 계산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23 (23): 73-136, 2021

      26 장운 ; 김선주, "뉴트렌드제품 광고에 대한 한중 소비자의 반응과 효과 - iPhone4 런칭 CF를 대상으로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33) : 263-272, 2011

      27 진용주 ; 유재웅, "기업위기(crisis)상황에서 기업CEO를 활용한 커뮤니케이션이 수용자태도에 미치는 영향 - 미국과 한국의 국가별 차이와 메시지 전달(messenger) 유형에 따른 차이비교 -" 한국소통학회 17 (17): 71-104, 2018

      28 김나미 ; 유승엽, "광고의 기능과 광고태도간의 관계성에 관한 한국과 중국소비자 인식 비교"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15 (15): 103-121, 2014

      29 윤호열 ; 김민호 ; 이보라 ; 최상옥, "개인정보침해에 대한 우려와 SNS 이용 행태 간 종단적 관계에 대한 연구: 온라인 정보 프라이버시 이론을 중심으로" 정보통신정책학회 27 (27): 93-119, 2020

      30 노갑영, "개인정보보호법상 개인정보주체의 권리보장수단으로서 징벌적 손해배상" 법학연구소 40 (40): 197-241, 2020

      31 Tecent, "腾讯公布二零二一年第四季及全年业绩"

      32 蒋琳, "微博5亿用户手机号疑在暗网出售!惊动微博高层"

      33 同花顺财经, "微博2021财年年报净利4.28亿美元 同比增加36.68%"

      34 张新宝, "从隐私到个人信息 : 利益再衡量的理论与制度安排" 3 : 38-59, 2015

      35 Hofstede, G., "The hofstede centre"

      36 Hofstede, G., "The GLOBE debate : Back to relevance" 41 (41): 1339-1346, 2010

      37 Rogers, R. W., "Social Psychophysiology: A Sourcebook" Guilford Press 153-176, 1983

      38 박지영, "SNS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염려와 프라이버시 침해 경험이 자기노출에 미치는 영향" 158-165, 2018

      39 윤세연 ; 조창환, "SNS 광고에서의 개인화 요소가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 페이스북 광고 메시지의 프라이버시 계산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20 (20): 64-94, 2018

      40 Wang, L., "Retaining users after privacy invasions : The roles of institutional privacy assurances and threat-coping appraisal in mitigating privacy concerns" 32 (32): 1679-1703, 2019

      41 Witte, K., "Putting the fear back into fear appeals : The extended parallel process model" 59 : 329-349, 1992

      42 Westin, A. F., "Privacy and Freedom" Atheneum 1967

      43 김수정 ; 이중화, "Perceived Norms and Consumer Responses to Social Media Advertising: A Cross-Cultural Study of Facebook Sponsored Stories among Koreans and Americans" 한국광고학회 25 (25): 53-81, 2014

      44 Statista, "Number of monthly active Facebook users worldwide as of 4th quarter 2021"

      45 Dinev, T., "Internet privacy concerns and their antecedents-measurement validity and a regression model" 23 (23): 413-422, 2004

      46 Mohamed, N.,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antecedents, and privacy measure use in social networking sites : Evidence from Malaysia" 28 : 2366-2375, 2012

      47 Witte, K., "Fear control and danger control : A test of the extended parallel process model(EPPM)" 61 (61): 113-134, 1994

      48 Hofstede, G., "Culture's consequences: comparing values, behaviors,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across nations" Sage publications 2001

      49 Culnan, M. J., "Consumer privacy : Balancing economic and justice considerations" 59 (59): 323-342, 2003

      50 Holmes, A, "533 million Facebook users' phone numbers and personal data have been leaked onlin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