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지체장애 특수학교에서의 진로교육의 당면 과제와 그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 특수학교 진로교육의 과제, 직업 세계의 변천 추이 및 지체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지체장애 특수학교에서의 진로교육의 당면 과제와 그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 특수학교 진로교육의 과제, 직업 세계의 변천 추이 및 지체장...
이 연구는 지체장애 특수학교에서의 진로교육의 당면 과제와 그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 특수학교 진로교육의 과제, 직업 세계의 변천 추이 및 지체장애인을 위한 서비스의 과제를 선행연구들을 중심으로 종합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특수학교 진로교육의 과제에 대해서는 직업교육과 직업훈련의 개념 혼돈, 직업교육과 정의 문제, 직업평가체제의 확립, 직무적 접근을 통한 직업안정, 산학협동체제의 확립 등을 검토하였고, 직업세계의 변천 추이에 대해서는 인구양상의 변화, 가족구조의 변화, 정보매체의 발달, 자동화, 환경 문제 등 고용의 질·폭·내용 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지체장애인을 위한 서비스의 과제에 대해서는 서비스의 변화, 교육환경의 변화, 관련직원의 변화, 교육시기의 변화, 시대적 상황의 변화 등을 검토하였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 검토를 통하여 지체장애 특수학교 진로교육 모형으로서, 지역사회 지원체제 모형과 직업적 통합을 위한 고용경로 모형을 나름대로 제시하였다. 또한, 장차 지체장애인들이 처하게 될 상황을 미래학적 관점에서 조망하여 지체장애 특수학교에서의 진로교육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진로교육과 관련하여 진로지도, 직업교육, 직업지도, 직업진로지도, 직업진로교육, 평생교육, 생애교육 등 여러 가지 용어들이 혼용되고 있다. 특히 직업교육과 진로교육 두 용어에 대해서는 학자들마다 견해가 다르다. 필자는 특수학교에 관한 한 진로교육과 직업교육을 명백히 구분하는 것이 사실상 어렵다고 생각한다. 차이점이 있다면 진로는 동적·과정적 개념인 반면 직업은 정적·지위적 개념이라는 정도일 것이다. 여기에서는 진로교육을 직업교육보다 약간 더 넓은 개념 정도로 사용하되, 경우에 따라서는 두 용어를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고자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