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계통의 가소성은 신경세포의 변화에 의해 이루어질 뿐 아니라 신경아교세포의 변화에 의해서도 이루어진다. 신경아교세포 중 별아교세포는 신경세포의 기능을 조절하므로 정상적인 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383283
2008
Korean
478
KCI등재,SCOPUS
학술저널
213-219(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신경계통의 가소성은 신경세포의 변화에 의해 이루어질 뿐 아니라 신경아교세포의 변화에 의해서도 이루어진다. 신경아교세포 중 별아교세포는 신경세포의 기능을 조절하므로 정상적인 뇌...
신경계통의 가소성은 신경세포의 변화에 의해 이루어질 뿐 아니라 신경아교세포의 변화에 의해서도 이루어진다. 신경아교세포 중 별아교세포는 신경세포의 기능을 조절하므로 정상적인 뇌의 기능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뇌에서 편도복합체는 위험 혹은 유해한 일련의 감각정보를 받아들이는 구역으로 받아들인 일련의 이와 같은 정보를 통합하고 변환시켜 공포라는 감정을 만들어낸다. 이런 과정은 편도복합체 신경세포에서 분비되는 신경전달물질의 균형변화에 의해 이루어지며, 신경전달물질의 조절에 별아교세포가 관여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출생 전 스트레스와 성장 후에 받은 스트레스가 편도복합체 별아교세포의 세포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흰쥐를 스트레스를 받지 않은 대조군 (CON), 성장 후 스트레스를 받은 군(CONR), 출생 전 스트레스를 받은 군(PNS), 출생 전 스트레스와 성장 후 스트레스를 모두 받은 군 (PNSR)으로 구분하였다. 별아교세포는 GFAP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시행하여 확인하였으며, methylene blue/azure II로 대조 염색하였다. Neurolucid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계측한 별아교세포의 세포체는 일부 편도복합체 신경핵에서 출생 전 스트레스를 받은 PNS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면적이 증가하였으며, 이런 경향은 출생전 스트레스를 받고 다시 성장 후 스트레스를 받은 PNSR군에서 더욱 증가하였다. 따라서 흰쥐의 편도복합체에 분포하는 별아교세포는 스트레스에 영향을 받아 비대해지는 경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출생 전 스트레스가 성장 후에도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사료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lasticity of nervous system is generated not only due to changes in neurons but also due to changes in neuroglial cells. Astrocyte is important for maintaining the normal brain function and controlling the neuronal functions. The amygdala receive...
The plasticity of nervous system is generated not only due to changes in neurons but also due to changes in neuroglial cells. Astrocyte is important for maintaining the normal brain function and controlling the neuronal functions. The amygdala receives an array of important sensory information of danger signals. This information is further transduced and integrated to produce the highly adaptive emotion, fear. In this study, morphometric changes in the cell bodies of astrocytes in the amygdala, induced by prenatal stress and restraint stress were examined. For this purpose, rats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control group (CON), only restraint-stressed (starting on P90 for 3 days) group (CONR), prenatally-stressed group (PNS), and prenatally and restraint (on P90 for 3 days) stressed group (PNSR). Astrocytes were verified with anti-GFAP immunohistochemistry, counter stained with methylene blue/azure II and were examined using the Neurolucida. Results showed that astrocytes in the amygdala of PNS rats had significantly larger cell bodies than did CON rats and this was enhanced further by restraint stress. Thus this data showed that hypertrophy of the astrocytic cell bodies of amygdala complex is induced by prenatal and restraint stress.
마그네슘 풍부 해양미네랄 용액이 hairless 마우스의 아토피성 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A Glance of Electron Tomography through 4th International Congress on Electron Tomography
Vitamin C Enhances the Effect of Etoposide to Inhibit Human Prostate Cancer Growth in vitr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