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50년대 소년소설과 ‘가부장제 재건 내셔널리즘’: 김내성의 『쌍무지개 뜨는 언덕』과 염상섭의 『채석장의 소년』을 중심으로 = Boys' novels of the 1950s and ‘patriarchy-reconstructing nationalism’: Focusing on Kim Nae-seong's The Double Rainbow Hill and Yeom Sang-seop's Boys in the Quar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178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1950년대 소년소설 가운데 상당한 공통점을 갖고 있는 김내성의 『쌍무지개 뜨는 언덕』과 염상섭의 『채석장의 소년』을 중심으로 ‘재건’의 공간성에 대해 살펴보고, 해방기-한국전쟁기에 작동한 ‘가부장제 재건 내셔널리즘’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1950년대 소년소설 속 인물들은 이상적이고 완벽하다. 민주적이고 배려심 깊은 어른들, 가난하지만 재능있고 양심적인 아이들, 그리고 그들을 돕는 훌륭한 인격의 친구들. 소설은 공동체적 가치를 우선시하는 인물들의 ‘연대’와 ‘우정’을 통해 일제강점기-해방기-한국전쟁기를 거치며 결핍된 인물들이 온전히 사회에 속할 수 있도록 한다. 그 속에는 순수한 마음(童心)과 더불어 살아가는 것의 가치(同心)가 담겨있기에 더욱 의미가 깊다. 그러나 그 ‘공간’과 ‘인물’의 설정을 중심으로 소설을 보면, 사회를 온전히 다시 세우기 위한 ‘가부장제 재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국민-되기’의 우선 자격에는 ‘정상가족’에 속해야 한다는 조건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똑똑하고 재능있는, 행복할 자격을 갖춘 아이들은 온정과 관심 속에서 가정과 사회에 편입될 것이나 ‘거리의 아이들’은 그대로 거리에 머물 것이다. 소설 속 은주와 완식의 희망적 결말은 두 인물을 중심으로 보았을 때 일종의 구원이지만, 1950년대 통합의 불가능성과 사회적 참혹함을 더욱 극명하게 보여주기도 한다.
      본 연구는 그간 결락되었던 『소년』지와 김내성의 『쌍무지개 뜨는 언덕』에 대한 연구를 보완하고, 해방기에 기획‧연재되고 한국전쟁기에 그 결말부를 완성한 두 작품이 아름답고 희망적인 메시지 속에 ‘가부장제’와 ‘정상가족’ 재건을 통한 국민-되기의 의의를 담고 있음을 드러내고자 한다. 1950년대 소년소설 속 동심적 위선의 균열이 드러나는 지점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1950년대 소년소설 가운데 상당한 공통점을 갖고 있는 김내성의 『쌍무지개 뜨는 언덕』과 염상섭의 『채석장의 소년』을 중심으로 ‘재건’의 공간성에 대해 살펴보고, 해방기-...

      이 연구는 1950년대 소년소설 가운데 상당한 공통점을 갖고 있는 김내성의 『쌍무지개 뜨는 언덕』과 염상섭의 『채석장의 소년』을 중심으로 ‘재건’의 공간성에 대해 살펴보고, 해방기-한국전쟁기에 작동한 ‘가부장제 재건 내셔널리즘’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1950년대 소년소설 속 인물들은 이상적이고 완벽하다. 민주적이고 배려심 깊은 어른들, 가난하지만 재능있고 양심적인 아이들, 그리고 그들을 돕는 훌륭한 인격의 친구들. 소설은 공동체적 가치를 우선시하는 인물들의 ‘연대’와 ‘우정’을 통해 일제강점기-해방기-한국전쟁기를 거치며 결핍된 인물들이 온전히 사회에 속할 수 있도록 한다. 그 속에는 순수한 마음(童心)과 더불어 살아가는 것의 가치(同心)가 담겨있기에 더욱 의미가 깊다. 그러나 그 ‘공간’과 ‘인물’의 설정을 중심으로 소설을 보면, 사회를 온전히 다시 세우기 위한 ‘가부장제 재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국민-되기’의 우선 자격에는 ‘정상가족’에 속해야 한다는 조건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똑똑하고 재능있는, 행복할 자격을 갖춘 아이들은 온정과 관심 속에서 가정과 사회에 편입될 것이나 ‘거리의 아이들’은 그대로 거리에 머물 것이다. 소설 속 은주와 완식의 희망적 결말은 두 인물을 중심으로 보았을 때 일종의 구원이지만, 1950년대 통합의 불가능성과 사회적 참혹함을 더욱 극명하게 보여주기도 한다.
      본 연구는 그간 결락되었던 『소년』지와 김내성의 『쌍무지개 뜨는 언덕』에 대한 연구를 보완하고, 해방기에 기획‧연재되고 한국전쟁기에 그 결말부를 완성한 두 작품이 아름답고 희망적인 메시지 속에 ‘가부장제’와 ‘정상가족’ 재건을 통한 국민-되기의 의의를 담고 있음을 드러내고자 한다. 1950년대 소년소설 속 동심적 위선의 균열이 드러나는 지점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spatiality of ‘reconstruction’ focusing on Kim Nae-seong's The Double Rainbow Hill and Yeoom Sang-seop's Boys in the Quarry which have significant similarities among the boys' novels of the 1950s, and talking about ‘nationalism for the reconstruction of patriarchy’ which operated during the period from the nation's liberation to the Korean War.
      The characters in the booy's novels of the 1950s are ideal and perfect persons. They are democratic and considerate adults, poor but talented and conscientious children, and friends of good characters who help them. The novels help characters who became deficient in the process of experienc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perfectly belong to the society through ‘solidarity’ and ‘friendship’ among characters who prioritize community values. These novels are more meaningful because their foundation contains the value of living together with a pure heart. Looking at those novels centering on the setting of the ‘space’ and ‘characters,’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focus is on the ‘reconstruction of patriarch’ to entirely rebuild a society. It is because a condition of belonging to ‘a normal family’ is included in the priority qualifications for ‘becoming a citizen.’ Children who are smart, talented and conscientious, or equipped with qualifications to be happy, will be incorporated into the society under warmth and attention, but ‘street children’ will continuously be left in the streets. The hopeful ending of Eun-ju and Wan-sik is a kind of salva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two figures, but it also shows the impossibility of integration and social cruelty of the 1950s more clear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lement studies on magazine The Boy and Kim Nae-seong's The Double Rainbow Hill which so far had been missing, and to show that the two works which were planned and serialized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nd whose ending parts were completed during the Korean War period contain the meaning of ‘becoming a citizen’ through reconstruction of ‘patriarchy’ and a ‘normal family’ within beautiful and hopeful messages. This is the point where the cracks of hypocrisy in the boys' novels of the 1950s are revealed.
      번역하기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spatiality of ‘reconstruction’ focusing on Kim Nae-seong's The Double Rainbow Hill and Yeoom Sang-seop's Boys in the Quarry which have significant similarities among the boys' novels of the 1950s, and talking about...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spatiality of ‘reconstruction’ focusing on Kim Nae-seong's The Double Rainbow Hill and Yeoom Sang-seop's Boys in the Quarry which have significant similarities among the boys' novels of the 1950s, and talking about ‘nationalism for the reconstruction of patriarchy’ which operated during the period from the nation's liberation to the Korean War.
      The characters in the booy's novels of the 1950s are ideal and perfect persons. They are democratic and considerate adults, poor but talented and conscientious children, and friends of good characters who help them. The novels help characters who became deficient in the process of experienc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perfectly belong to the society through ‘solidarity’ and ‘friendship’ among characters who prioritize community values. These novels are more meaningful because their foundation contains the value of living together with a pure heart. Looking at those novels centering on the setting of the ‘space’ and ‘characters,’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focus is on the ‘reconstruction of patriarch’ to entirely rebuild a society. It is because a condition of belonging to ‘a normal family’ is included in the priority qualifications for ‘becoming a citizen.’ Children who are smart, talented and conscientious, or equipped with qualifications to be happy, will be incorporated into the society under warmth and attention, but ‘street children’ will continuously be left in the streets. The hopeful ending of Eun-ju and Wan-sik is a kind of salva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two figures, but it also shows the impossibility of integration and social cruelty of the 1950s more clear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lement studies on magazine The Boy and Kim Nae-seong's The Double Rainbow Hill which so far had been missing, and to show that the two works which were planned and serialized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nd whose ending parts were completed during the Korean War period contain the meaning of ‘becoming a citizen’ through reconstruction of ‘patriarchy’ and a ‘normal family’ within beautiful and hopeful messages. This is the point where the cracks of hypocrisy in the boys' novels of the 1950s are reveal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민주, "해방기 아동의 과학 교양과 발명의 정치학-아동잡지 『소학생』을 중심으로-" 동아시아문화연구소 (75) : 117-142, 2018

      2 김영경, "해방기 소년소설의 이데올로기와 ‘통합’을 위한 장르적 기획 -염상섭의 『채석장의 소년』을 중심으로-" 우리말글학회 93 : 231-257, 2022

      3 정선혜, "해방기 소년소설에 나타난 아동상 탐색 : 아동잡지에 게재된 소년소설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문학학회 (26) : 93-134, 2014

      4 김종헌, "해방기 동시의 담론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5

      5 이재철, "한국현대아동문학사" 일지사 1978

      6 전명희, "한국 소년소설의 형성과 전개양상 – 장르의 역사적 기반과 흐름에 대해" 한국아동문학학회 (15) : 5-27, 2008

      7 염상섭, "채석장의 소년" 글누림출판사 2015

      8 최강민, "전후소설에 나타난 절망과 궁핍의 서울 풍경"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3) : 157-182, 2007

      9 최배은, "전쟁기에 발간된 잡지 <희망>의 ‘희망’ 표상 연구-아동․청소년 담론을 중심으로" 대중서사학회 23 (23): 131-159, 2017

      10 이원수, "이원수아동문학전집 29권" 웅진출판사 1984

      1 한민주, "해방기 아동의 과학 교양과 발명의 정치학-아동잡지 『소학생』을 중심으로-" 동아시아문화연구소 (75) : 117-142, 2018

      2 김영경, "해방기 소년소설의 이데올로기와 ‘통합’을 위한 장르적 기획 -염상섭의 『채석장의 소년』을 중심으로-" 우리말글학회 93 : 231-257, 2022

      3 정선혜, "해방기 소년소설에 나타난 아동상 탐색 : 아동잡지에 게재된 소년소설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문학학회 (26) : 93-134, 2014

      4 김종헌, "해방기 동시의 담론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5

      5 이재철, "한국현대아동문학사" 일지사 1978

      6 전명희, "한국 소년소설의 형성과 전개양상 – 장르의 역사적 기반과 흐름에 대해" 한국아동문학학회 (15) : 5-27, 2008

      7 염상섭, "채석장의 소년" 글누림출판사 2015

      8 최강민, "전후소설에 나타난 절망과 궁핍의 서울 풍경"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3) : 157-182, 2007

      9 최배은, "전쟁기에 발간된 잡지 <희망>의 ‘희망’ 표상 연구-아동․청소년 담론을 중심으로" 대중서사학회 23 (23): 131-159, 2017

      10 이원수, "이원수아동문학전집 29권" 웅진출판사 1984

      11 김내성, "쌍무지개 뜨는 언덕" 맑은창 2010

      12 임세화, "모리배의 탄생 : 해방기 소설에 나타난 ‘빈자(貧者)’의 도덕과 ‘경제적 인간’의 정치학" 상허학회 50 : 339-385, 2017

      13 전가람 ; 김백영, "귀환, 수용, 분산― 미군정기 전재민의 남한 유입과 인구 분산 정책의 전개" 도시사학회 (32) : 113-154, 2023

      14 金孝眞, "《소학생》誌 연구 : 童話 및 少年小說을 중심으로" 檀國大學校 大學院 1992

      15 김희경, "‘소년’의 발견과 전시되는 ‘국민-되기’의 서사" 인문학연구원 79 (79): 247-280, 2022

      16 원종찬, "1950년대 통속 아동문학 연구 - 『쌍무지개 뜨는 언덕』과 『얄개전』을 중심으로 -"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32) : 49-85, 2023

      17 김은경, "1950년대 가족론과 여성"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18 소현숙, "1950~60년대 '가정의 재건'과 일부일처법률혼의 확산 - 한국가정법률상담소의 활동을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소 19 (19): 97-135, 2015

      19 허유진 ; 우동선, "1930년대 말 서울의 양관에 대한 연구 - 한인 건축가가 설계한 3채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9 (29): 181-188,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