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련 시기 북소문학교류: 소련의 한국문학 번역가와 연구자를 중심으로 = Cultural exchange between North Korea-Soviet Union in Soviet period: Focusing on translators and researchers of Korean literature in the Soviet Un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178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ople who did an important role in introducing Korean literature to the Soviet Union. This study examines which Soviet writers and scholar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troduction of Korean literature to the Russian-speaking world from the 1950s to the early 1990s. I could find out what role it played in the translation of Korean literature. Although Korean literature is the main medium, this study focuses on the Soviet Union, not Korea. Korean literature was translated into Russian by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linguists in the Soviet Union centered on the St. Petersburg Uni and the Moscow Uni, leading Soviet writers, and Koreans, and spread to various regions of the Soviet Union, allowing Korean literature to be studied and read in Russian-speaking countries. However, the only way to access Korean literature at the time was through North Korea. This work, which examines the aspects of translation of Korean literature during the Soviet period, will be a literary historical archiving project of overseas Korean literature related to the translation and publishing business of Korean literature to Russia, Central Asia, and Eastern Europe, and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countries that experienced the Soviet period in the past. It will function as basic material to provide a multi-faceted basis for publishing Korean literatur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ople who did an important role in introducing Korean literature to the Soviet Union. This study examines which Soviet writers and scholar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troduction of Korean literat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ople who did an important role in introducing Korean literature to the Soviet Union. This study examines which Soviet writers and scholar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troduction of Korean literature to the Russian-speaking world from the 1950s to the early 1990s. I could find out what role it played in the translation of Korean literature. Although Korean literature is the main medium, this study focuses on the Soviet Union, not Korea. Korean literature was translated into Russian by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linguists in the Soviet Union centered on the St. Petersburg Uni and the Moscow Uni, leading Soviet writers, and Koreans, and spread to various regions of the Soviet Union, allowing Korean literature to be studied and read in Russian-speaking countries. However, the only way to access Korean literature at the time was through North Korea. This work, which examines the aspects of translation of Korean literature during the Soviet period, will be a literary historical archiving project of overseas Korean literature related to the translation and publishing business of Korean literature to Russia, Central Asia, and Eastern Europe, and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countries that experienced the Soviet period in the past. It will function as basic material to provide a multi-faceted basis for publishing Korean litera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문학이 소련에 소개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들을 살펴보는 것이다. 1950년대부터 1990년대 초까지 소련의 어떤 문인들과 학자들이 한국문학 러시아어권 소개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문학 번역에 있어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지 그 경로들을 찾아보고자 한다. 한국문학을 주요 매개로 하지만 이 연구의 시선은 한국이 아닌 소련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한국문학은 상트페테르부르크 학파와 모스크바 학파 중심의 소련 1세대 한국어학자들과 유수의 소련 문인들, 고려인들을 통해 러시아어로 번역되었고, 소련의 각 지역으로 퍼져나가 러시아어권에서 연구되고 읽힐 수 있었다. 다만 문학교류에 있어서 당시 한국문학을 접할 수 있는 경로는 북한을 통해서만 가능했다. 소련 시기 한국문학 번역 양상을 살펴보는 본 작업은 앞으로 러시아, 중앙아시아, 동유럽권으로의 한국문학 번역, 출판 사업에 대한 해외 한국문학의 문학사적 아카이빙 작업이 될 것이며, 과거 소련 시기를 겪었던 국가들의 특수성을 살펴서 한국문학이 출판될 수 있도록 다각도의 근거를 마련할 수 있는 기본 자료로 기능할 것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문학이 소련에 소개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들을 살펴보는 것이다. 1950년대부터 1990년대 초까지 소련의 어떤 문인들과 학자들이 한국문학 러시아어권 소개에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문학이 소련에 소개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들을 살펴보는 것이다. 1950년대부터 1990년대 초까지 소련의 어떤 문인들과 학자들이 한국문학 러시아어권 소개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문학 번역에 있어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지 그 경로들을 찾아보고자 한다. 한국문학을 주요 매개로 하지만 이 연구의 시선은 한국이 아닌 소련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한국문학은 상트페테르부르크 학파와 모스크바 학파 중심의 소련 1세대 한국어학자들과 유수의 소련 문인들, 고려인들을 통해 러시아어로 번역되었고, 소련의 각 지역으로 퍼져나가 러시아어권에서 연구되고 읽힐 수 있었다. 다만 문학교류에 있어서 당시 한국문학을 접할 수 있는 경로는 북한을 통해서만 가능했다. 소련 시기 한국문학 번역 양상을 살펴보는 본 작업은 앞으로 러시아, 중앙아시아, 동유럽권으로의 한국문학 번역, 출판 사업에 대한 해외 한국문학의 문학사적 아카이빙 작업이 될 것이며, 과거 소련 시기를 겪었던 국가들의 특수성을 살펴서 한국문학이 출판될 수 있도록 다각도의 근거를 마련할 수 있는 기본 자료로 기능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엄순천, "한국문학의 해외 수용과 연구 현황" 연세대 출판부 2005

      2 "카자흐스탄서 열린 ‘고려인들의 문학’ 국제학술회의"

      3 "중앙일보(비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4 조선중앙통신사, "조선중앙년감" 조선중앙통신사 1950

      5 칼리나, "유.엔. 마주르(Ю.Н. Мазур)의 생애와 한국어의 품사 체계" 한국학연구소 (66) : 99-125, 2022

      6 김석원 ; 최승진, "우크라이나의 한국학자료와 고려인" 역사문화연구소 (20) : 113-134, 2004

      7 마주르 유.엔, "소련에서의 한국문학연구와 한국문학 소개 ․ 번역 현황" 한국국어교육학회 (47) : 1991

      8 김태우,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 한국어문학의 성립과 A. A. 홀로도비치" 한국학연구소 (60) : 37-64, 2021

      9 전영선, "북한의 대외문화 교류와 문화외교 연구 -해방 이후 북한 민주건설시기의 북-소 문화교류를 중심으로-" 아태지역연구센터 35 (35): 143-163, 2011

      10 아나스타시아 구리예바, "러시아의 한국문학 연구 동향" 한국문학연구학회 (29) : 203-222, 2006

      1 엄순천, "한국문학의 해외 수용과 연구 현황" 연세대 출판부 2005

      2 "카자흐스탄서 열린 ‘고려인들의 문학’ 국제학술회의"

      3 "중앙일보(비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4 조선중앙통신사, "조선중앙년감" 조선중앙통신사 1950

      5 칼리나, "유.엔. 마주르(Ю.Н. Мазур)의 생애와 한국어의 품사 체계" 한국학연구소 (66) : 99-125, 2022

      6 김석원 ; 최승진, "우크라이나의 한국학자료와 고려인" 역사문화연구소 (20) : 113-134, 2004

      7 마주르 유.엔, "소련에서의 한국문학연구와 한국문학 소개 ․ 번역 현황" 한국국어교육학회 (47) : 1991

      8 김태우,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 한국어문학의 성립과 A. A. 홀로도비치" 한국학연구소 (60) : 37-64, 2021

      9 전영선, "북한의 대외문화 교류와 문화외교 연구 -해방 이후 북한 민주건설시기의 북-소 문화교류를 중심으로-" 아태지역연구센터 35 (35): 143-163, 2011

      10 아나스타시아 구리예바, "러시아의 한국문학 연구 동향" 한국문학연구학회 (29) : 203-222, 2006

      11 아나스타시아 구리예바, "러시아에서의 향가 연구 -M.I. 니키티나의 연구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시가학회 45 : 291-308, 2018

      12 최인나, "러시아에서의 한국고전문학: 러시아어로 번역의 역사에 관하여" 한국학연구원 (35) : 259-280, 2007

      13 한승희, "러시아에서의 한국 현대시 소개 과정 연구 ― 2000년에서 2020년까지를 중심으로" 한국시학회 (69) : 207-236, 2022

      14 한승희, "러시아에서 한국 현대시의 소개 과정 연구 - 1950년부터 2020년까지를 중심으로" 한국시학회 제48차 전국학술대회 2021

      15 예카테리나 포홀코바, "러시아문학 및 한국문학 번역서지목록집" 한국문학번역원 2018

      16 А.А. ГУРЬЕВА, "М.И. Никитина и А.Ф. Троцевич: душевный рассказ о том, что интересно любому корееведу" МОСК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УНИВЕРСИТЕТ (12) : 2020

      17 "https://koryo-saram.site"

      18 "https://biography.wikireading.ru/292750"

      19 "https://assembly.kz/ru/proekty"

      20 "http://www.rauk.ru"

      21 "http://www.orientalstudies.ru"

      22 A. 기토비치, "1946년 북조선의 가을 : 우리는 조선을 다녀왔다" 글누림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