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는 교육정책형성과정에서 사법부의 적극적 개입이 일어나고 있다. 교육재정정책 분야에서도 연방 및 주 대법원의 판결은 교육의 기회균등 및 공정성 제고를 위한 정책개선을 이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964500
2021
-
370
KCI등재
학술저널
161-184(24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미국에서는 교육정책형성과정에서 사법부의 적극적 개입이 일어나고 있다. 교육재정정책 분야에서도 연방 및 주 대법원의 판결은 교육의 기회균등 및 공정성 제고를 위한 정책개선을 이끌...
미국에서는 교육정책형성과정에서 사법부의 적극적 개입이 일어나고 있다. 교육재정정책 분야에서도 연방 및 주 대법원의 판결은 교육의 기회균등 및 공정성 제고를 위한 정책개선을 이끌어왔다. 연방 수정헌법 제14조의 평등보호 조항은 세라노 판결에서 빈곤한 학교구의 학생들의 1인당 교육비 불평등 문제를 개선하는 근거조항으로 활용되었다. 하지만 로드리게즈 판결에서는 연방헌법 상 교육의 기본권성이 부정되었는데 이에 따라 이후 교육재정정책 관련 소송에서는 교육재정의 불평등성을 주장하는 원고측은 주 헌법의 교육관련 직접조항을 근거로 주 정부의 교육재정정책의 위헌성을 주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소송에서 쟁점은 교육개정정책이 주 정부의 교육적 목적 실현에 어느정도 기여하고 있는지 여부였다. 점차적으로 교육재정정책 관련 소송에서는 공정성보다는 적정성 기준이 소송의 핵심 이슈가 되었다. 이는 교육제도가 학생들을 위한 기초적인 교육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서 철저하고 효율적인 교육을 실현해야 한다는 주의 교육책무성을 근거로 교육재정의 불평등성을 다툴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소송의 결과 주 정부는 교육재정정책 개선을 위한 법률 제・개정 및 분배제도 개선 등의 후속활동을 진행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United States, active intervention by the judiciary is taking place in the process of forming educational policies.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fiscal policy, federal and state Supreme Court rulings have led to policy improvements to improve ...
In the United States, active intervention by the judiciary is taking place in the process of forming educational policies.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fiscal policy, federal and state Supreme Court rulings have led to policy improvements to improve equal opportunities and fairness in education. The equal protection provisions of Article 14 of the Federal Amendment were used in the Serano ruling as a basis for improving the problem of inequality in per capita education expenses for students in poor school districts. However, Rodriguez s ruling denied the basic rights of education under the federal constitution, and in subsequent lawsuits related to education finance, the plaintiffs, who argued for inequality in education finance, argued for the state s education finance policy. The issue in these lawsuits was to what extent the education revision policy contributed to the realization of the state s educational purpose. Gradually, in lawsuits related to education and fiscal policy, adequacy standards rather than fairness have become a key issue in litigation. This allowed the education system to dispute inequality in education finances based on the state s educational responsibility to realize thorough and efficient education beyond providing basic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students. As a result of these lawsuits, the state government carried out follow-up activities such as legislation, revision, and distribution system improvement to improve education and fiscal polic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울신문, "학생 2700명 집단소송전...대학 ‘등록금 반환’ 불길 번지나"
2 한겨례, "학부모 지갑 터는 중학교 무상교육"
3 조석훈, "학교와 교육법" 교육과학사 2020
4 나민주, "지방분권 강화에 따른 지방교육자치 정착을 위한 과제" 한국지방교육연구소 2018
5 박창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 및 적정성 제고를 위한 개혁 방안" 교육부 2019
6 김흥주, "중앙과 지방 간 교육정책 갈등 해소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3
7 표시열, "정책과 법: 원리・판례" 박영사 2014
8 인천투데이, "인천, 부산 같은 학생수에 교부금 5000억 차이...‘인천홀대’"
9 윤정일, "신교육재정학" 학지사 2019
10 김현철, "미국연방대법원의 평등보호에 관한 판례와 위헌심사기준" 헌법재판소 11 : 349-385, 2000
1 서울신문, "학생 2700명 집단소송전...대학 ‘등록금 반환’ 불길 번지나"
2 한겨례, "학부모 지갑 터는 중학교 무상교육"
3 조석훈, "학교와 교육법" 교육과학사 2020
4 나민주, "지방분권 강화에 따른 지방교육자치 정착을 위한 과제" 한국지방교육연구소 2018
5 박창원, "지방교육재정의 효율성 및 적정성 제고를 위한 개혁 방안" 교육부 2019
6 김흥주, "중앙과 지방 간 교육정책 갈등 해소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3
7 표시열, "정책과 법: 원리・판례" 박영사 2014
8 인천투데이, "인천, 부산 같은 학생수에 교부금 5000억 차이...‘인천홀대’"
9 윤정일, "신교육재정학" 학지사 2019
10 김현철, "미국연방대법원의 평등보호에 관한 판례와 위헌심사기준" 헌법재판소 11 : 349-385, 2000
11 김현철, "미국연방대법원의 평등보호에 관한 위헌심사기준" 사단법인 한국국가법학회 13 (13): 1-36, 2017
12 정순원, "미국 헌법상 최소한의 기초적인 교육에 관한 권리의 기본권성 ― Gary B 판결(2020년)을 중심으로 ―" 미국헌법학회 31 (31): 93-135, 2020
13 한일조, "미국 법정판례에 나타난 교육의 평등과 재정중립의 개념" 대경교육학회 16 : 1-27, 1997
14 고장완, "교육재정정책이 교육재정의 공정성에 미치는 영향-미국 미주리주의 교육재정개혁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3 (13): 49-80, 2004
15 Sparkman, W.E., "The legal foundations of public school finance" 35 (35): 569-595, 1994
16 Hill, S.A., "The impact of state supreme court decisions on public school finance" 31 (31): 61-92, 2014
17 Thompson, D. C., "The Impact of School Finance Litigation: A Long View" 28 (28): 133-172, 2002
18 Weston, S.P., "Substantial and yet not sufficient: Kentucky’s effort to build proficiency for each and every child" 2009
19 Skinner, R.R., "State and local financing of public schools"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 Ryan, E., "Standards, Testing, and School Finance Litigation" 86 (86): 1223-1262, 2008
21 Roellke, C, "School finance litigation: The promises and limitations of the third wave" 79 (79): 104-133, 2004
22 West, Martin, "School Money Trials: The Legal Pursuit of Educational Adequacy" Brookings Institution Press 1-22, 2007
23 Wilson, C., "School Funding Litigation: A Study of the Alabama Cases" University of Georgia 2004
24 NCES, "Public school revenue sources"
25 Della Sala, M. R., "Measuring the alignment between states’finance and accountability policies: The opportunity gap" 23 (23): 1-24, 2015
26 McCoy Family Center for Ethics in Society(MFCES), "Landmark US cases related to equality of opportunity in K-12 education"
27 Downes, T. A., "Handbook of Research in Education Finance and Policy" Routledge 247-253, 2015
28 Minorini, P. A., "Equity and adequacy in education finance: Issues and perspectives" National Academy Press 34-71, 1999
29 LAO, "Equalizing school distirct funding: Option for a sliding scale COLA"
30 Murray, S. E, "Education-Finance Reform and the Distribution of Education Resources" 88 (88): 789-812, 1998
31 State of New Jersey DOE, "DOE archives: History of funding equity"
32 Lafortune, J., "Can school finance reforms improve student achievement?" Washington Center for Equitable Growth 2016
33 Maritin, C., "A quality approach to school funding: Lessons learned from school finance litigation"
34 Weston, S. P, "A glass half-empty or half-full? An overview of the state school funding landscape in Kentucky, 1990-2008" Prichard Committee 2007
농어촌학교 우수교원 확보와 처우 개선을 위한 법제 발전 방안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4-1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Law of Education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8 | 0.78 | 0.9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7 | 0.92 | 1.298 | 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