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희망이라는 심리적 구성개념이 자신 안에 있는 마음의 빛인 희망을 발견하고 행복으로 향하는 네비게이션의 역할을 한다는 논리적 근거에서 출발한다. 희망을 충전하고 증진하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희망이라는 심리적 구성개념이 자신 안에 있는 마음의 빛인 희망을 발견하고 행복으로 향하는 네비게이션의 역할을 한다는 논리적 근거에서 출발한다. 희망을 충전하고 증진하면...
이 논문은 희망이라는 심리적 구성개념이 자신 안에 있는 마음의 빛인 희망을 발견하고 행복으로 향하는 네비게이션의 역할을 한다는 논리적 근거에서 출발한다. 희망을 충전하고 증진하면 보다 나은 삶을 살아갈 수 있다는 가정하에, 오늘보다 나은 내일을 꿈꾸고 절망과 시련을 이겨내고 더 행복한 삶을 살아가도록 하는데 희망이 도움을 줄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희망에 대한 학문적 선행연구들과 교육 및 상담현장 등에서 실무적으로 활용될 방안들을 검토하면서 멘토링과 긍정심리학에 기반을 둔 희망 3D 모형을 제안하고, 이를 구현할 수 있는 희망 척도와 희망 DM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희망이 신뢰, 정신건강, 삶의 만족 및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총 5개의 연구주제를 진행하였고, 각각의 연구주제마다 연구목적에 맞게 소연구들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연구주제는 희망에 관한 이론적 연구로서 심리학뿐만 아니라 보건과 사회학 및 교육학에서 다루어진 희망에 관한 선행연구들과 문헌들을 고찰하여 희망이라는 심리적 구성개념을 새롭게 정립하였다. 희망은 학문 분야와 연구자에 따라서 정의가 다양하다. 이 연구에서는 희망을“무엇인가 원하는 것이 실현되기를 바라고 실천하는 마음의 빛으로 희망정서, 희망사고 및 희망행동으로 이루어진 심리적 구성개념”이라고 정의하였다. 새롭게 정립된 희망개념에 따라서 희망은 자아정서, 미래정서, 경로사고, 주도사고, 목표의지, 목표실행의 여섯 개의 하위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심리적 구성개념이라고 재개념화하면서 3차원의 6요인 희망 모형을 제안하였다.
두 번째 연구주제는 희망 척도의 개발과 척도에 대한 타당화 연구다. 새로 정립된 희망의 심리적 구성개념을 구체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신뢰성과 타당도를 갖춘 희망 척도를 개발하였다.
세 번째 연구주제는 희망의 효과에 관한 조사연구다. 희망을 효과적으로 제고하기 위하여 희망을 여러 변인들과의 영향을 실증적으로 탐색해보고 희망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에 활용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2019년부터 2021년까지 모두 세 개의 조사연구를 진행하였다. 2019년의 조사연구는 희망사고인 경로사고와 주도사고로만 이루어진 희망 척도를 사용해 희망과 공감이 삶의 만족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2020년도의 조사연구에서는 새롭게 개발된 희망 척도를 활용하여 희망과 신뢰가 회복탄력성과 의미 및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2021년도의 조사연구에서는 희망이 정신건강(불안/우울), 삶의 만족 및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네 번째 연구주제는 희망 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사람들이 희망을 발견하고 희망을 충전하고 증진하기 위한 실천적 방법이 되는 프로그램을 새롭게 구상하고 설계한 연구로, 긍정심리학적 관점에 기초하여 이론적 연구에서 정립된 희망의 개념에 부합하는 ‘희망 DM(Dream Message)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희망 DM 프로그램의 D는 희망 DM 프로그램의 전개 순서로 꿈과 희망을 그려보고(Draw), 희망을 구체적으로 실현하도록 설계하고(Design), 추진력(Drive)을 얻어 희망을 실천한다는 뜻으로 앞글자 D를 딴 이름이기도 하다.
다섯 번째 연구주제는 개발된 희망 DM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연구이다. 이 연구를 통하여 개발한 희망 DM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이 희망뿐만 아니라, 행복, 신뢰, 정신건강 및 삶의 만족과 같은 심리적 구성개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를 초등학생과 대학생 및 성인들을 대상으로 3개의 실험연구를 통하여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긍정적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 연구는 몇 가지 시사점을 지닌다. 첫째 희망에 관한 조사연구와 실험연구를 통하여 희망이 전 연령층에서 삶의 만족을 높이고 행복한 삶을 살게 하는데 효과적인 변인임이 확인되었다. 둘째, 행복과 마찬가지로, 희망은 어떤 정서와 태도로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고, 의도적이고 체계적인 전략을 통해 지속해서 증진됨을 알 수 있다. 셋째, 희망이 증진되기 위해서는 정서적 측면이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었기에 희망 증진을 위해서는 정서적 측면의 충분한 교육 및 상담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넷째, 희망 DM 프로그램은 교육과 상담의 통합적 접근 방법을 적용한 집단 멘토링 프로그램으로 그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희망 DM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행복, 신뢰, 정신건강 및 삶의 만족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였지만, 다음과 같은 제한점이 있다. 첫째, 희망 척도에 대한 것으로 비록 희망개념의 본질은 변화가 없을지라도, 하위 구성요인들을 6가지로 세분화하였고 척도 문항도 늘어났다. 따라서 개인차에 따른 척도 문항에 대한 이해 및 가독성 측면을 고려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고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문항에 대한 세밀화 작업이 필요하며 이에 관한 확인과 검토가 필요하다.
둘째, 이 논문에서는 희망의 개념을 새롭게 정립하고 새로운 희망개념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개발된 희망 척도 활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연구대상의 확대, 연구주제의 다양화를 통해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하여 척도의 완성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프로그램에 관한 제한점으로, 긍정심리학에 이론적 관점을 바탕으로 선행연구들을 기반으로 하여 집단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특히 이 연구에서 정립한 희망에 대한 6개의 구성요소를 프로그램의 회기별 주제와 목표로 설정하고 이를 탐색하고 이해하여 6개의 희망 하위요인을 증진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다양한 대상에 대하여 다양한 방법을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긍정적인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지만, 희망 DM 프로그램이 보다 일관되고 희망 증진의 효과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희망 DM 프로그램에 대한 추가적인 표준화 및 객관화 작업이 요구된다.
넷째, 일반화 가능성에 관한 제한점으로, 실험연구와 조사연구에서 10대부터 60대 남녀를 대상으로 1000여 명의 실증적 자료들을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이긴 하나, 인구통계학적으로 성별과 연령 및 지역적으로 의미 있는 자료 수집을 통해 척도의 일반화 가능성을 위한 후속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의 활용에 대한 제한점으로, 이 논문에서 새롭게 창안된 희망 DM 프로그램이 교육, 상담, 진로, 보건 등에서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희망 척도와 희망 DM 프로그램이 사람들의 심리적 측면과 행동적 측면을 잘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설명하고 있는가를 지속적으로 논의하고 실증연구를 통하여 검토할 필요가 있다.
주요어 : 희망, 희망정서, 희망사고, 희망행동, 희망 DM 프로그램, 신뢰, 행복
목차 (Table of Contents)
1 안젤라 더크워스, "GRIT", 비즈니스북스, 2016
2 고경순, "경험마케팅", 서울: 대명 출판사, 2004
3 남승규, "긍정심리학", 서울: 양서원, 2017
4 (김인자 역), 마틴 셀리그만. , "긍정심리학", 물푸레 출판사, 2020
5 송명자, "발달심리학", 서울: 학지사, 1995
6 남승규, "소비자분석", 서울: 학지사, 2009
7 남승규, "행복심리학", 서울: 양서원, 2014
8 남승규, "행복학개론", 서울: 양서원, 2021
9 Pieper J, "Hope and History", 1994
10 권석만, "긍정 심리학", 서울: 학지사, 2008
1 안젤라 더크워스, "GRIT", 비즈니스북스, 2016
2 고경순, "경험마케팅", 서울: 대명 출판사, 2004
3 남승규, "긍정심리학", 서울: 양서원, 2017
4 (김인자 역), 마틴 셀리그만. , "긍정심리학", 물푸레 출판사, 2020
5 송명자, "발달심리학", 서울: 학지사, 1995
6 남승규, "소비자분석", 서울: 학지사, 2009
7 남승규, "행복심리학", 서울: 양서원, 2014
8 남승규, "행복학개론", 서울: 양서원, 2021
9 Pieper J, "Hope and History", 1994
10 권석만, "긍정 심리학", 서울: 학지사, 2008
11 린다 스트로, "신뢰의 법칙", 서울: 비즈니스맵, 2009
12 Menninger K. Hope, "Pastoral Psychology", 11 : 11-24, 1960
13 Groopman J ., "The Anatomy of Hope", 8 ( 2 ), 2004
14 이종인, "희망의 두 지평", 서울: 박영사, 2017
15 남승규, 남윤주, "광고, 신뢰의 재건", 한국광고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163-168, 2019
16 (강현주 역), 말레네 뤼달, "덴마크 사람들처럼", 서울: 마일스톤, 2015
17 (이시형 역), 빅터 프랭클. , "죽음의 수용소에서", 청아 출판사, 2017
18 Sternberg , R.J., "A triangular theory of love", 93 ( 2 ) : 119-135 ., 1986
19 이우재, "아동용 희망척도 개발", 춘천교육대학교 석사 학위, 2017
20 송인섭, "인간의 자아개념 연구", 서울: 학지사, 1998
21 Atkinson , J.W, "An introduction to motivation .", 1964
22 Thorpe LP, "The psychology of mental health", 1950
23 Gefen D. E-commerce, "the role of familiarity and trust", 28 ( 6 ) : 725-737, 2000
24 아처, "행복의 특권. (박세연 역)", 청림 출판사, 2012
25 Snyder CR, "Hope Theory : Rainbows in the Mind", 13 ( 4 ) : 249-275, 2002
26 Snyder CR, "Hope and academic success in college", 94 ( 4 ) : 820-826, 2002
27 강이영, "상담과정 희망척도의 개발.", 성균관대학교 박사 학위, 2002
28 박찬웅, "신뢰의 위기와 사회적 자본", 한국사회학회, 1998년 후기 사회학대회 발표문 요약집. 1998; 201-207, 1998
29 이용수, "한국인의 행복과 행복 요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 ; 265(1): 20-31, 2018
30 Miller JF, "Hope : A Construct Central to Nursing", 42 ( 1 ) : 12-19, 2007
31 Maslow , A. H., "The instinctoid nature of basic needs", 22 : 326 ? 347, 1954
32 Compton , W. C., "An introduction to positive psychology", 2005
33 조명한, 차경호, "삶의 질에 대한 국가 간 비교", 서울: 집문당, 1998
34 Spielberger CD,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for Adults", 1983
35 김원종, 정서적, 전겸구, 서경현, "스트레스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 학회지. ; 25(1): 75-95, 2020
36 Stephenson C., "The concept of hope revisited for nursing", 16 ( 12 ) : 1456-1461, 1991
37 김성천, 유서구, 김요셉, "청소년기 스트레스의 영향요인", 한구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 ; 18(3): 103-126, 2011
38 Downman TH, "Hope and hopelessness : theory and reality", 101 ( 8 ) : 428-430 ., 2008
39 Miller JF,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Hope", 37 ( 1 ) : 6-10, 1986
40 이동형, 한국판, 임정섭, "희망 척도의 개발 및 타당도 연구", 충남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학생생횔연구. ; 24: 85-108, 1997
41 김희정, 최귀순, 노춘희, "정신분열병환자의 희망 개념 분석", 정신간호학회지, ; 14(4): 417-427, 2005
42 김지선, 황지태, 최인섭, "한국의 범죄피해에 대한 조사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 17-296, 2002
43 김원, "희망, 낙관주의의 개념과 연구현황", 스트레스. ; 15(3): 199-204, 2007
44 김성은, 오혜영, 대학생, "정신건강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 17(6): 333-356, 2016
45 곽금주, 최지영, 전숙영, 민하영, 김경은, "한국 직장 남성의 중년에 대한 인식", 인간발달연구, 18(3), 135-155, 2011
46 Erikson EH, "Inner and Outer Space : Reflections on Womanhood", 93 ( 2 ) : 582-606, 1964
47 Snyder CR, "Inner and Outer Space : Reflections on Womanhood", 93 ( 2 ) : 582-606 ., 1992
48 성보훈, 윤선아, "행복의 정의와 발달단계별 결정요인",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뇌교육 연구소. ; 6(0): 103-134, 2010
49 소현진, "광고신뢰 척도개발 및 선행요인 탐구", 광고학연구. ; 20(4): 89-106, 2009
50 박경옥, 최진승, 박금옥, "의지 통제 방략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학생연구. ; 17: 63-85, 1998
51 Staats S. Hope, "A Comparison of Two Self-Report Measures for Adults", 53 ( 2 ) : 366-375 ., 2010
52 Lewis MW, "Exploring Paradox : Toward a More Comprehensive Guide", 25 ( 4 ) : 760-776 ., 2000
53 Snyder CR, "Hand book of Hope : Theory , Measures and Applcations", 2000
54 김달숙, 이소우, "암환자 간호를 위한 희망 측정도구 개발",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28(2): 441-456, 1998
55 Rotter JB, "A new scale for the measurement of interpersonal trust", 35 ( 4 ) : 651 ? 665, 1967
56 권석만, 박선영, "삶의 의미와 주관적 안녕 및 우울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학회지. ; 33(3): 549-571, 2014
57 권경희, "청소년의 희망 측정도구 개발. 박사 학위", 충남대학교, 2008
58 남승규, 남윤주, "“신뢰가 소확행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 논문지, ; 9(3): 841-850, 2019
59 남승규, 우훈식, "“행복과 신뢰가 워라밸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비자원 소비자문제연구. ; 51(3): 109-133, 2020
60 김현주, 조형숙, "유아교사를 위한 집단 멘토링의 의미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 학회지. ; 12(1): 227-263, 2005
61 고태순, 김영희, "중학생의 희망 및 공감과 행복감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 14(10): 330-338, 2014
62 Turner S., "Hope seen through the eyes of 10 Austrailian young people", 52 : 508-515, 2005
63 이장호, 한덕웅, 전겸구, "Spielberger 의 상태-특성 불안검사 Y형의 개발", 한국심리학회 학회지. ; 1(1): 1-14, 1996
64 류승민, 박원우, "조직문화와 조직 내 외의 요인 간 상호작용", Journal of industrial relations. ; 18: 45-82, 2008
65 허순향, "공감능력 척도 및 프로그램 개발. 박사 학위", 대전대학교, 2018
66 이동귀, 최유희, 이희경, "Snyder의 희망척도 한국 번역판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 학회지. ; 22(2): 1-16, 2008
67 현경자, "역경 극복을 돕는 성인 한국인의 긍정성 탐색", 한국심리학회 학회지, ; 23(2): 13-42, 2009
68 배상정, 양난미, "영성, 희망, 외상 후 성장과 삶의 만족의 관계", 한국심리학 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3), 597-617, 2014
69 Lazarus , R. S., "Hope : An emotion and a vital coping resource against despair", 66 ( 2 ) : 653-678, 1999
70 남윤주, "“고객행복을 위한 신뢰 기반 고객접점 관리”", 대전대학교 박사 학위, 2020
71 남승규, "소비자 공감모듈에 기반을 둔 소비자 접점관리", 한국심리학회 학회지: 소비자광고. ; 15(1): 57-76, 2014
72 김남숙, 김승현, "아동청소년멘토링 활성화를 위한 멘토 FGI 연구", 한국경영교육학회 경영교육연구. ; 26(3): 387-403, 2011
73 김미점, 조한익, "희망과 적응관련 변인의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 29(2): 331-360, 2015
74 김금숙, "한국 노인의 희망유형-Q방법론 적용-. 박사 학위", 충남대학교, 2009
75 김현미, 임은미, "한국 대학생용 직업희망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상담학회 상담연구. ; 18(1): 247-265, 2017
76 이유택, "행복과 도덕-플라톤, 칸트, 니체를 중심으로-", 범한철학회. ; 91: 127-156, 2018
77 고성희, "한국인의 정신건강 개념에 대한 연구. 박사 학위", 이화여자대학교, 1990
78 서은국, "구재선, 이동귀 등. 한국인의 행복지수와 그 의미", 한국심리학회지. ; 213-232, 2010
79 고재홍, 장정현,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희망의 조절효과",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 18(2): 101-116, 2010
80 구승신, 박성현, "초등학생의 직업성숙도와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 15(1): 119-131, 2007
81 김명희, 남윤주, 김항중, "행복과 신뢰가 낙관성과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예술 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 논문지, ; 9(9): 61-70, 2019
82 박종혁, 이정아, 이선희, "암 환자의 치료에 대한 요구도와 관련된 요인분석",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43(3): 222-234, 2010
83 Ganesan , S., "Determinants of long-term orientation in buyer-seller relationships", 58 ( 2 ) : 1-19 ., 1994
84 김달숙, 이은옥, 이소우, "한국형 호스피스 케어 개발을 위한 기초 조사 연구", 대한간호협회. ; 36(3): 49-69, 1997
85 백유성, "회복탄력성, 조직몰입, 조직신뢰 간의 구조적 관계", 대한경영학회지. ; 31(8): 1573-1587, 2018
86 Tuckman BW, "The Development and Concurrent Validity of the Procrastination Scale", 51 ( 2 ) : 473-480, 1991
87 김달숙, 전인적, "간호요소로서의 희망의 이론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대한간호학회 학회지. ; 21(2): 168-185, 1992
88 김정호, "삶의 만족 및 삶의 기대와 스트레스 및 웰빙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학회지. ; 12(2): 325-345, 2007
89 조한익, "초등학교 고학년용 희망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 교육심리연구. ; 23(2): 323-342, 2009
90 권수현, "Rasch 모형을 통한 유치원 교사 회복탄력성 척도 개발", 유아교육연구, ; 34(5), 275-301, 2014
91 남승규, 최정희, "희망과 공감화법이 삶의 만족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과학 기술융합학회: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 9(8): 749-757, 2019
92 홍세희,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 ; 19(1): 161-177, 2000
93 김명희, 남윤주, 남승규, 김은희,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이 신뢰와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53-57, 2018
94 기쁘다, "The concept map dimensionality of hope perception in korean adolescents.", 연세대학교 석사 학위, 2008
95 윤은영, "의미앓이 해결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박사 학위", 대전대학교, 2021
96 Nowotny ML, "Assessment of hope in patients with cancer :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16 ( 1 ) : 57-61, 1989
97 Rogers CR,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of therapeutic personality change", 21 ( 2 ) : 95 ? 103, 1957
98 김석일, 마세근, "레저스포츠 참여자의 희망, 성취목표성향, 열정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 학회지. ; 46(1): 583-592, 2011
99 권세원, 송인한, 김태형, "경제적 자활 척도(ESS)와 근로희망 척도(WHS)의 국 내 적용",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한국사회복지행정학. ; 15(3): 31-64, 2013
100 조한익, "대학생의 희망과 학습시간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 21(2): 349-366, 2007
101 전현수, "운동선수의 신뢰 구성개념 정립 및 척도개발. 박사 학위", 서울대학교, 2016
102 천해광, "고객가치, 브랜드 동일시, 신뢰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경일대학교 박사 학위, 2018
103 이주영, 최희철, "대학생의 애착과 우울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 13(2): 819-838, 2012
104 정무성, 한부모, "가정의 청소년과 교사 간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 ; 12(2): 26-50, 2005
105 최경일, 한부모, "가정의 청소년과 교사 간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한국청소년 복지학회 청소년복지연구. ; 10(1): 47-67, 2008
106 이영순, 정유수, "기혼 중년남성의 심리적 위기 경험에 관한 현상적인 연구",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 22(3): 101-131, 2021
107 배성만, 주은선, 정덕신, "영성과 포커싱적 태도가 중년 여성의 웰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학회지. ; 19(3): 301-314, 2014
108 김재환, 김택호, "청소년의 탄력성 발달 과정에서 희망과 삶의 의미의 효과", 한국심리학회 학회지. ; 16(3): 465-490, 2004
109 김동기, "행복과 종교적 태도의 개념관계 모형들에 대한 비교 검증", 한국심리학회 학회지. ; 12(2): 347-365, 2007
110 이시연, 최윤정, "빈곤 청소년의 심리적 문제와 비행, 보호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 21: 89-113, 2006
111 강내원, "사회자본으로서의 ‘신뢰’에 관한 개념적 방법론적 고찰",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 2(1): 1-19, 2008
112 김은희, "행복코칭을 위한 회복탄력성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대전 대학교 박사 학위, 2021
113 박영숙, 이은옥, 송미순, "희망의 개념 분석-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암환자를 대상으로",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30(5): 1279-1291, 2000
114 Zucker LG, "Production of trust : Institutional sources of economic structure , 1840 ? 1920", 8 : 53 ? 111, 1986
115 송은혜, "애착, 대처방식, 희망이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 석사 학위", 가톨릭대학교, 2006
116 김혜영, 이숙정, 박소연, "한국 여성의 삶의 만족, 우울, 희망의 관계에서 결혼의 의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논문지. ; 9(11): 903-911, 2019
117 오혜진, "부모애착, 친구애착, 희망과 청소년비행 간의 관계. 석사 학위", 단국대학교, 2006
118 정나나, 추병완, 최효식, 최윤정, "잠재 프로파일 분석에 의한 초등 예비교사의 회복탄력성 탐색",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 72(0): 103-126, 2021
119 이희경, "중학생의 희망과 공감 하위집단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 한국심리학회 학회지. ; 19(3): 751-766, 2007
120 이명희, "병원간호사의 희망에 영향을 미치는 직업관련 요인. 석사 학위", 동아대학교, 2008
121 김명선, "애착, 부정적 사고, 희망 및 자기효능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 학위, 2004
122 박현선, 이현주, "저소득 청소년의 학습지원 멘토링 참여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청소년연구. ; 55: 331-358, 2009
123 김정진, 박경규, "조직변화에 대한 구성원 저항의 다차원적 접근. 인사 조직연구", 한국인사조직학회. ; 16(3): 1-41, 2008
124 Snyder CR, "Product Scarcity by Need for Uniqueness Interaction : A Consumer Catch-22 Carousel ?", 13 ( 1 ) : 9-24 ., 2000
125 성승연, 송현심, "대학생과 중년성인의 의미추구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29(3), 843-870, 2017
126 김택호, "희망과 삶의 의미가 청소년의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박사 학위", 한양대학교, 2004
127 강민성, 이지은, 이승종, "도시위험인식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주민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 18(2), 559-588, 2014
128 조일래, "정서지능, 조직신뢰가 회복탄력성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동양대학교 박사 학위, 2015
129 김해란, 안향, "청소년의 대인관계위기와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복지상담교육연구. ; 7(2): 171-188, 2018
130 이서정, 현명호,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인지적 정서조절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13(4): 887-905, 2008
131 오평자, "정신장애인의 GAF척도에 따른 정신건강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복지학회 보건과복지. ; 10: 134-151, 2008
132 장수한, 전미진, "빈곤학생의 적응력 향상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 학교사회복지. ; 1: 89-114, 2005
133 김향란, "중학생의 희망이 성취동기, 진로장벽,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미래교육학연구. ; 30(1): 85-104, 2017
134 강석기, 고수현, "청소년기 후기 대학생의 우울과 불안이 사이버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 ; 19(8): 143-168, 2012
135 김예실, 장민, "자기효능감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 인지 유연성과 희망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 20(6): 131-141, 2020
136 (한재호 역), 마크 맨슨., "희망 버리기 기술(엉망진창인 세상에서 흔들리지 않고 나아가는 힘)", 갤리온 출판사, 2019
137 강혜승, 이현지, 이연경, 박보하,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공감능력 및 소명의식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논문지. ; 13(2): 243-252, 2019
138 이명균, 조병구, 이용수, "국민행복지표 개발 연구. 경제 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18-13-01)", 세종: 한국개발연구원, 2018
139 Helliwell, "J. F. How 's life ? Combining individual and nationalvariables to explain subjective well-being", 20 ( 2 ) , 331-360 ., 2003
140 Nunn KP, "Personal hopefulness : A conceptual review of the relevance of the perceived future to psychiatry", 69 : 227-245, 1996
141 김현정, 염영희, "간호사의 공감피로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공감만족과 사회적 지지의 효과",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42(6): 870-878, 2012
142 김남희, "희망과 사회적 지지, 대처방식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 학위", 가톨릭대학교, 2006
143 Butler JK, "Toward Understanding and Measuring Conditions of Trust : Evolution of a Conditions of Trust Inventory", 17 ( 3 ) : 643-663, 1991
144 황소영, "예비유아교사의 희망과 낙관성, 자기효능감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유아교육학논집, ; 20(6): 67-92, 2016
145 조원성, "자아존중감 증진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습동기 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 학위, 1996
146 Bagozzi RP, "The Self-Regulation of Attitudes , Intentions and Behavior . Theoretical Advances in Social Psychology", 55 ( 2 ) : 178-204, 1992
147 이지은, "교장, 교사, 전문상담교사의 인식 분석에 기초한 전문상담교사 역할 모형 탐색.", 이화여자대학교 박사 학위, 2014
148 탁정화, 황해익, 홍성희, "유치원교사의 회복탄력성, 교사효능감 및 직 무만족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논문집. ; 17(3): 411-432, 2013
149 Lee D, Kim H., Ki P, "Beyond Snyder's hope theory: The necessity to redefine hope and create a comprehensive hope scale on Korea", 한국 심리학회지. ; 22(2): 75-92, 2008
150 김선중, "진로장벽, 희망,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사 학위", 홍익대학교, 2005
151 전미영, "청소년의 행복과 희망이 회복탄력성과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 석사 학 위", 대전대학교, 2020
152 김윤정, "사회적 지지 관점으로 본 가족부양이 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박사 학위", 이화여자대학교, 2000
153 Steel P. The, "nature of procrastination : A meta-analytic and theoretical review of quintessential self-regulatory failure", 133 ( 1 ) : 65 ? 94, 2007
154 강현미, 탁정화,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과 회복탄력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 34(5): 107-128, 2014
155 이승연, 최소영, 이정수, "중학생의 희망과 비행의 관계: 권태의 매개효과와 삶의 의미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2020
156 박동건, 최대정, 조현주, "직장에서의 특정 부적 정서 경험에 따른 정서조절이 수행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 학회지. ; 9(4): 831-852, 2004
157 김준영, "교사의 희망과 공감이 자아존중감, 직무만족도 및 훈육유형에 미치는 영향. 석사 학위", 가톨릭대학교, 2005
158 장석진, 최보라, "암 환자 가족돌봄자의 희망과 외상 후 성장과의 관계: 가족기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족과 가족치료. ; 26(2): 253-277, 2018
159 금경희, 조영아, "중학생이 지각하는 모의 학습관여와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희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 18(1): 269-281, 2017
160 하동현, "항공사승무원의 진정성 리더십이 긍정적 감정, 희망, 직무몰입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호텔경영학연구. ; 26(8): 243-262, 2017
161 문성주, "Reasoner의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형성에 미치는 효과. 석사 학위", 부산대학교, 1991
162 엄동춘, 태영숙, 오복자, "자기효능ㆍ희망증진프로그램이 자기간호 행위와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백혈병 환자 중심-",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27(3): 627-638, 1997
163 백혜정, "자아통제, 자기신뢰 및 교사애착이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연구", 한국심리학회 학회지. ; 19(2): 357-373, 2007
164 장재원, "스포츠팀의 능력 및 사회적 책임 연상이 팬의 팀 자긍심과 애착도에 미치는 영향. 박사 학위", 서울대학교, 2012
165 서경현,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주관적 웰빙 및 행복감 감의 관계: 회복탄력성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학회지. ; 23(11): 137-157, 2016
166 강민철, 진주은, "대학생들의 완벽주의가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의식과 자기 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아시아문화학술원 인문사회. ; 11(6): 347-360, 2020
167 임지숙, "한국 노인들의 ‘가능한 자기(possible selves)’ 탐색과 삶의 만족 및 우울 과의 관계. 박사 학위", 이화여자대학교, 2015
168 이종연, 장은주, "희망의 주도사고 및 경로사고와 고등학생의 학업성취 및 주관적 안녕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 15(1): 371-392, 2014
169 김혜선, "놀이치료 내담아동 어머니의 대상관계수준과 희망이 부모상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 학위", 가톨릭대학교, 2005
170 이승희, "신입간호사의 외상 후 성장, 사회적 지지, 직무스트레스, 지각된 건강상태가 희망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 학회지, ; 16(1): 26-31, 2021
171 정서적, 최상미, "자활 성과 지표 도입 연구: 한국형 고용희망 척도(Korean Employment Hope Scale: K-EHS) 개발과 타당도 검증",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48(2): 97-119, 2017
172 김의근, 이선익, "식 프랜차이즈의 프랜차이저 지원활동이 프랜차이즈의 신뢰, 관계결속, 몰입, 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 22(4): 151-169, 2010
173 최동욱, "희망에서 주도요인과 경로요인의 기능: 성취가능성과 우울/불안 관련 정서를 중심으로. 박사 학위", 한양대학교, 2005
174 김경숙, 김민정, 김민경, "다문화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자아존중감이 긍정적 희망감 및 부정적 무망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 학회지. ; 12(3): 127-138, 2017
175 장유미, "위기 상황과 현재 상황에서 한국 청소년의 희망 증진 전략 변화 탐색: 개념도 (concept map)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석사 학위, 2015
176 강동훈,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이 교사애착에 미치는 영향-자아존중감 및 자기신뢰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 16(4): 132-143, 2016
177 박선영, "삶의 의미와 심리적 건강의 관계: 다차원적 삶의 의미 척도와 의미감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박사 학위", 서울대학교, 2013
178 고선형, "성인의 자아존중감, 외모관리행동 및 신체이미지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희망을 매개로. 박사 학위", 한서대학교, 2015
179 김경준, 오해섭, 김지연, "청소년의 사회적 참여 활성화를 통한 저소득가정 아동 지원 방안 연구 Ⅰ: 청소년멘토링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 10-R15: 1-426, 2010
180 김나영, "대학생의 기본심리욕구 충족과 플로싱의 관계: 내재적 외재적 생애목표와 희망의 중다매개효과. 석사 학위", 전남대학교, 2019
181 이건우, 최바올, "공학계열 대학생의 심리적 환경적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희망과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 한국진로교육학회 진로교육연구. ; 33(1): 109-129, 2020
182 신현숙, "산업재해 환자의 고통 감내력이 심리적 수용과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희망의 매개효과. 박사 학위", 경기대학교, 2019
183 백인혜, 오인수, "저소득 가정 청소년의 희망과 탄력성, 성취목표지향성 향상을 위한 집단 멘토링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성 검증",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아시아 교육연구. ; 13(4): 189-223, 2012
184 김성욱, "금융기관의 사회적 책임과 기업 명성이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기업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사 학위", 호서대학교, 2015
185 길태영, 윤경아, 손의성, "노인돌봄 기본 서비스 이용 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희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노인복지연구. ; 72(2): 9-33, 2017
186 김미영,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희망을 통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연구. ; 24(6): 29-51, 2017
187 Boddy J, "Challenging Gender Role Stereotypes and Creating Pathways for Goal Achievement : A Study of a Group Mentoring Programme for Women from Disadvantaged Communities", 8 ( 4 ) : 489-508 ., 2009
188 신동엽, "조직간 협력 네트워크와 신뢰기반형 지배구조: 다른 나라 기업들 사이의 조직간 협력 네트워크에서 파트너 기업간 신뢰의 결정 요인과 성과", 한국전략경영학회 전략경영연구, 5(2): 49-84, 2002
189 김한태, "중년기 남성 실존적 공허 극복을 위한 기독교 상담적 고찰: 융(Carl G. Jung)의 중년기 남성 '실존적 공허'와 프랭클(Viktor E. Frankl)의 '의미요법'을 중심으로. 박사 학위", 계명대학교,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