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학교사회복지사 수련이론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가 주관한 2005년부터 2019년까지의 학교사회복지사 자격시험 합격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354664
2021
-
KCI등재
학술저널
1-26(26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교사회복지사 수련이론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가 주관한 2005년부터 2019년까지의 학교사회복지사 자격시험 합격자...
본 연구는 학교사회복지사 수련이론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가 주관한 2005년부터 2019년까지의 학교사회복지사 자격시험 합격자 자격연수 자료집을 중심으로 연수 내용을 정리하고 최근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에 발표, 게재된 학술자료와 보건복지부의 학교사회복지사 국가자격 운영방안 등에 대한 문서를 검토하였다. 또한, 경력이 5년 이상인 학교사회복지사와 학교사회복지론을 담당하는 교수진 등 30명의 패널을 선정하여 2회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였다. 그에 따라 총40시간, 4개 영역 16과목의 수련이론 교육과정의 기본 틀을 구성하였고, 이를 통해 수련제도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자료가 되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the school social worker training theory curriculum. To this end, the training contents are organized around the training materials for those who passed the school social worker qualification exam...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the school social worker training theory curriculum. To this end, the training contents are organized around the training materials for those who passed the school social worker qualification exam from 2005 to 2019 organized by the Korean School Social Workers Association. Recently, the academic materials presented and published in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Social Work were reviewed, as well as documents on the management plan of national qualifications for school social workers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addition, a panel of 30 members, including a school social worker with more than 5 years of experience and a faculty in charge of school social welfare, was selected and conducted two Delphi surveys. Accordingly, the basic framework of the training theory curriculum of 16 subjects in 4 areas with a total of 40 hours was formed, and through this, it is intended to be a basic material that can be applied to the training system.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사협회"
2 홍순혜, "학교사회복지실천가의 현장슈퍼비전 현황과 발전 방안"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4 : 197-218, 2013
3 주석진, "학교사회복지사의 직무능력표준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47) : 23-62, 2019
4 이경희, "학교사회복지사의 수퍼비전 실태 및 욕구분석"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12 : 111-135, 2007
5 조성심, "학교사회복지사의 수퍼비전 경험에 관한 질적 분석 연구: Middleman과 Rhodes가 제시한 수퍼비전 기능의 관점에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2 : 23-48, 2012
6 주석진, "학교사회복지사의 수련제도 도입에 대한 인식과수련교육 요구분석"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45) : 29-57, 2019
7 주석진, "학교사회복지사의 수련제도 도입에 대한 인식과 수련교육 요구분석" 7-44, 2018
8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 "학교사회복지사 자격시험 합격자 연수 자료집"
9 안정선, "학교사회복지사 수련슈퍼바이저 교육과정 개발 기초연구 -신규 및 보수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51) : 125-160, 2020
10 엄경남, "학교사회복지사 수련 슈퍼비전 모형 기초 연구"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47) : 63-98, 2019
1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사협회"
2 홍순혜, "학교사회복지실천가의 현장슈퍼비전 현황과 발전 방안"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4 : 197-218, 2013
3 주석진, "학교사회복지사의 직무능력표준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47) : 23-62, 2019
4 이경희, "학교사회복지사의 수퍼비전 실태 및 욕구분석"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12 : 111-135, 2007
5 조성심, "학교사회복지사의 수퍼비전 경험에 관한 질적 분석 연구: Middleman과 Rhodes가 제시한 수퍼비전 기능의 관점에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2 : 23-48, 2012
6 주석진, "학교사회복지사의 수련제도 도입에 대한 인식과수련교육 요구분석"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45) : 29-57, 2019
7 주석진, "학교사회복지사의 수련제도 도입에 대한 인식과 수련교육 요구분석" 7-44, 2018
8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 "학교사회복지사 자격시험 합격자 연수 자료집"
9 안정선, "학교사회복지사 수련슈퍼바이저 교육과정 개발 기초연구 -신규 및 보수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51) : 125-160, 2020
10 엄경남, "학교사회복지사 수련 슈퍼비전 모형 기초 연구"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47) : 63-98, 2019
11 윤찬영, "학교사회복지사 국가자격제도 시행(안)"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9
12 홍순혜, "학교사회복지사 교육의 현황과 과제" 8 : 115-144, 2005
13 홍순혜, "학교사회복지분야에서의 사회복지 현장실습교육의 실태와 과제 -학교상주형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 : 77-101, 2011
14 홍순혜, "학교사회복지 현장실습교육의 현황 및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1 : 161-191, 2013
15 윤철수, "학교사회복지 운영 및 실습실태에 관한 연구" 7 : 49-78, 2004
16 노혜련, "학교사회복지 실습생의 실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실습지도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18 : 1-28, 2010
17 임정임, "학교사회복지 실습교육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학교사회복지사협회의 공동실습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9 : 283-308, 2014
18 안정선, "학교 현장 사회복지 슈퍼바이저 양성 교육과정 개발 및 효과분석"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9 : 343-374, 2014
19 주석진, "학교 내 복지서비스 전문 인력의 보수교육 실태와 욕구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의 교육을 중심으로" 7 (7): 59-82, 2010
20 김창곤,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수련교육과정(1997-2013년)의 검토"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4 : 161-187, 2013
21 국가법령정보센터,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22 국립정신건강센터, "정신건강전문요원제도 운영 안내"
23 국립정신건강센터, "정신건강전문요원 수련지도요원 워크숍 교육자료"
24 최은정, "정신건강사회복지사 수련 과정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41 : 27-56, 2018
25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 "온라인수업 취약계층 학생들의학습권을 보장하라! 성명서"
26 "대한의료사회복지사협회"
27 이상균, "대학에서의 학교사회복지 교육내용에 대한 분석: 교과과정 및 교재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18 : 53-85, 2010
28 채은희, "국가 정신건강증진사업의 현황과 향후 과제 : 부문 간 협력을 중심으로"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30 (30): 25-39, 2013
29 신태섭,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고등학교 운영사례 및 성과 분석" 교육복지정책중점연구소 2014
30 안정선, "교과과정 개선을 위한 학교사회복지사 직무분석"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19 : 1-35, 2010
31 Lincoln, Y. S., "Naturalistic inquiry" Sage Publications 1985
32 "NASW"
33 Rothman, J., "Intervention Research: Design and Development for Human Science" Haworth Press 1994
34 NASW, "Certified School Social Work Specialist(C-SSWS)"
35 Borich, G. D,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31 : 39-42, 1980
36 경상남도사회복지공동모금회, "2005년 학교사회복지사업 공동보고회 및 세미나 공동보고서: 학교폭력에 대한 학교사회복지 개입방안" 2005
37 교육인적자원부, "2004 교육복지 증진 및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사회복지사 활용 연구학교합동보고회 자료집"
부모로부터의 학대가 초기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과 또래소외의 이중매개효과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과 자아존중감의 종단적 인과관계 검증: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의 적용
학교 내 복지 전문 인력의 직무특성과 사례관리수행에 관한 연구 - 학교사회복지사와 교육복지사 비교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학교사회사업 -> 학교사회복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89 | 1.89 | 2.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19 | 2.1 | 2.712 | 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