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모로부터의 학대가 초기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과 또래소외의 이중매개효과 = The Effects of Child Abuse by Parents on Depression in Early Adolescents: Double-mediating effects by Social Withdrawal and Peer Alien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546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부모로부터의 학대가 초기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위축과 또래 소외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하여 초기 청소년의 우울에 대한 효과적인 학교사회복지 측면의 개입방안 및 정책적 함의를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 아동 청소년 패널조사 초등학교 1학년 6차(2015)년도 자료의 초등학교 6학년 학생 총 2,067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모로부터의 학대는 초기 청소년의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부모의 학대가 초기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위축과 또래소외 모두 부분적으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로부터의 학대는 청소년의 우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위축과 또래소외를 통한 정적인 간접효과를 미쳐 전체적인 효과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로부터의 학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개인적인 사회적 위축뿐 아니라 또래관계에서의 소외를 통해 우울에 미치는 간접적 효과를 증가시킨다는 점에서 부모로부터 학대의 직접적 영향 및 간접적 영향도 함께 고려한 개입을 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초기 청소년 시기의 효과적인 학교사회복지적 실천방안 및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부모로부터의 학대가 초기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위축과 또래 소외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하여 초기 청소년의 우울에 대한 효과적인 학교사회복지 측...

      본 연구는 부모로부터의 학대가 초기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위축과 또래 소외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하여 초기 청소년의 우울에 대한 효과적인 학교사회복지 측면의 개입방안 및 정책적 함의를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 아동 청소년 패널조사 초등학교 1학년 6차(2015)년도 자료의 초등학교 6학년 학생 총 2,067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모로부터의 학대는 초기 청소년의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부모의 학대가 초기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위축과 또래소외 모두 부분적으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로부터의 학대는 청소년의 우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위축과 또래소외를 통한 정적인 간접효과를 미쳐 전체적인 효과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로부터의 학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개인적인 사회적 위축뿐 아니라 또래관계에서의 소외를 통해 우울에 미치는 간접적 효과를 증가시킨다는 점에서 부모로부터 학대의 직접적 영향 및 간접적 영향도 함께 고려한 개입을 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초기 청소년 시기의 효과적인 학교사회복지적 실천방안 및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effective ways to intervene in early adolescents’ depression by verifying whether social withdrawal and peer alienation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buse by parents and depression in early adolescents. For the purpose of the the study, authors used the sixth year dataset of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KCYPS, 2015). A total of 2,067 students were inclused in the final analysis, and the authors us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test direct and direct effects of child abuse on depression in early adolesc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ld abuse by parents had a direct impact on early adolescents’ depression, and both social withdrawal and peer alienation were partially mediated in the effects of child abuse by parents on early adolescents’ depression. Based on the results, authors proposed that teachers and school social workers pay close attention to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child abuse by parents on depression via social withdrawal and peer alienation in early adolelscents so as to promote mental health in them.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effective ways to intervene in early adolescents’ depression by verifying whether social withdrawal and peer alienation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buse by parents and depression 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effective ways to intervene in early adolescents’ depression by verifying whether social withdrawal and peer alienation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buse by parents and depression in early adolescents. For the purpose of the the study, authors used the sixth year dataset of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KCYPS, 2015). A total of 2,067 students were inclused in the final analysis, and the authors us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test direct and direct effects of child abuse on depression in early adolesc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ld abuse by parents had a direct impact on early adolescents’ depression, and both social withdrawal and peer alienation were partially mediated in the effects of child abuse by parents on early adolescents’ depression. Based on the results, authors proposed that teachers and school social workers pay close attention to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child abuse by parents on depression via social withdrawal and peer alienation in early adolelscents so as to promote mental health in the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석만, "현대 성격 심리학: 이론적 이해와 실천적 활용" 학지사 2015

      2 황혜원, "한국 청소년 비행의 이해를 위한 종단적 연구:일반긴장이론을 중심으로1" 한국아동권리학회 13 (13): 1-31, 2009

      3 정익중, "학대와 따돌림이 청소년기 우울과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3 (23): 217-242, 2012

      4 김춘경, "학대경험 수준에 따른 아동의 정서문제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0 (30): 267-290, 2014

      5 하혜주, "학대 피해경험이 심리사회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성향점수매칭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1 (31): 223-249, 2020

      6 정익중, "피학대아동이 비행에 이르는 발달경로"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223-244, 2006

      7 이순묵, "탐색적 요인분석: 어떻게 달라지나?" 한국심리학회 35 (35): 217-255, 2016

      8 최효식, "취학 월령이 학교생활 적응을 매개로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성차를 중심으로" 육아정책연구소 8 (8): 133-154, 2014

      9 이승현, "초등학생의 우울과 영향요인"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1 (11): 329-345, 2015

      10 유계환, "초등학교 6학년이 지각한 부모의 방임과 학대가 휴대폰 의존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29 (29): 177-194, 2020

      1 권석만, "현대 성격 심리학: 이론적 이해와 실천적 활용" 학지사 2015

      2 황혜원, "한국 청소년 비행의 이해를 위한 종단적 연구:일반긴장이론을 중심으로1" 한국아동권리학회 13 (13): 1-31, 2009

      3 정익중, "학대와 따돌림이 청소년기 우울과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3 (23): 217-242, 2012

      4 김춘경, "학대경험 수준에 따른 아동의 정서문제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0 (30): 267-290, 2014

      5 하혜주, "학대 피해경험이 심리사회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성향점수매칭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1 (31): 223-249, 2020

      6 정익중, "피학대아동이 비행에 이르는 발달경로"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223-244, 2006

      7 이순묵, "탐색적 요인분석: 어떻게 달라지나?" 한국심리학회 35 (35): 217-255, 2016

      8 최효식, "취학 월령이 학교생활 적응을 매개로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성차를 중심으로" 육아정책연구소 8 (8): 133-154, 2014

      9 이승현, "초등학생의 우울과 영향요인"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1 (11): 329-345, 2015

      10 유계환, "초등학교 6학년이 지각한 부모의 방임과 학대가 휴대폰 의존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29 (29): 177-194, 2020

      11 유현주, "초기 청소년의 학대경험, 우울, 공격성, 사회적 위축 및 휴대전화의존도의 구조적 관계: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1 (21): 417-446, 2014

      12 장은애, "초기 청소년의 또래애착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학교유대감의 종단적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0 (30): 313-340, 2019

      13 황운경,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학대경험과 또래집단으로부터의 소외에 미치는 영향: 우울, 공격성, 학업성취의 매개효과" 사회과학연구소 27 (27): 213-234, 2016

      14 허묘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 개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15 신선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또래관계 질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 한국놀이치료학회 20 (20): 49-64, 2017

      16 이충권, "청소년의 학대·방임경험이 정서문제와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정서문제와 또래관계 간 상호인과성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7 (17): 261-285, 2015

      17 김후남, "청소년의 초기 외상경험과 우울의 관계: 거부민감성, 사회적 위축, 대인관계 문제의 순차적 매개효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8 (18): 247-265, 2018

      18 홍세희,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위험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청소년학회 23 (23): 153-179, 2016

      19 손병덕, "청소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다변적 변인에 관한 고찰" 한국아동권리학회 13 (13): 481-510, 2009

      20 장영애, "청소년의 우울 및 자살충동에 대한 관련변인의 영향"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2 (12): 133-144, 2014

      21 문지혜,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과 우울의 관계에서 조절초점의 매개역할"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551-561, 2019

      22 최정아,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 또래관계, 우울 간의 종단적 관계" 377-378, 2014

      23 문경숙, "청소년기 사회화 과정의 국제비교연구Ⅲ"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141, 2008

      24 이봉주, "청소년기 사회적 위축 문제의 발달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발달-맥락주의적 관점을 적용한 탐색적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1 (21): 317-346, 2014

      25 김진, "청소년기 부모학대 경험이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과 우울의 순차적 매개 효과"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8 (68): 97-133, 2020

      26 김세원, "청소년 우울의 이질적 발달궤적 및 예측요인에서의 성별 차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1 (21): 171-192, 2010

      27 강병은, "청소년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척도의 요인구조"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9 (9): 13-28, 2018

      28 신종호, "지각된 부모의 학업지원, 성취기대, 일상통제가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자기결정성 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121-137, 2010

      29 박애리, "지각된 방임이 아동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위축을 매개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6 (16): 397-416, 2014

      30 김경호, "중학생이 지각한 아동학대의 경험 수준이 휴대전화 중독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9 : 95-121, 2014

      31 김좌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적 학대와 우울 간의 관계: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703-721, 2019

      32 김서현, "중학생이 경험한 학대와 방임이 학교 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경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5 (25): 5-33, 2014

      33 최창용, "중학생의 또래소외감과 이원적 자아존중감 간의 상호관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6 (26): 247-276, 2015

      34 안은미, "정서학대가 또래애착과 교사애착에 미치는 영향: 학업성취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5 (15): 201-226, 2013

      35 김윤희,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한 또래관계 형성의 어려움과 우울/불안의 종단관계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9 (19): 57-79, 2008

      36 김수정, "아동학대가 초등학생의 정서 문제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아동복지학회 (51) : 47-76, 2015

      37 김재철, "아동학대가 청소년기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미치는 영향: 부모의 교육적 참여의 조절효과" 20 : 119-139, 2012

      38 임선아, "아동학대 피해가 심리사회적 적응을 매개하여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족소득의 조절효과-" 한국아동복지학회 (50) : 85-108, 2015

      39 이인선,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외국의 부모교육 프로그램" 56-60, 2013

      40 김광혁, "아동학대 및 방임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24 (24): 27-45, 2009

      41 정익중, "아동학대 경험이 또래집단으로부터의 소외로 이어지는 발달경로" 한국아동학회 29 (29): 79-95, 2008

      42 법제처, "아동복지법"

      43 김선희, "아동 및 청소년의 행동문제 척도 개발" 16 (16): 155-166, 1998

      44 노정숙, "신체학대아동과 일반아동의 심리사회적 변인 연구"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7 (7): 115-126, 2003

      45 서인균, "선후배간 생활지도 멘토링 프로그램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교생활 부적응 학생을 대상으로 한 또래멘토링 프로그램 개발 예비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7 (17): 1-29, 2015

      46 김세원, "사회적 지지가 학대경험 아동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47 김은아, "부정적 양육방식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과 또래관계의 중다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3 (23): 155-176, 2016

      48 구경미, "부정적 양육경험이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교사및 교우관계의 종단적 매개효과" 404-404, 2017

      49 김선아, "부모학대, 부적또래관계, 휴대폰의존과 중학교 청소년우울과의 관계성 연구"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43) : 31-56, 2015

      50 김평화, "부모학대 및 방임 경험이 보호관찰소 보호처분학교 밖 청소년의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5 (25): 175-203, 2018

      51 조문교, "부모의 학대적 양육태도와 또래소외감이 아동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아동이 지각한 주관적 빈곤감의 조절효과" 한국아동권리학회 23 (23): 775-795, 2019

      52 이혜진, "부모의 학대와 방임이 청소년의 우울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이해와 정서조절의 순차적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4 (24): 457-483, 2017

      53 신지현, "부모의 학대와 방임이 자녀의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44) : 1-22, 2018

      54 안혜진, "부모의 학대 및 방임이 청소년의 우울과 학교적응 간의 종단연구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475-493, 2016

      55 김민주, "부모의 학대 및 방임과 청소년의 우울 및 비행의 안정성 및 상호적 영향" 한국아동학회 38 (38): 133-148, 2017

      56 서인균, "부모의 정서적 학대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재활심리학회 25 (25): 143-160, 2018

      57 홍나미, "부모의 방임과 학대가 청소년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친구소외와 휴대폰 의존의 매개효과" 한국아동권리학회 20 (20): 417-436, 2016

      58 이영광, "부모의 방임과 자녀의 우울 간의 관계: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 391-391, 2016

      59 김옥수, "부모로부터의 학대피해경험이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과 휴대폰 의존도의 매개효과-" 한국융합학회 9 (9): 213-221, 2018

      60 신혜영, "부모로부터의 학대경험과 공격성 및 대인불안간의 관계: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중심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15 (15): 295-307, 2003

      61 김재엽, "부모로부터의 방임․정서학대 및 신체학대 경험이 청소년의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교폭력 가해경험의 매개효과"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5 : 157-183, 2013

      62 류정미, "대인관계와 우울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지지와 자아존중감의 매개모형 검증"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6 : 71-104, 2015

      63 황미경, "다문화가정 아동의 부모애착, 또래애착 및 사회불안과의 관계 연구"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64 이은숙, "남·여 청소년의 소외감, 우울과 자살생각에 관한 예측모형" 한국간호과학회 37 (37): 576-585, 2007

      65 우종필, "구조방정식모델에서 통제변수를 사용한 연구모델의 분석: 채널연구에서 힘, 만족, 장기 지향성 중심으로" 한국유통학회 20 (20): 43-62, 2015

      66 "교육부"

      67 김원영, "과보호 양육, 자아 탄력성 및 사회적 위축이 남녀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51) : 41-69, 2017

      68 이은주, "고등학생의 소외와 우울, 자살사고, 비행과의 관계 연구" 9 (9): 56-65, 2002

      69 이은숙, "고등학생의 소외와 사회적 지지의 관계" 10 (10): 496-507, 2001

      70 김선미, "고등학생들의 소외와 신체․정신 건강과의 관계 연구" 3 (3): 54-73, 1994

      71 경기도아동보호전문기관, "경기도 아동학대예방사업의 10년 성과 및 발전방향 자료집"

      72 김광일, "간이정신진단검사 실시요강" 중앙적성출판사 1-39, 1984

      73 최정은, "가족건강성과 또래지지가 중학생의 우울과 분노에 미치는 영향" 4 (4): 113-129, 2015

      74 Hamilton, J. D., "Was the deflation during the Great Depression anticipated? Evidence from the commodity futures market" 157-178, 1992

      75 Little, T. D., "To parcel or not to parcel:Exploring the question, weighing the merits" 9 (9): 151-173, 2002

      76 Fauber, R., "The relationship of young adolescent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 scores to their social and cognitive functioning" 9 (9): 161-172, 1987

      77 Buist, K. L.,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early adolescent attachment and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ur" 27 (27): 251-266, 2004

      78 Beck, A. T., "The measurement of pessimism: the hopelessness scale" 42 (42): 861-, 1974

      79 Armsden, G. C.,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16 (16): 427-454, 1987

      80 Moylan, C. A., "The effects of child abuse and exposure to domestic violence on adolescent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25 (25): 53-63, 2010

      81 Grogan-Kaylor, A., "The effect of childhood maltreatment on adult criminality: A tobit regression analysis" 8 (8): 129-137, 2003

      82 Coplan, R. J., "The development of shyness and social withdrawal" 3-20, 2010

      83 Bowker, J. C., "Social withdrawal subtypes during early adolescence in India" 39 (39): 201-212, 2011

      84 Rubin, K. H., "Social withdrawal in childhood" 60 : 141-171, 2009

      85 Hankin, B. L., "Sex differences in adolescent depression: Stress exposure and reactivity models" 78 (78): 279-295, 2007

      86 이종환, "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 공동체 2014

      87 Angold, A., "Puberty and Depression" 15 (15): 919-937, 2006

      88 Kline, R. 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ford Press 2010

      89 Freeman, H., "Primary attachment to parents and peers during adolescence:Differences by attachment style" 30 (30): 653-674, 2001

      90 DelBello, M., "Phenomenology and Epidemiology of Childhood Psychiatric Disorders that may Necessitate Treatment with Atypical Antipsychotics" 65 : 12-19, 2004

      91 Flynn, M., "Perceptual asymmetry and youths' responses to stress : Understanding vulnerability to depression" 21 (21): 773-788, 2007

      92 Bosacki, S., "Peer relationships and internalizing problems in adolescents: Mediating role of self‐esteem" 12 (12): 261-282, 2007

      93 Gazelle, H., "Moving toward and away from the world: Social approach and avoidance trajectories in anxious solitary youth" 75 (75): 829-849, 2004

      94 Rudolph, K. D, "Handbook of depression in adolescents" Routledge/Taylor & Francis Group 377-418, 2009

      95 Joiner, T. E., "Handbook of depression" Guilford 295-313, 2015

      96 Rudolph, K. D., "Handbook of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79-, 2008

      97 Nolen-Hoeksema, S, "Gender Differences in Depression" 173-176, 2001

      98 Gibb, B. E., "Emotional abuse, verbal victim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negative inferential styles and depressive symptoms" 32 (32): 161-176, 2008

      99 van der Kolk, B. A., "Editorial comments: Complex developmental trauma" 18 (18): 385-388, 2005

      100 Rokita, K. I., "Early life experiences and social cognition in major psychiatric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53 : 123-133, 2018

      101 Ju, S., "Developmental trajectories and longitudinal mediation effects of self-esteem, peer attachment, child maltreatment and depression on early adolescents" 76 : 353-363, 2018

      10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epressive Disorders: DSM-5® Selections" American Psychiatric Pub 2015

      103 Angold, A., "Depression scale scores in 8-17‐year‐olds: effects of age and gender" 43 (43): 1052-1063, 2002

      104 Hooven, C., "Childhood violence exposure:Cumulative and specific effects on adult mental health" 27 (27): 511-522, 2012

      105 Katz, S. J., "Childhood social withdrawal, interpersonal impairment, and young adult depression: A mediational model" 39 (39): 1227-, 2011

      106 Colman, R. A., "Childhood abuse and neglect and adult intimate relationships: A prospective study" 28 (28): 1133-1151, 2004

      107 Goodwin, R. D., "Association between anxiety disorders and substance use disorders among young persons: results of a 21-year longitudinal study" 38 (38): 295-304, 2004

      108 배병렬, "Amos 24 구조방정식모델링" 청람 2017

      109 Kurdek, L. A., "A developmental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peer acceptance and both interpersonal understanding and perceived social self-competence" 53 : 1485-1591, 1982

      110 통계청, "2019 청소년 통계"

      111 보건복지부, "2018년 아동학대 주요통계"

      112 여성가족부, "2010년 가정폭력실태조사"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학교사회사업 -> 학교사회복지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9 1.89 2.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9 2.1 2.712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