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북한의 시장화와 주민 의식변화 : 반사회주의 통제를 위한 법규범 탄생과 관련하여 = Marketization of North Korea and Changes in Awareness of North Korea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811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북한의 시장화 현상과 북한주민 의식변화의 상관성을 반사회주의 통제 관련 법규범과의 연관 속에서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북...

      이 글은 북한의 시장화 현상과 북한주민 의식변화의 상관성을 반사회주의 통제 관련 법규범과의 연관 속에서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의 시장은 북한주민의 자립적 생존장터인 동시에 외부문물 및 정보 유통 공간으로 기능함으로써 북한주민 의식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즉, 북한의 시장 확산에 따라 북한주민 의식변화는 자립적 경제의식→ 문화의식→ 정치의식 변화로 진화하고 있다. 둘째, 시장 확산과 더불어 진화하는 북한주민 의식변화는 반사회주의 통제 법규범의 탄생과 이에 기반한 사회통제 강화에 의해 성숙된 의식화로 승화하지 못하는 한계를 내재한다. 즉, 북한주민 의식변화는 시장도입이 공식화된 이후 시장 확산에 힘입어 단계별 변화를 거듭하고 있으나, 궁극적인 정치의식 변화, 자유와 인권의 본질을 깨닫는 깨어진 의식변화 수준까지 더디게 진화하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북한주민의 자발적 의식변화가 더욱 성숙되기 위해서는 시장을 통해 외부정보를 자유롭게 접할 수 있는 제도적 환경이 마련되어야 하며, 북한주민 스스로 변화의 주체가 되어 현상적 변화가 아닌 본질적 변화를 적극적으로 추구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해야 함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rketization in North Korea and the change of consciousness of the North Korean people in the context of anti-socialist control related legal norm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

      This study focu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rketization in North Korea and the change of consciousness of the North Korean people in the context of anti-socialist control related legal norm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arket of North Korea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hange of consciousness of the North Korean people by functioning as a place for the independent survival of the North Korean people and as a space for the distribution of external relics and information. In other words, as the market spreads in North Korea, the change of consciousness of the North Koreans is evolving into a self-reliant economic consciousness → cultural consciousness → political consciousness change. Second, The change of consciousness of North Koreans has been changing step by step because of market expansion after the market introduction was formalized. However, the change in consciousness of the North Korean people has inherent limitations in not being able to sublimate into a mature consciousness by the birth of anti-socialist legal norms and strengthening social control based on it. In other words, there is a limit to the change in political consciousness, which slowly evolves to the level of consciousness change that breaks the essence of freedom and human righ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n order for the voluntary change of consciousness of North Koreans to become more mature, an institutional environment in which they can freely access external information through the market must be prepared, and the North Koreans themselves should become the subject of change and actively promote essential change rather than phenomenological chang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및 이론적 분석틀 Ⅲ. 시장화와 북한주민 의식변화의 상관성 분석 Ⅳ. 법규범 통제에 의한 북한주민 의식변화의 한계 Ⅴ. 결론
      •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및 이론적 분석틀 Ⅲ. 시장화와 북한주민 의식변화의 상관성 분석 Ⅳ. 법규범 통제에 의한 북한주민 의식변화의 한계 Ⅴ. 결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